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식하는 호수들...40년간 담수동물 84% 줄었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6-03 11:34:27
  • -
  • +
  • 인쇄
지구온난화로 산소농도가 줄어든 탓
바다보다 호수 산소농도 더 빨리 감소

1970년 이후 담수환경에 의존하는 동물 개체군이 84%나 줄었다. 원인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호수의 산소농도가 감소한 때문이다.

미국 렌슬리어 공과대학교(RPI) 연구진은 1980~2017년 사이 온대호수의 산소농도가 표층에서는 5.5%, 저층에서는 18.6% 감소한 사실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1941년부터 위도 22~66도 사이 393개 온대지역 호수에서 수집한 4만5148개 샘플의 용존산소량과 온도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산소농도가 감소한 것은 지구온난화 때문으로 분석됐다. 물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밀도가 낮아진다. 이로 인해 물 속에 녹아있는 용존산소량이 줄어들었다. 특히 여름철 폭염은 호수의 표층을 뜨겁게 만들면서 표층과 저층의 밀도 차이를 심화시킨다. 밀도가 높아진 저층수는 더욱 가라앉으면서 표층과 섞이지 않게 되고, 표층이 가림막처럼 남아있게 되면서 저층의 산소는 더 부족해지는 악순환이 일어났다.

연구결과, 1970년 이래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 농업용수 남용 등으로 담수지역의 야생동물 개체군은 84%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논문의 저자 케빈 로즈 RPI 교수는 "모든 복합 유기체는 산소에 의존하기 때문에 산소농도가 떨어지면 수많은 생물종의 서식지가 파괴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호수 내 용존산소의 감소는 당장 그곳에 서식하는 생물군이 피해를 입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추후에도 지구온난화를 가속시킨다는 것이다. 잔존 산소량 수치가 0에 가까워질수록 퇴적물에서 인 성분이 더 많이 방출되는데, 이는 박테리아가 증식하기 좋은 조건이 된다. 인은 박테리아의 필수 영양분이기 때문이다. 급증한 박테리아는 메탄가스를 배출하면서 온실효과를 심화시킨다.

393개의 온대호수 가운데 용존산소량이 늘어난 경우도 있었지만 이들 호수는 대개 환경오염에 취약한 호수들이었다. 화학비료와 도시하수로 인한 오염으로 녹조가 증식한 것이다. 녹조가 증식하게 되면 산소는 늘어날 수 있지만 동시에 독소가 증가해 물 수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연구진은 또 담수환경에서 산소농도가 떨어지는 속도가 해수환경에 비해 3~9배 빠르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해수환경의 용존산소는 1950년 이래 770억톤 감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RPI 학과장 커트 브레네만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해수환경보다 담수환경 문제가 시급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는 우리의 식수공급 그리고 복잡한 담수 생태계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섬세한 균형을 위협한다"고 경고했다.

이 연구논문은 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자연복원 참여기업 ESG실적 인정...첫 민관협력 사업 진행

기업이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자연환경 복원사업에 참여하면 ESG 경영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시범사업이 민관협력으로 진행된다.환경부는 민간기업인

환경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 모집

환경부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를 모집한다.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

화석연료에 46조 투자한 유럽 ESG펀드들...규제 앞두고 '이름지우기' 분주

유럽 투자회사들이 'ESG펀드'를 통해 화석연료 기업에 투자한 규모가 330억달러(약 46조1200억원)가 넘는다는 폭로가 나왔다. '무늬만 EGS펀드'는 이달부터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KCC, 지역 사회시설 환경개선 활동..."ESG경영 앞장"

KCC가 전국 사업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ESG경영에 앞장선다.KCC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SPC삼립,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사고에 "죄송하다" 사과문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사고는 19일 오전 3시쯤 시화공장에서 발생했으며, 숨진 A씨

기후/환경

+

산호초에 무해하다는 ‘리프 세이프’ 선크림...정말 안전할까?

자외선차단제(선크림) 성분이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산호초에 무해하다는 'Reef Safe'(산호초 안전) 마크를 붙인 제품

매년 3.2%씩 사라진 아마존...강수량도 5.4% 줄었다

아마존 산림면적이 감소하면서 강수량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19일(현지시간) 유 리우(Yu Liu) 중국 난징대학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지난 14년동안 산

"5월이 아까시꿀 제철인데"...양봉농가 잇단 폭우에 '시름'

"꿀이 막 올라오려던 참이었는데 갑자기 폭우가 쏟아지면서 꿀벌들이 꿀을 모을 시기를 놓치고 있다."최근 여름철을 방불케하는 장대비가 쏟아지면서

[새 정부에 바란다] "청년은 기후위기 피해자...의견 반영해야"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환경부,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고려'…환경단체 "정책 퇴보" 비판

환경부가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를 유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가 강도 높은 비판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