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단에 없던 1명 미군 인계조치 '곱씹어봐야'
아프카니스탄 조력자 390명이 입국했다.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우리 정부의 협력자들이기 때문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들을 데리고 온 수송작전은 기적(작전명도 미라클이다)과 같은 이야기로 소개되고 있다. 게다가 그들의 신분을 '협력자'로 받아들인 법무부의 조치가 국제사회에서 호평을 받고 이를 통해 국격이 높아졌다고들 말한다.
하지만 무언가 개운치 않다.
정부 발표에 의하면 이들은 '특별공로자'로 입국했다. 즉 이들 중에는 단 한 사람의 난민도 없다는 것이다. 이들을 받아들인 것은 한국 정부를 위해 협력한 공로에 대한 대가와 보상인 셈이다. 청와대는 '함께 일한 동료에 대한 도의적 책임'이란 말로 이들의 입국의 정당성을 갈무리했다. 상황이 매우 긴박하게 전개돼 선제적으로 이들을 보호하는 조치가 불가피하기도 했다. 아울러 이들을 난민 지위로 받아들일 경우 발생하는 복잡한 난민 수용 절차와 예민하게 촉발될 찬반 논란을 넘어서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사실 아프칸 조력자의 이송 스토리에는 비극적인 한 장면이 있다. 보도에 의하면, 카불을 떠나 기착한 파키스탄 공항에서 명단에 없는 한 사람을 발견해 일행에서 격리시켜 미군에 인계했다고 한다. 이 이야기를 들은 사람이라면 안타까움을 느꼈을 것이다. 왜 그를 데리고 올 수 없었나? 서류에 이름이 없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장면을 깊이 조명하고 성찰해야 한다. 그 한 사람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난민이었다. 그 한 사람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배제한 행위는 난민을 환대하지 못하는 우리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내는 징후이기 때문이다.
프랑스 철학자 자크 데리다는 <환대에 대하여>에서 환대 개념이 지니고 있는 모순을 지적했다. '환대'라는 말에는 상대방을 손님이요 이방인이라고 보는 뚜렷한 경계선이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환대의 도식에서는 나는 주인이고 너는 객이며, 나는 은혜를 베푸는 자이고 너는 보호대상이 된다는 전제가 담겨 있다.
아울러 서구 사회에서 무척이나 강조하는 톨레랑스(tolerance) 역시 마찬가지다. 나는 관용을 베푸는 자이자 우월한 자이고 너는 관용의 대상이 되는 열등한 존재이거나 관용으로 품어야 할 어떤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라는 전제가 깔려있다. 즉 환대나 관용은 우월자적 입장을 내포하고 있는 셈이다. 우리로 하여금 순수하고 철저하게 환대를 실천하도록 성찰하게 하는 사유가 아닐 수 없다.
아프카니스탄을 둘러싼 배치는 매우 복잡한 함수를 내포하고 있다. 이 영토를 둘러싸고 정신적 종교적 문화적 대립의 선이 강한 선분성으로 그어져 있다. 즉 미국 대 중동, 기독교 대 이슬람, 유태인 대 무슬림이라는 적대적 구도가 격렬하게 충돌하고 있는 것이다. 환대는 유대그리스도교 사상에서 가장 중심적인 윤리다.
성서 전체에는 나그네 즉 난민을 환대하라는 사랑의 계명이 가득하다. 창세기에는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의 학대를 견디다 못해 도망친 후처 하갈의 이야기가 기록돼 있다. 광야에서 하갈은 죽음의 위기에 처한다. 이때 천사가 나타나 돌본다. 하갈은 이방종교의 여인 즉 이집트 여인이었다. 이 이야기는 약자와 이방인을 환대하는 야웨 신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서의 맥락과 달리 유태인들과 그리스도교 진영이 유독 배타적이고 특히 무슬림을 적대하는 것은 난센스다.
우리는 난민을 환대하고 있는가. 390명의 조력자들은 넓은 의미에서 난민이다. 그들을 난민보다 우월한 지위로 받아들인 행위는 수긍할 만하다. 하지만 정부기관 협력자 이외의 한국기업과 NGO협력자들은 배제했다고 한다. 우리는 난민에 대해 결코 관대하지 않았다.
게다가 우리 사회의 정서는 유달리 이슬람 혐오와 포비아가 만연하다. 심지어 이슬람 난민을 경계하고 혐오하는 언어들이 등장하기조차 한다. 여러 통계를 보아도 우리 정부는 난민을 아주 까다로운 조건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아프칸 조력자'라는 언표(言表)는 우리의 닫혀있음과 배타성을 여실히 드러낸다.
우리도 한때 난민이었다. 우리 역사 속에서 일어난 숱한 전란들에서 전국토가 유린되고 백성들은 난민이 되어 유랑했었다. 흉년과 가난과 탐관오리의 갈취로 유랑의 길을 택하기도 했다. 가혹했던 일제의 지배로 대규모 유민이 발생했으며, 한국전쟁의 와중에 한반도 전체가 난민의 행렬로 가득했었다. 그 결과 지금도 코리안 디아스포라가 전세계에 흩어져 있다.
이름을 알 수 없는 '그 한 사람'을 데리고 와 난민 수용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마땅했다. 그런 일은 위대한 상징적 제스처가 된다. 그렇게 했다면, 아마 우리 사회의 환대가 성큼 도약했으리라.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