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 CO₂ 흡수량 차량 11만대 배출량과 맞먹어
경기도가 갯벌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생태적 가치를 알리기 위한 '갯벌 생태지도'를 만든다.
12일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올해 시흥‧안산지역 56.3ha, 내년 화성지역 72.4ha 등 총 128.7ha의 갯벌을 대상으로 '경기갯벌 생태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현장‧탐문‧문헌 조사를 마치면 2024년까지 '알기쉬운 경기갯벌 생태지도'를 제작할 예정이다.
갯벌은 환경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 갯벌은 1300만톤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고, 해마다 자동차 11만대 배출량에 맞먹는 26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갯벌 가장자리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은 오염물질을 정화하며, 육상생태계와 해양생태계 사이에서 홍수로 인한 물의 흐름을 완화하고 저장하는 완충지대 역할을 한다.
또 갯벌은 상업적 이용가치가 크다. 갯벌에서는 전체 어획량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수많은 어패류에게 서식지와 산란장을 제공한다. 바지락, 백합 등 연간 3000톤 규모의 조개류가 생산·판매되면서 어민들의 생계를 책임진다. 관광적으로도 가치가 있어 경기갯벌은 어촌계를 중심으로 현재 10개의 어촌 체험 마을을 운영한다. 연간 방문객 수는 약 450만명에 달한다. 고창 갯벌의 경우 국제적인 중요성을 지닌 '람사르습지'로 선정됐다.
경기도내 갯벌은 화성 72.4ha, 안산 50.4ha, 평택 8.0ha, 시흥 5.9ha, 김포 31ha 등 총 167.7ha규모다. 그러나 시화지구(180㎢) 등 대형 개발사업으로 갯벌이 대거 소실됐고, 환경‧기후변화로 바지락, 가무락, 굴 등 주요 조개류의 생산량도 2000년대 초반 약 1만3000톤에서 2021년 약 1800톤으로 86% 이상 감소하는 등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경기 갯벌을 체계적으로 이용하고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화성, 안산, 시흥 갯벌을 올해부터 3년간 조사한다. 갯벌 현장 조사를 통해 주요 조개류와 보호종 등의 다양한 생물을 조사하고 갯벌의 저질 특성을 분석한다.
경기도는 이를 종합해 갯벌 주요 유용생물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갯벌을 활성화하는 수산정책과 시험연구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또 양식가능한 신품종 또는 우점종이 발견되면 시험품종 지정 및 시험양식을 추진할 계획이다.
조사가 완료되는 시점에는 갯벌에 서식하는 유용생물, 갯벌 성분, 마을 어장과 보호구역 위치 등의 다양한 정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알기쉬운 경기갯벌 생태지도'도 제작한다.
김봉현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장은 "올해부터 3년간 경기 갯벌을 전체적으로 조사하고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도 수산정책 계획수립과 갯벌양식 활성화 시험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며 "조사를 토대로 완성된 갯벌 생태지도는 연구소 홈페이지 등에 게시해 우리 갯벌의 중요성을 도민에게 알리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