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인근 1km 공기에서도 맹독성 물질 검출돼
녹조가 강물뿐 아니라 공기도 오염시킨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져 파장이 예상된다. 녹조가 발생한 낙동강 인근 공기에서는 간과 신경계 독성물질인 '남세균'(시아노박테리아)이 검출됐고, 이 독소물질은 낙동강에서 1km 떨어진 부산지역 아파트단지 옥상에서도 검출됐다.
21일 환경운동연합, 대구환경운동연합, 낙동강네트워크와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과 대구, 경남, 부산 등 4곳에서 가진 동시 기자회견에서 낙동강 근처 공기에서 '남세균' 독소가 나왔다고 밝혔다. 남세균 독소는 간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있는데 이는 청산가리의 20배~200배에 달하는 맹독 물질이다.
창원대 환경공학과 김태형 교수팀, 부경대 이승준 교수팀, 경북대 신재호 교수팀은 지난달 22일부터 지난 2일 사이 낙동강 주변 14곳에서 물·공기 시료를 채취해 남세균 독소를 분석했다.
그 결과, 경남 합천군의 한 저수지에서 최대치인 5337ppb(㎍/L)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 낙동강 화원유원지에서도 336ppb가 검출됐다. 이들 마이크로시스틴은 미국 환경보호국(EPA)의 안전한 물놀이 기준인 8ppb의 667.1배와 42.3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11곳에서 채집한 공기 시료 중에서는 마이크로시스틴이 1m3당 최소 0.1나노그램(ng, 1ng=10억분의 1g)에서 최대 6.8ng이 검출됐다. 마이크로시스틴 농도는 경남 김해시 대동 선착장 배위가 가장 높았고, 본포생태공원이 4.69ng로 그 뒤를 이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평균이 0.052 ng/m3임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낙동강에서 1.17km 떨어진 부산의 한 아파트단지 옥상 공기에서도 1.88ng/m3 농도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 이는 미국 뉴햄프셔주 강 공기중 검출된 마이크로스틴 최저농도의 144.6배에 해당되는 수치다.
환경운동연합 등은 "이번 낙동강 남세균 에어로졸 조사는 국민생활과 직결된 지점에서 3차에 걸쳐 진행됐다"며 "피부 독성, 경구 독성보다 더 강한 유해성을 지닌 마이크로시스틴이 주민들의 강변공원 시설, 자전거 도로, 아파트단지 등에서 검출되고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해 남세균의 공기중 위험 범위가 우리가 예상하는 것보다 더 광범위할 수 있다"며 "이에 정부는 녹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민간단체와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 위험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