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경영 잘하는 기업이 수익성도 좋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11-04 18:04:28
  • -
  • +
  • 인쇄
산업연구원 "ESG 역량과 재무성과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
ESG 경영 확대 위한 정부개입 당위성 부여

재무적 가치를 넘어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의 경영 방침을 나타내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역량'이 높을수록 수익 지표인 자산수익률(당기순이익/자산총액)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업연구원(KIET)은 국내 868개 기업을 대상으로 ESG 등급과 자산수익률의 관계를 담은 보고서 '기업 ESG 경영 확대에 대한 산업정책적 접근과 시사점'을 지난 2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상장기업의 ESG 역량과 재무성과 간 유의미한 관계가 관찰됐다.

KIET는 2011년부터 2020년 사이 국내기업의 ESG 등급을 7단계(A+=7, A=6, A-=5, B+=4, B=3, C=3, D=3)로 나누어 매겼다. ESG 전체 평균은 3.17(B), 최고 평균을 받은 산업은 4.17(B+)을 받은 우편 및 통신업, 최저 평균 등급 산업은 2.13(C)을 받은 기타 제품 제조업이었다.
 
이를 기반으로 각 기업의 자산수익률과 ESG 등급의 상관관계를 실증분석한 결과 ESG 종합등급과 E, S, G 개별등급이 1% 높은 기업은 자산수익률이 각각 0.031%포인트, 0.024%포인트, 0.033%포인트, 0.031%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ESG 실증분석 결과: 자산수익률과 E, S, G 등급의 상관관계 (자료=KIET)
  ESG E S G
자산수익률 0.031 0.024 0.033 0.031

KIET는 이번 분석으로 "국내기업의 비재무적 ESG 등급과 재무실적 간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며 이는 "기업을 둘러싼 산업환경과 기업경쟁력의 원천이 변화했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또 ESG 경영 확대를 위한 정부 개입에 대한 당위성을 부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KIET는 또 ESG의 '등급 지속성'을 관찰했다. '등급 지속성'은 기업의 이번 연도의 등급과 다음 연도의 등급 간의 상관관계이며 수치가 높을수록 다음 연도에도 같은 등급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분석결과, 기업별 등급 지속성이 높게 나타나면서 KIET는 "ESG 역량이 단기간 내 상향 조정되기 어렵고, 선제적이며 지속적인 대응의 필요성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ESG, E, S, G 등급 지속성 (자료=KIET)
ESG E S G
0.697 0.746 0.707 0.652

다만 KIET는 각각의 ESG 등급이 자산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산업별로 차이를 보여 지원정책 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특히 환경 부문의 대응역량과 자산수익률의 관계가 산업별로 가장 상이하게 관찰된다. 일례로 E등급이 1% 높은 기업의 경우 수상운송업에서는 자산수익률이 0.3%포인트 높지만, 의료, 정밀, 광학기기 분야에서는 자산수익률이 0.3%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KIET는 변화된 산업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의 ESG 경영 역량 확충과 정부 차원의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산업별 ESG 현황을 파악할 것 △ESG 연관 산업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 및 대응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ESG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을 마련할 것 △중요 도전과제로 개선 필요성이 높은 환경(E) 부문에 대한 획기적인 역량 강화를 위해 관련 기술 R&D 등 맞춤식 정책을 마련할 것을 제언했다.

한편 2020년 기준 전세계 ESG 관련 투자 규모는 35조3010억달러(약 4경1747조원), 국내는 (약 438조원)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 충격 이후 미국에서 ESG 관련 테마 포트폴리오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수익률을 회복하고 있으며 국내 ESG 테마 펀드는 코로나19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평균 10%의 수익률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