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수양변기 설치법' 위반한 건설사들...아파트 입주자들 '요금 덤터기'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1-18 08:00:03
  • -
  • +
  • 인쇄
2014년 이후 신축건물 절수형 양변기 설치의무화
6L양변기 설치한 아파트 없어...8년간 적발건수 '0'
▲2014년 이후 신축건물은 1회 물사용량이 6리터 이하인 절수형 양변기 설치가 의무화돼 있다.


2014년 이후 신축한 아파트들은 1회 물사용량이 6리터 이하인 '절수형 양변기'를 반드시 설치해야 하지만 이를 제대로 지킨 건설사들이 없어 소비자들이 그 피해를 고스란히 당하고 있다.

본지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비롯해 현대건설, 대우건설, 호반건설, GS건설, 현대산업개발, 포스코건설, 계룡건설, 삼성물산 등 국내 건설사들이 2014년 이후 신축한 100만세대가 넘는 아파트들 가운데 '6리터 이하 양변기'가 설치된 곳은 거의 없었다.

현행 수도법 제15조에는 2014년 1월 1일 이후 신축한 건물은 1회 물사용량이 6리터 이하인 절수형 양변기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지만 2020년 신축아파트들조차 이를 위반하고 있는데도 지금까지 적발된 곳은 단 1곳도 없다.

이는 한국YMCA전국연맹이 지난해 11월 20일~올해 1월 11일까지 2개월동안 2014년 이후 지어진 아파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양변기 물사용량 측정결과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18일 한국YMCA 조사결과에 따르면, 양변기 물사용량을 측정한 10개 아파트 가운데 수도법이 정한 '6리터 이하' 기준을 충족시키는 곳이 단 한곳도 없었다.

2014년 10월 사용승인을 받은 'LH강남아이파크'는 양변기 1회 물사용량이 10.87리터로 기준보다 4.87리터 초과했다. 삼성물산이 2015년 2월 사용승인을 받은 서울 마포구 토정로의 '래미안 마포 리버웰'은 12.7리터로, 기준보다 무려 6.7리터 초과했다. 1회 물사용량이 비교적 낮은 호반건설이나 GS건설, 대우건설의 아파트들도 기준인 6리터 이하를 만족하는 양변기가 설치된 곳은 없었다.

◆2014년 이후 건설된 10개 아파트의 양변기 1회 물사용량 (자료=한국YMCA전국연맹)
연번 건설사 아파트 소재지 양변기 물사용량 (리터) 사용승인일
1 LH LH 강남아이파크 10.87 2014.10
2 경기 김포 8.00 2014.12
3 현대건설 인천 연수구 7.00 2020.10
4 삼성물산 서울 마포구 토정로 12.07 2015.02
5 GS건설 경기 화성시 동탄대로 7.70 2018.03
6 대우건설 경기 용인시 기흥구 7.80 2018.07
7 한양건설 인천 서구 청라동 10.00 2019.01
8 우미건설 경기 남양주시 11.78 2019.12
9 호반건설 인천 연수구 랜드마크로 8.50 2020.02
10 경기 성남시 수정구 7.30 2019.07
양변기 1회 물사용량 평균값 9.10

현행 수도법에는 '절수형 양변기' 설치 의무화를 어기면 적발시마다 양변기 1대당 3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돼 있다. 500세대 아파트단지에 1가구당 2대의 양변기가 설치돼 있다고 가정하면, 수도법을 위반한 1000개의 양변기에 대해 각 300만원씩 총 30억원의 과태료를 부과해야 한다. 그러나 이를 관리감독해야 하는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과태료 부과는커녕 지금까지 단 1건의 시정명령조차 내린 적이 없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하루 생활용수 사용량은 약 282리터이고, 이 가운데 25%가 양변기 물사용량이다. 15세 이상 성인 4500만명이 하루 사용하는 양변기 물사용량은 317만8482톤으로, 1톤당 수도요금 3000원을 기준으로 했을 때 110억원에 이른다.

이에 환경부는 양변기 물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지난 2014년 수도법 개정을 통해 신축건물을 대상으로 절수형 양변기 설치를 의무화했던 것이다. 1회 물사용량이 10리터 안팎에 달하는 일반 양변기에 비해 1회 물사용량 6리터 이하인 절수형 양변기를 사용하면 1년에 수돗물을 약 40% 아낄 수 있고, 수도요금도 약 1조7000억원 절감된다.

그런데 건설사들은 공사비를 절감할 목적으로 그동안 절수형 양변기 대신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일반 양변기를 설치하면서 물낭비를 초래해왔던 것이다. 일반 양변기 가격은 평균 12만~20만원인데 비해, 절수형 양변기는 30만~40만원으로 가격이 비싸다. 이로 인한 피해는 아파트 입주자들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절수형 양변기가 설치돼 있었으면 안냈어도 될 수도요금을 꼬박꼬박 내왔던 것이다.

한국YMCA는 "양변기 1회 물사용량 6리터 이하만 준수했더라도 우리나라는 1년에 4억7000만톤의 물을 아낄 수 있다"면서 "이는 총 저수용량이 2억4400만톤에 달하는 팔당댐의 2배에 달하는 양"이라고 밝혔다. 이로 인한 탄소 저감량도 최소 76만톤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한국YMCA는 탄소중립 실천 차원에서 △정부가 법이 정한 양변기 물 사용이 지켜질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감독할 것을 주문했다. 아울러 △정부는 단순 조작으로 양변기의 물사용량을 6리터 이상으로 조절하지 못하도록 고정형 양변기 제조를 의무화 하고 △탄소중립을 위해 물 사용량이 많은 공공화장실의 양변기를 절수형으로 교체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양변기 등급표시제'는 오는 2월 18일부터 의무화된다. 4리터 이하는 1등급, 5리터 이하는 2등급, 6리터 이하는 3등급으로 표시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