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범도 장군 서거 78년만에 고국품에...대전현충원 분향소 참배행렬 줄이어

나명진 기자 / 기사승인 : 2021-08-17 09:49:08
  • -
  • +
  • 인쇄
▲홍범도 장군의 유해가 15일 저녁 서울공항에 도착했다. (사진=연합뉴스)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던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이 서거한지 78년만에 광복절인 15일 고국으로 돌아왔다.

홍범도 장군의 유해를 실은 공군 특별수송기(KC-330)는 이날 오전 장군의 묘역이 있는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를 출발, 이날 오후 공군 전투기 6대의 호위 비행을 받으며 서울공항에 도착했다. 장군의 유해는 서울공항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맞이했다.

홍범도 장군의 유해는 의장대의 호위를 받으며 특별수송기에서 내렸다. 태극기로 쌓인 유해가 내려지는 동안 현장에서는 군악대 성악병이 스코틀랜드 민요 '올드 랭 사인'에 애국가 가사를 붙여 부르기도 했다.

청와대는 "이 노래는 1896년 11월 독립문 정초식에서 배재학당 학생들이 합창한 것을 시작으로 독립운동가들 사이에 국가처럼 불리던 노래"라며 "홍범도 장군의 넋을 기리기 위해 이 곡을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저녁 서울공항에서 홍범도 장군의 유해에 분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비행기 하기 후에 문 대통령 부부 등은 홍범도 장군의 유해 앞에서 분향했으며, 참석자들은 묵념으로 사망 후 78년만에 고국을 찾은 고인을 추모했다. 이후 유해는 운구차량으로 옮겨져 국립대전현충원에 도착했다.

홍범도 장군의 국민분향소가 마련된 국립대전현충원에는 16일 참배객들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분향소 운영 첫날 승차 참배를 비롯해 일반 참배객들이 1273명 다녀갔다. 추모 홈페이지에는 온라인 참배 2만763건, 추모 글 3215개가 게시됐다.

보훈처는 17일까지 이틀간 온·오프라인 추모 기간을 운영한다. 온라인 헌화와 분향을 원하면 보훈처 누리집(www.mpva.go.kr)에서 할 수 있다.

정부는 오는 18일 대전현충원에 장군의 유해를 안장할 계획이다.

▲16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 마련된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 국민분향소에서 한 시민이 신발을 벗고 큰 절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자연복원 참여기업 ESG실적 인정...첫 민관협력 사업 진행

기업이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자연환경 복원사업에 참여하면 ESG 경영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시범사업이 민관협력으로 진행된다.환경부는 민간기업인

환경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 모집

환경부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를 모집한다.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

화석연료에 46조 투자한 유럽 ESG펀드들...규제 앞두고 '이름지우기' 분주

유럽 투자회사들이 'ESG펀드'를 통해 화석연료 기업에 투자한 규모가 330억달러(약 46조1200억원)가 넘는다는 폭로가 나왔다. '무늬만 EGS펀드'는 이달부터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KCC, 지역 사회시설 환경개선 활동..."ESG경영 앞장"

KCC가 전국 사업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ESG경영에 앞장선다.KCC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SPC삼립,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사고에 "죄송하다" 사과문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사고는 19일 오전 3시쯤 시화공장에서 발생했으며, 숨진 A씨

기후/환경

+

산호초에 무해하다는 ‘리프 세이프’ 선크림...정말 안전할까?

자외선차단제(선크림) 성분이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산호초에 무해하다는 'Reef Safe'(산호초 안전) 마크를 붙인 제품

매년 3.2%씩 사라진 아마존...강수량도 5.4% 줄었다

아마존 산림면적이 감소하면서 강수량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19일(현지시간) 유 리우(Yu Liu) 중국 난징대학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지난 14년동안 산

"5월이 아까시꿀 제철인데"...양봉농가 잇단 폭우에 '시름'

"꿀이 막 올라오려던 참이었는데 갑자기 폭우가 쏟아지면서 꿀벌들이 꿀을 모을 시기를 놓치고 있다."최근 여름철을 방불케하는 장대비가 쏟아지면서

[새 정부에 바란다] "청년은 기후위기 피해자...의견 반영해야"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환경부,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고려'…환경단체 "정책 퇴보" 비판

환경부가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를 유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가 강도 높은 비판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