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코딩방식 바꾸면...전력소모 99% 절감할 수 있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3-30 14:17:50
  • -
  • +
  • 인쇄
비트코인 코딩방식, PoW에서 PoS로 전환해야
이더리움은 올 2분기 이내에 PoS로 전환 예정


비트코인의 코딩방식을 바꾸면 채굴시 소모되는 전력을 99% 이상 절감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8일(현지시간) 미국의 비영리 환경시민단체 환경워킹그룹(EWG),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 등은 '기후가 아니라 코딩을 바꾸자'(Change the Code Not the Climate) 캠페인을 시작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는 모든 거래내역을 암호화된 정보로 공유하도록 돕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투명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보장하는 디지털 자산이다. 암호화폐를 얻는 방법은 크게 3가지다. 거래소에서 직접 구입하는 방법,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한 대가로 받는 방법, 새로운 비트코인을 '채굴'(mining)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여기서 '채굴'은 모든 사람의 장부에 거래 기록을 추가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기본적으로 암호화폐는 '탈중앙화'를 지향하기 때문에 '채굴'을 통해 은행의 역할을 대신해 거래 장부를 관리할 '관리자'가 필요하다. 사용자가 많아지고 거래량이 늘어날수록, 암호화해서 기록해야 하는 정보량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채굴'을 한 사람에게 확률적으로 일정량의 암호화폐가 보상으로 지급된다. 노역을 들여 확률적으로 보상을 얻어내는 과정이 금광에서 금을 캐내는 과정과 비슷해 여기 빗댄 표현이 굳어진 것이다.

문제는 채굴 과정이 엄청난 연산능력을 필요로 하고,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려면 막대한 양의 전기가 소모된다는 점이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대안금융센터에 따르면 전세계 비트코인 채굴의 전력소비량은 136.79테라와트시(TWh)로 스웨덴의 연간 전력생산량을 넘는다. 특히 2021년 중국이 암호화폐 채굴을 금지하자 채굴자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지난해 8월 미국의 탄소배출량이 2020년 평균치를 17%나 웃도는 결과가 나왔다.

게다가 암호화폐 채굴은 화석연료 사용을 부추기기까지 한다. 최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소재 채굴기업 스트롱홀드 디지털 마이닝(stronghold Digital Mining)은 1억5000만달러(약 1817억원)를 들여 1800대의 컴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소를 열었다. 그런데 해당 발전소는 동력원으로 연간 60만톤에 달하는 값싼 석탄 폐기물을 연소시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환경단체들이 암호화폐 채굴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더는 간과할 수 없다고 나선 것이다. '기후가 아니라 코딩을 바꾸자' 캠페이너들은 비트코인의 코딩을 변경해 채굴방식을 전환하기만 해도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채굴방식을 '작업증명'(Proof of Work·PoW)에서 '지분증명'(Proof of Stake·PoS)으로 전환하면 전력소모량을 99.95%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더리움은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올 2분기 이내에 PoS 방식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비트코인은 PoW 방식을 사용한다. PoW는 작업량이 많다고 증명한 사람에게 채굴 보상을 해주는 시스템이다. 암호화를 위한 알고리즘은 답이 정해져있고, 답에 이르기 위한 수식은 무궁무진하다. 수식을 맞춘 사람에게 보상이 주어지기 때문에 누구보다 빠르게 많은 입력값을 넣을 수 있는 기계가 필요하고, 이로 인한 전력소요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그러니까 비트코인은 전력을 소모해 환경을 파괴할수록 인센티브가 주어지는 것이다.

반면 PoS 방식은 암호화폐의 보유량에 따라 관리자 역할을 맡을 확률이 높아진다. 누가 얼마나 빨리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푸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지갑에 얼마나 많은 암호화폐가 들어있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PoS 방식은 별도의 채굴기가 필요없고, 암호화폐를 보유한 누구나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기만 한다면 채굴에 참여할 수 있다.

'기후가 아니라 코딩을 바꾸자' 캠페인의 책임자 마이클 브룬(Michael Brune)은 "현재 업계 주요 인사 및 기업 12곳과 협력하고 있다"며 "이들 중 일부는 비트코인 관련 사업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준수를 약속했다"고 밝혔다. 리플코인 공동창업자 크리스 라슨(Chris Larsen) 역시 "이더리움이 PoS 기반 네트워크로 전환하면 비트코인은 외톨이가 된다"면서 "비트코인이 환경 친화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면 지속적인 투자자 지원을 받지 못할 것"이라며 "지금의 비트코인은 지속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