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루나 급락 코인판 리먼사태?....전문가들 "자연스런 솎아내기"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5-16 16:30:49
  • -
  • +
  • 인쇄
비트코인 나흘만에 3만1000달러대 복귀
"진정한 스테이블코인 솎아내는 과정일뿐"


스테이블코인 테라와 이에 연동되는 암호화폐 루나가 며칠 사이에 급락하면서 '코인판 리먼사태'가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 거품이 걷히면서 자연스러운 시장보정 수순을 밟고 있을 뿐 암호화폐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다.

16일 비트코인은 1개당 3만1000달러를 기록하며 하락세가 진정되는 모습이다. 지난 12일 루나·테라의 대폭락 이후 나흘만의 회복이다. 지난주 암호화폐 시장은 루나와 테라의 영향으로 전체 시가총액이 3000억달러(약 385조원)가량 증발했다. 1달러로 가치가 유지되도록 설계된 테라의 알고리즘이 깨지면서 루나 가격은 99% 넘게 폭락했고, 이 여파로 한때 비트코인은 2만5000달러선까지 떨어졌다.

테라는 블록체인 기업 테라폼랩스가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의 일종이다. 스테이블코인은 가격안정성을 높인 암호화폐로 크게 3가지 종류로 나뉜다. 중앙화된 발행 주체가 달러나 유로 등 법정화폐 비율을 1:1로 유지하는 '중앙화형',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계약에 예치된 자산을 담보로 하는 '자산담보형', 자매토큰을 발행하거나 소각해 가격을 유지하는 '알고리즘 기반'이 그것이다.

테라는 이 가운데 가격이 1달러 이하일 때 자매코인 루나가 테라를 사들이고, 반대의 경우 테라가 루나를 사들이는 알고리즘이 적용된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에 해당한다. 테라폼랩스는 수요를 올리기 위해 '앵커프로토콜'(Anchor Protocol)이라는 고금리 상품을 제공해 테라를 예치하면 약 20%의 연이자를 지급했다. 하지만 예치 이자를 받으려는 수요가 대출하려는 수요보다 많았고, 이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테라는 지원재단 '루나파운데이션가드'(LFG)를 조성해 준비금을 마련했다.

그런데 지난 8일 금리인상과 인플레이션 우려가 겹치면서 루나를 빨리 받아 팔려는 투자자들이 몰렸고, '뱅크런'(대규모 인출) 사태가 벌어졌다. 은행예금은 이같은 문제를 예금보험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테라는 민간 블록체인 기업이 이를 보증하고, 준비금이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에 버티지 못하고 무너져내렸다. 결국 테라 가격은 1달러 아래로 떨어졌고, 1대1 페깅(연동)이 불가능한 암호화폐는 스테이블코인으로서 가치가 없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테라 투매에 나서면서 가상화폐 시장에 큰 충격이 가해진 것이다.

하지만 이 충격은 오래 가지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시가총액이 832억달러(약 106조원)인 스테이블코인 업계 1위 테더와 487억달러(약 63조원)로 2위인 USD코인(USDC)에 비해 테라는 186억달러(약 24조원) 규모로 상대적으로 작아 충격이 빠르게 확산돼 시장 전체에 연쇄작용을 낳는 '금융전염' 효과가 낮기 때문이다.

또 '알고리즘 기반'의 테라 스테이블코인은 다른 스테이블코인과 비교했을 때 결이 다르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달러 등 실물자산이 뒷받침하고 있는 테더나 USDC와 달리 자체 프로토콜 토큰의 발행량 증감과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들은 특히 더 위험하다는 것이다. 샘 뱅크먼프리드 FTX 최고경영자(CEO)는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불씨가 된 구조화 상품과 비슷하다"며 "이름과 달리 안정적이지 않다. 법정통화의 뒷받침을 받는 스테이블코인과 달리 별개의 명칭으로 불려야 한다"고 밝혔다.

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은 지난 10일(현지시간) 청문회에서 "테라의 뱅크런 사태를 알고 있다"며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통해 소비자를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현재 규모로 봤을 때 이번 사태가 기존 금융시장에 영향을 끼칠 만큼 크지 않다"고 밝혔다.

테더의 공동창립자 리브 콜린스는 테라의 폭락에 대해 "상승장이 있어야 대유행을 이끌어내면서 돈과 똑똑한 사람들이 몰려들 수 있는 것이고, 하락장이 있어야 인파를 걷어내고 시장이 안정세에 접어들 수 있는 것"이라며 암호화폐 시장의 붕괴가 아닌 무엇이 진정한 '스테이블코인'인지 솎아내는 과정에 불과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 수해 복구에 30억 '쾌척'…기업들 구호손길 잇달아

삼성그룹은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21일 기부했다. 기부에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

삼성전자-LG전자, 침수지역 가전제품 무상점검 서비스

삼성전자서비스와 LG전자가 집중호우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침수된 가전제품 세척과 무상점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삼성전자서비스는 지난 18일부

"ESG 정책 중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가장 시급해"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한숨돌린 삼성전자...이재용 사법리스크 9년만에 털었다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2016년 국정농단 사건 이후 9년째 이어지던 '사법리스크'를 털어냈다. 그동안 1주일에 두번씩 법정에 출두

"잔반 없으면 탄소포인트 지급"...현대그린푸드, 단체급식에 '잔반제로' 보상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종합식품기업 현대그린푸드가 '탄소중립포인트' 제도에 신설된 '잔반제로' 항목을 단체급식업계 최초로 실제 단체급식 사업장에

"노사 칸막이 없는 문화"…LG CNS '노사문화 우수기업'에 선정

AX전문기업 LG CNS가 상호 존중과 대화, 협력을 바탕으로 한 모범적 노사문화를 실천한 공로를 인정받아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년 노사문화 우수기

기후/환경

+

상반기 전세계 보험손실액 117조원 '역대 최대'...절반이 美산불 손실액

올 상반기 자연재해로 전세계 보험손실액이 840억달러(약 117조6000억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상반기 보험손실액 가운데 최고치다. 미

"기상이변에 야외공연은 위험해"...美록밴드 스티브 밀러 투어 취소

미국 록밴드 스티브 밀러밴드가 올여름 예정됐던 북미 투어 일정을 전면 취소했다. 극심한 폭염과 산불, 예측 불가능한 폭우 등 기상이변이 이유다.밴

극한폭우가 산사태 피해 키웠다..."비는 그쳤지만 산사태 위험 여전"

5일간 이어지던 '극한폭우'는 멈췄지만 빗물을 머금은 토사가 무너져내리는 산사태 위험은 여전하다. 이에 산림청은 여전히 전국 12곳에 산사태 경보를

잠든 새벽에 내린 200㎜ 폭우...가평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모두가 잠든 20일 새벽에 2시간동안 내린 집중호우가 경기도 가평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다.이날 가평군에는 시간당 76㎜에 달하는 비가 쏟아졌다. 가평

순식간에 물바다 만든 '괴물폭우'...5일간 전국 휩쓸며 '초토화'

닷새동안 이어진 전례없는 '극한호우'에 전국이 쑥대밭이 되면서 많은 사상자와 피해가 발생했다.지난 16일부터 20일 오후 5시까지 지역별로 내린 누적

[날씨] 폭우 그치자 '폭염' 시작...곳곳에 소나기도 빈번

하늘에 구멍이 뚫린 듯 퍼붓던 폭우가 물러가면서 폭염이 또다시 덮칠 예정이다.월요일인 21일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체감온도가 33℃ 이상으로 치솟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