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염에 취약계층과 농민들의 피해가 없도록 해달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에 지방자치단체들이 발빠르게 대응하고 나섰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무더위쉼터가 현재 전국에 얼마나 지정돼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물론 실제 해당 쉼터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등 구체적인 실적까지 꼼꼼하게 챙겨달라"며 위험도 높은 산업현장에 대해서는 근로감독관을 대폭 늘리고 지자체 단속권도 강화하라고 강조했다.
이에 11일 경기도는 취약계층 39만가구에 5만원씩 냉방비를 지원하는 등 폭염대책을 내놨다.
도는 온열질환자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관급공사 72곳을 대상으로 체감온도 35℃ 이상인 경우 오후 2~5시까지 작업을 전면 중단하도록 했다. 또 체감온도 33℃ 이상일 때는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을 의무화했다. 이같은 지침이 시군 관리 공사현장 3000여곳과 민간 건설현장 4000여곳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유관기관에도 협조요청하기로 했다.
경로당과 마을복지회관 등 무더위쉼터 8800여곳에도 냉방비 15억원을 지급하는 한편 15억원을 들여 옥외노동자와 논밭근로자에게 보냉장구도 지원한다. 건설현장 이주 노동자 3000명에게 내국인과 동등한 안전조치가 적용되게 다국어로 제작된 '온열질환 예방가이드'를 배포하고, 이주 노동자가 근무하는 공사현장을 방문해 냉방시설, 휴게시설 적정 설치 여부도 점검할 계획이다.
부산시도 시청 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폭염 대응 특별대책 점검회의'를 열고 폭염 저감 시설 추가 설치, 취약계층 지원 확대, 쉼터와 살수차 운영 확대, 이동노동자·옥외근로자 안전대책, 관광객 폭염 저감 시설 운영 등을 점검한다.
시는 재난관리기금 7억8000만원을 들여 스마트 그늘막 47곳을 추가 설치하고 무더위 쉼터 운영과 시민들에게 생수·양산·부채 등을 배포한다. 그리고 재해구호기금 1억원을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지정 기탁해 노숙인에게 얼음 생수 제공, 장애인 주간 이용시설 60곳에 선풍기 280여대 등을 지원한다.
또 기후쉼터 700여곳을 새로 만들고 살수차·물청소차도 기존 60대에서 65대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안개형 냉각(쿨링포그) 운영시간도 오후 6시에서 오후 10시까지로 연장하고, 이동노동자 전용 쉼터 4곳을 혹서기 3개월간(7∼9월) 한시적으로 5곳을 추가해 총 9곳을 운영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폭염대책으로 확성기와 열화상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을 띄우고 의료장비를 갖춘 이동 버스를 운영한다. 경북도는 드론 2대를 투입해 휴가철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과 산불 피해 지역에서 폭염 대응 요령을 안내하고 있다. 드론에 확성기와 함께 열화상 카메라도 장착해 논밭과 관광지 등 현장의 열을 실시간 체크한다.
산불 피해지역에서는 '폭염 대비 찾아가는 행복병원'을 운영하고, 도내 3개 공공의료기관(포항의료원, 김천의료원, 안동의료원)은 진료 버스로 산불 피해지역을 순회하며 건강 취약계층의 온열질환 예방과 만성질환 관리에 나선다.
강원도는 가뭄 피해 관계 기관 회의를 열고 비상용수 개발 등 총 114억원을 투자해 폭염으로 인한 가뭄 피해 최소화에 나선다. 가뭄이 심각한 지역에는 시군과 한국농어촌공사가 보유한 재해 대응 시설과 장비를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제주도에서는 야외에서 근무하는 폭염 취약 직군을 대상으로 제주삼다수 1만1500개를 18일까지 배부하고 이동노동자 쉼터 시간을 늘린다. 이동식 음료 차량을 활용한 폭염 예방 캠페인을 전개하고 온열질환에 취약한 사업장은 직접 방문해 냉방물품도 지원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