산호초에 무해하다는 ‘리프 세이프’ 선크림...정말 안전할까?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0 17:08:31
  • -
  • +
  • 인쇄


자외선차단제(선크림) 성분이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산호초에 무해하다는 'Reef Safe'(산호초 안전) 마크를 붙인 제품이 앞다퉈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마크는 공식인증이 아니며, 실제 안전성을 입증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자외선차단제에는 화학 필터 성분인 옥시벤젠이 산호의 성장을 저해하고 DNA 손상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백화 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2016년에 발표되면서 하와이 등 일부 지역에서는 해수욕장의 자외선차단제를 금지했다. 이에 화장품 업체들은 '리프 세이프' 제품들을 내놓으면서 산호에게 안전한 제품이라고 홍보하기 시작했다.

LG생활건강의 화장품 브랜드 더페이스샵은 '내추럴 선 에코 슈퍼 액티브 리프세이프 선크림'을 판매하면서 "바다의 산호초와 해양 생태계까지 생각해 옥시벤존과 옥티녹세이트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알렸다. 또다른 국내 브랜드인 에스지에프앤비(SGF&B)도 '노라 유브이 프로텍션 글로우 선크림'에서 옥시벤존, 옥티녹세이트, 옼토크릴렌을 모두 배제한 '리프 세이프 처방'이라고 강조했다.

이 세 가지 성분 모두 해양생물에게 유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자외선 필터지만, 독성 연구의 실험조건이 표준화되지 않아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려워 진짜로 '자연친화적'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생태학자 샌디 라이몬도는 "'어떤 필터가 더 안전하다'고 단정할 만큼 충분한 비교 연구가 없다"고 평가했다. 이어 "자외선 필터 독성을 측정하는 실험 방법이 표준화되지 않았고, 특히 화학 필터는 실험 장비에 잘 달라붙는 특성 탓에 정확한 농도 측정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자외선차단제의 유효성분인 자외선 필터는 화학 필터와 무기 필터로 나뉘는데, 화학 필터는 피부에 흡수돼 자외선을 열로 바꾸고, 무기 필터는 자외선을 반사해 차단한다. 어느 쪽이든 사용 후 일부는 수영이나 세탁, 샤워 과정에서 수계로 유입된다.

스페인 라스팔마스대학의 화학공학자 두니아 산티아고는 "대부분의 하수처리장이 자외선 필터와 같은 미량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렇게 남은 성분은 처리수를 통해 하천과 바다로 흘러가며, 생물체에 축적될 수 있다.

일부 무기 필터는 피부 위 백탁 현상을 줄이기 위해 나노 입자로 가공되는데, 이 나노 입자가 식물이나 동물의 조직에 침투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무기 필터라고 해도 무조건 안전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EPA는 자외선 필터의 독성을 보다 정밀하게 평가하기 위해 실험 설계와 측정 방법 개선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생태 독성 평가가 공식적으로 이뤄지기까지는 수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아직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상황 속에서 '100프로 리프 세이프'라고 명기된 제품들을 구매하기전 소비자들도 한번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자연복원 참여기업 ESG실적 인정...첫 민관협력 사업 진행

기업이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자연환경 복원사업에 참여하면 ESG 경영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시범사업이 민관협력으로 진행된다.환경부는 민간기업인

환경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 모집

환경부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를 모집한다.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

화석연료에 46조 투자한 유럽 ESG펀드들...규제 앞두고 '이름지우기' 분주

유럽 투자회사들이 'ESG펀드'를 통해 화석연료 기업에 투자한 규모가 330억달러(약 46조1200억원)가 넘는다는 폭로가 나왔다. '무늬만 EGS펀드'는 이달부터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KCC, 지역 사회시설 환경개선 활동..."ESG경영 앞장"

KCC가 전국 사업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ESG경영에 앞장선다.KCC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SPC삼립,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사고에 "죄송하다" 사과문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사고는 19일 오전 3시쯤 시화공장에서 발생했으며, 숨진 A씨

기후/환경

+

산호초에 무해하다는 ‘리프 세이프’ 선크림...정말 안전할까?

자외선차단제(선크림) 성분이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산호초에 무해하다는 'Reef Safe'(산호초 안전) 마크를 붙인 제품

매년 3.2%씩 사라진 아마존...강수량도 5.4% 줄었다

아마존 산림면적이 감소하면서 강수량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19일(현지시간) 유 리우(Yu Liu) 중국 난징대학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지난 14년동안 산

"5월이 아까시꿀 제철인데"...양봉농가 잇단 폭우에 '시름'

"꿀이 막 올라오려던 참이었는데 갑자기 폭우가 쏟아지면서 꿀벌들이 꿀을 모을 시기를 놓치고 있다."최근 여름철을 방불케하는 장대비가 쏟아지면서

[새 정부에 바란다] "청년은 기후위기 피해자...의견 반영해야"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환경부,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고려'…환경단체 "정책 퇴보" 비판

환경부가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를 유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가 강도 높은 비판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