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英정부 및 기업·대학과 업무협약

금융감독원이 영국 정부, 그리고 기업 및 학계 등과 함께 기후리스크에 따른 기업이나 금융기관들의 손실을 예측해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 기후리스크 관리모형' 개발에 나섰다.
금감원은 13일 오전 주한 영국대사관에서 정은보 금감원장, 사이먼 스미스 주한 영국대사 등이 참여한 가운데 기후리스크 관리모형인 '프론티어 -1.5D'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이화여대, SK이노베이션, CJ제일제당, 삼성바이오로직스,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등의 총장과 대표들도 참석했다.
'프론티어 -1.5D'는 지구 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내로 제한하는 '국제적 합의 성취를 선도'한다는 의미다. 기후변화에 따른 물적 피해를 뜻하는 물리적 리스크와 저탄소 사회로 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융손실을 의미하는 이행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한 관리 모형이다.
국제결제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은 지난해 'Green Swan' 보고서에서 금융당국은 정부, 기업, 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합리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입장을 조율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다. 이에 금감원은 관리모형을 만들고 기후리스크 관리를 위한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참여 기업들은 기후리스크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고 연구개발에 협력한다. 이화여대는 연구방법론과 모형을 개발하고, 영국(대사관)은 관련 자문을 제공하기로 했다. 참여기관들은 공동으로 모형을 개발한 후 각자의 필요에 맞게 변형해 활용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이 모형 개발로 △기후리스크의 선제적 대비 및 감독역량 강화 △기업의 기후리스크 관련 경영 불확실성 관리 및 친환경적 경영전략 수립 지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