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thumbimg

'엘니뇨'가 시작됐다...인도·중미, 44℃ 넘는 폭염에 100명 사망
폭염으로 사망자가 속출하는 등 때이른 6월 폭염에 전세계가 신음하고 있다.18일(현지시간) AP통신과 ABC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와 비하르주 등 북·동부에서 이상고온으로 지난 며칠동안 최소 96명 이상이 사망했다. 인도 북&...2023-06-19 10:41:16 [이준성]

thumbimg

서울 벌써 '폭염주의보'...땡볕에 한낮 35℃까지 오른다
▲폭염에 서울 광화문광장 분수에서 물놀이를 즐기는 어린이들 (사진=연합뉴스) 서울에 벌써 폭염주의보가 발령됐다. 18일에 이어 19일에도 한낮 최고기온이 35℃까지 오를 예정이어서 바깥활동에 주의가 요구된다.기상청에 따르면 동해상 위치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19...2023-06-19 10:09:33 [조인준]

thumbimg

두나무 임직원 '숲조성' 나섰다...나무 151그루 식재
▲지난 17일 두나무 임직원 및 가족들이 국립춘천숲체원에서 진행된 나무심기 봉사활동을 마치고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두나무) 두나무 임직원들이 ESG 경영의 일환으로 국립춘천숲체원에 나무 151그루를 식재했다.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는 지난 ...2023-06-19 09:25:07 [이재은]

thumbimg

멕시코 연안 바닷새 수백마리 떼죽음...원인은 '엘니뇨' 지목
▲연안에서 아사한 바닷새 사체를 들고 있는 멕시코 멕시코 농식품위생품질청 검역관 (사진=멕시코 농업농촌개발부) 멕시코에서 바닷새 수백마리가 떼죽음을 당한 가운데 지역당국이 원인으로 '엘니뇨'를 지목했다.15일(현지시간) 멕시코 농업농촌개발부는 지난 주말 사이 ...2023-06-16 19:06:20 [이재은]

thumbimg

6월 지구온도 무섭게 상승중..."역대급 고온현상 발생한다"
6월 현재 지구의 기온이 기록적인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어, 2023년은 역대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될 가능성이 커졌다.유럽연합(EU) 기상관측기관 코페르니쿠스(EU Copernicus Land Monitoring Service)에 따르면 6월 현재까지 측정된 ...2023-06-16 10:26:14 [이준성]

thumbimg

아파트 12층에서 떨어진 세살배기…화단나무가 살렸다
▲12층에서 추락하고 목숨을 건진 세살배기 아이가 헬기로 병원에 이송중이다. (사진=연합뉴스) 아파트 12층 베란다에서 추락한 세살배기가 기적적으로 목숨을 건졌다.15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27분 평택시의 한 아파트에서 아이가 떨어져 있다...2023-06-15 18:46:05 [조인준]

thumbimg

[황산 칼럼] 사람은 변할 수 있을까?
술집에서 혼자 술마시는 남자가 있었다. 기이하게도 그는 술잔 3개를 테이블에 올려놓고 마셨다. 1번, 2번, 3번 순서대로 잔을 들이켰다. 매번 그렇게 마시자 웨이터가 궁금해서 물었다. "왜 그렇게 술잔 3개로 마시나요?" "우리는 삼형제인데 모두 멀리 떨어...2023-06-15 16:44:17 [황산]

thumbimg

카리브연안 사슴뿔산호 97% 사라졌다...튀르키예 산호도 '멸종위기'
카리브해와 튀르키예 연안 등 전세계 해안가의 산호가 멸종위기에 처해있다.미국 해양대기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수산국에 따르면 카리브해에서 발견되는 사슴뿔 산호가 기후변화로 멸종위기에...2023-06-15 16:03:27 [이준성]

thumbimg

국내 하천에 악어 출몰? 진짜일까?...영주시 신고받고 수색중
▲경북 영주시 무섬마을(사진=연합뉴스) 경북 영주시에서 1m 크기의 악어가 나타났다는 신고가 접수돼 환경 당국이 포획에 나섰다.15일 경북 영주시에 따르면 지난 13일 오후 7시께 문수면 무섬교에서 필리핀 출신 근로자 4명이 1m 크기의 악어를 목격했다고 신고...2023-06-15 11:32:43 [조인준]

thumbimg

알프스 대규모 산사태..."기후변화로 영구동토층 녹은 결과"
지구온난화로 영구동토층이 녹아 오스트리아 티롤주의 플루흐손(Fluchthorn) 산 정상 일부가 붕괴되며 산사태가 발생했다. 알프스 경찰에 따르면 이번 산사태로 인한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현지언론에 따르면 지난 11일(현지시간)부터 플루흐손 산에서...2023-06-15 11:03:50 [이준성]

thumbimg

[르포] "우리 문제잖아요"...중학교 '환경수업' 현장을 가다
▲환경교육을 받고 있는 서울숭문중학교 학생들 ⓒnewstree "생분해 플라스틱은 분해되려면 60℃ 이상 고온에서 6개월 이상이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전문설비가 없기 때문에 친환경이 아닙니다."'생분해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오염의 해결책이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2023-06-15 07:30:02 [조인준]

thumbimg

산림토양은 '메탄 제거제'…국내서만 年 승용차 324만대분 탄소 상쇄
국내 산림의 토양이 연간 620만톤의 메탄을 흡수해 승용차 324만대가 1년간 배출하는 수준의 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연세대학교 강호정 건설환경공학과 교수연구팀은 토양의 유기물이 메탄(CH4) 흡수의 조절인자임을 규명했다고 14일 밝혔...2023-06-14 18:31:19 [조인준]

Video

+

ESG

+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