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에 몸집 작아지는 물고기들..."청어·멸치 수년내 멸종할 수도"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8-11 11:56:56
  • -
  • +
  • 인쇄
몸집 줄어들자 생존위한 서식지 이동도 잘 못해
바다온도 급상승하면서 물고기들 빠르게 도태

청어, 정어리, 멸치 등 우리가 먹는 바다 물고기들의 몸집이 점점 작아지고 있다. 원인은 지구온난화로 해양 온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탓이다. 지금 상태로 방치되면 멀지않아 이런 물고기들은 멸종될 수 있다는 섬뜩한 경고까지 나오고 있다.

칠레 건조지대첨단연구센터(CEAZA)와 영국 레딩대학교 공동연구팀은 급격한 기후변화로 청어목에 속하는 청어, 정어리, 멸치 등의 몸집이 작아지면서 이들이 생존을 위해 더 먼거리로 이동하는 능력도 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1981년부터 전세계 해양 온도는 평균적으로 10년에 0.18°C씩 오르고 있다. 연구팀은 지난 150만년간 해양 온도가 1000년에 0.8°C꼴로 상승했음을 고려하면, 물고기들이 현재 마주하고 있는 온도변화는 감당하기 힘든 정도일 것으로 분석했다.

이 때문에 물고기들의 크기가 작아졌다. 수온 상승에 맞춰 신체기능을 유지하려면 신진대사를 촉진시켜야 하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려면 더 많은 산소가 필요하다. 지구온난화로 해양 탄소포화도가 높아져 절대적인 산소량 자체도 줄어든 상황에서 산소를 효율적으로 공급하려면 몸집을 줄여나가는 수밖에 없다.

몸집이 작아지면 그것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또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에너지 비축량이 줄어들어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없게 되면 적합한 서식지를 찾아 떠나는 것도 불가능하다. 게다가 고립된 개체군은 유전적 다양성도 줄어들어 생존력과 적응력이 더욱 약화하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이번 논문의 공동저자인 레딩대학교 크리스 벤데티 교수는 "바다 온도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오르면서 물고기들은 진화적인 측면에서 아주 빠르게 도태될 것이고,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치려 할 것"이라며 "앞으로 수십년 이내에 우리가 먹는 많은 어류종이 갈수록 드물어지고 아예 멸종해버릴 수 있어 식량안보에 시사하는 바도 크다"고 경고했다.

이 연구논문은 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