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친 '기후 패배주의' 경계...'1.5℃' 불가능 안해
탄소배출에 발빠르게 대처만 한다면 지구온난화가 3~5년 이내 종식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기후과학자들은 최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언론인들의 국제공동기획 '커버링클라이밋나우'(CCNow·Covering Climate Now)가 주최하는 웨비나에 참석해 이같이 주장했다. 이번 행사는 이달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보고서 발간을 앞두고 기후과학 연구분야 최신 동향을 정리하려는 취지에서 열렸다.
패널로 초청된 기후과학자는 '신기후전쟁'의 저자 마이클 만(Michael Mann)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 교수와 방글라데시에 위치한 국제기후변화개발센터(ICCCAD) 살리물 허크(Saleemul Huq) 소장이다. 두 전문가는 전세계가 온실가스 배출을 중단한다면 이르면 3년내 기온상승폭이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이들은 기후위기는 이미 돌이킬 수 없고, 손쓸 방도가 없다고 생각하는 패배주의를 경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그간 기후위기에 대한 극단적인 전망들이 쏟아져나오면서 파리기후변화협정이 설정한 인류생존의 마지노선 '1.5℃ 목표'를 넘어설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미 지구기온은 1.1°C 오른 상황이고, 당장 온실가스 배출을 멈춘다 해도 생태계가 파괴된 탓에 30~40년간 기온상승폭이 안정화에 접어들지 못한 채 최악의 경우 2.4°C를 향해 꾸준히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하지만 마이클 만 교수는 "우린 아직 끝장난 게 아니다"고 말한다. 그는 기존 기후모델들이 이산화탄소 흡수원의 역할을 간과했다고 짚었다. 기후모델이란 대기, 해양, 지면 등 기후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기후 요소 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물리, 역학적인 수치 방정식으로 단순화 시켜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수치모델을 의미한다.
만 교수는 이를 부엌 싱크대가 작동하는 원리와 같은 이치라고 설명했다. 배수구가 막힌 채 싱크대의 수도꼭지를 틀어놓으면 물이 차오르지만, 수도꼭지를 멈추면 물 수위가 그대로 유지되고, 배수구를 연다면 물이 빠져나간다는 것이다. "배수구가 곧 이산화탄소 흡수원이 하는 역할"이라며 "우리는 그동안 배수구가 열려있다는 사실은 간과하고 수도꼭지를 잠그는 일에만 집중했다. 생각했던 것보다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이 더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살리물 허크 소장은 ICCCAD가 위치한 방글라데시가 "기후변화에 가장 큰 피해자이지만, 동시에 가장 잘 적응한 국가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인구 1억7000만명의 방글라데시는 인구밀도가 매우 높고, 국토 3분의 1이 저지대이면서 강에 둘러싸인 삼각주이기 때문에 홍수가 빈번해 기후위기에 어느 나라보다 취약하다.
잦은 홍수와 사이클론으로 바닷물이 흘러들어오면서 농작물 피해가 컸던 방글라데시는 최근 내염성 벼품종을 개발하거나 '떠다니는 논밭'으로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다만 허크 소장은 "적응에는 한계가 있다"면서 "어느 시점을 넘어서게 되면 주민들은 떠나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근본적인 원인인 지구온난화를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끝으로 이번 세미나를 진행한 CCNow 공동창립자 마크 허츠가드(Mark Hertsgaard)는 이번 분석이 기후위기에 관한 담론을 3가지 차원에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했다.
먼저 심리적 차원에서 대중들이 기후변화에 대한 무력감에서 벗어나게 된다. 실질적으로 해결이 가능한 일로 여겨지면서 투표나 시위 등 시민들의 행동에 탄력이 붙게 된다. 둘째로 이는 자연스레 정치권을 변화시킨다. 허츠가드는 결국 이같은 움직임이 결과적으로 정책을 변화시키면서 기후위기에 따른 최악의 상황을 만회하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