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2공항 서면평가부터 '삐걱'...탄소체크하는 '환경평가' 통과할까

김진정 기자 / 기사승인 : 2021-07-23 11:37:09
  • -
  • +
  • 인쇄
환경영향평가에서 실사 통해 온실가스 배출점검
탄소배출 따지는 기후영향평가 내년 하반기 시행
(사진=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환경부에 제출한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가 반려당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까지 점검하는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할 수 있을지 회의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 20일 '제주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대해 △ 비행안전이 확보되는 조류 및 그 서식지 보호 방안에 대한 검토 미흡 △ 항공기 소음 영향 재평가시 최악 조건 고려 미흡 및 모의 예측 오류 △ 다수의 맹꽁이(멸종위기야생생물 2급) 서식 확인에 따른 영향 예측 결과 미제시 △ 조사된 숨골에 대한 보전 가치 미제시 등을 이유로 반려했다.

이와 관련해 환경부 관계자는 23일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제주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는 계획의 타당성과 적정성 등을 살펴보는 것"이라며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반려한 것은 제시된 사안에서 부실한 부분을 보완하라는 뜻"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이후에 진행되는 환경영향평가에서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뿐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해서도 심사한다"면서 "온실가스 배출량과 태양광 시설 등 탄소 저감량을 실사를 통해 세부적으로 비교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는 1977년에 제정된 '환경영향평가법'에 근거해 개발사업이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사전에 예측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도시개발을 비롯해 도로, 철도, 공항, 관광단지, 폐기물처리시설 등을 추진할 때는 반드시 환경영향평가를 받아야 한다. 이외에도 지방자치단체장들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실사까지 진행하는 환경영향평가는 서면평가에 그치는 환경영향평가서보다 훨씬 허들이 높은 편이다. 강원도가 1982년부터 추진했던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설치사업은 수십년의 논의끝에 결국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하지 못해 지난 2019년 백지화되고 말았다. 사업시행시 설악산의 자연환경과 생태경관 그리고 생물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런데 앞으로는 개발사업의 탄소배출까지 점검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탄소배출량 문제는 국회에서 기후환경평가 수정안 등이 마련되면 추가적으로 심의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3월 21일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2022년 하반기 시행을 목표로 기후환경영향평가 등을 강화하는 법안을 준비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부가 '탄소중립 2050'을 선언한 마당에, 이를 검토하지 않고 공항건설을 승인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해외에서는 이미 탈공항 움직임이 일고 있다. 프랑스와 오스트리아는 지난 5월 단거리 국내선 운항을 금지했다. 스웨덴도 지난 4월 스톡홀름의 브롬마공항을 폐쇄했다. 네덜란드는 암스테르담과 벨기에 브뤼셀간 항공노선을 없애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민간 차원에서 탄소배출량이 많은 비행기를 타지말자는 플라이트 셰임(Flight Shame) 운동도 벌어지고 있다. 지난 2017년 스웨덴에서 시작된 이 운동은 지금 영국과 캐나다, 벨기에, 프랑스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실제로 유럽환경청(EEA)에 따르면 항공기에서 배출되는 탄소량은 지구 전체 탄소배출량의 2.5% 비중이다. 우리나라 민간항공의 온실가스 배출량도 연간 170만톤(t)이 넘는다. 24시간 운영해야 하는 공항 특성상 비행기 운항에서만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것도 아니다. 인천국제공항의 경우 지난 2019년 에너지사용량이 5055톤줄(TJ)에 달했다. 약 12000톤에 가까운 석유를 태워야 만들 수 있는 에너지량이다.

제주 제2공항의 전략영향평가서에 따르면 2055년 연간 운항횟수가 12만5148회로 예상하고 있다. 이를 온실가스 배출로 환산하면 34만65t에 이른다. 그만큼 우리나라 민간항공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더 늘어나는 셈이다. 공항 운영에 들어가는 에너지까지 합치면 온실가스 배출은 더 늘어난다. 제주 2공항에 이어 가덕도 신공항, 새만큼 신공항 등 줄줄이 대기중인 공항들이 건설되면 우리나라는 '탄소중립 2050'을 실현하기 더 힘겨울 수 있다. 

이같은 상황을 감안해보면, 사전평가라고 할 수 있는 '전략환경평가서' 관문도 통과하지 못한 제주 제2공항이 '환경영향평가'와 '기후환경평가'를 무사히 통과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자연복원 참여기업 ESG실적 인정...첫 민관협력 사업 진행

기업이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자연환경 복원사업에 참여하면 ESG 경영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시범사업이 민관협력으로 진행된다.환경부는 민간기업인

환경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 모집

환경부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를 모집한다.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

화석연료에 46조 투자한 유럽 ESG펀드들...규제 앞두고 '이름지우기' 분주

유럽 투자회사들이 'ESG펀드'를 통해 화석연료 기업에 투자한 규모가 330억달러(약 46조1200억원)가 넘는다는 폭로가 나왔다. '무늬만 EGS펀드'는 이달부터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KCC, 지역 사회시설 환경개선 활동..."ESG경영 앞장"

KCC가 전국 사업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ESG경영에 앞장선다.KCC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SPC삼립,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사고에 "죄송하다" 사과문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사고는 19일 오전 3시쯤 시화공장에서 발생했으며, 숨진 A씨

기후/환경

+

산호초에 무해하다는 ‘리프 세이프’ 선크림...정말 안전할까?

자외선차단제(선크림) 성분이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산호초에 무해하다는 'Reef Safe'(산호초 안전) 마크를 붙인 제품

매년 3.2%씩 사라진 아마존...강수량도 5.4% 줄었다

아마존 산림면적이 감소하면서 강수량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19일(현지시간) 유 리우(Yu Liu) 중국 난징대학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지난 14년동안 산

"5월이 아까시꿀 제철인데"...양봉농가 잇단 폭우에 '시름'

"꿀이 막 올라오려던 참이었는데 갑자기 폭우가 쏟아지면서 꿀벌들이 꿀을 모을 시기를 놓치고 있다."최근 여름철을 방불케하는 장대비가 쏟아지면서

[새 정부에 바란다] "청년은 기후위기 피해자...의견 반영해야"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환경부,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고려'…환경단체 "정책 퇴보" 비판

환경부가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를 유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가 강도 높은 비판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