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 지역에 한가지 수종만 심으면 위험
나무심기 운동은 탄소를 포집하고 기후위기를 극복할 방안으로 여겨졌지만 막무가내로 심을 경우 오히려 환경에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메릴랜드 볼티모어 카운티주립대학의 지리 및 환경시스템부 매튜 페이건(Matthew Fagan) 부교수 연구팀은 위성사진으로 2000~2012년 전세계 열대지방의 나무를 분석한 결과 식재된 나무의 14%는 식물이 서식하기 어려운 건조한 지역에 심어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나무들은 결국 주변 물까지 빨아들여 기존 생태계를 더 위협하고 있다.
연구팀은 아프리카 북부에 위치한 사하라 사막 이남의 초원지대를 예로 들었다. 이곳에서는 사막화를 방지하기 위해 땅을 개간해 나무를 심고 있다. 페이건 부교수는 "나무는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기에 주변 물들을 모조리 흡수한다"며 "안그래도 물이 부족한 이 지역에서 물이 더 없어져 기존 식물들이 말라 죽게 된다"고 설명했다.
대부분의 나무들이 생물종이 다양한 지역에 심어지는 것도 문제로 꼽혔다. 페이건은 "12년동안 새로 심어진 나무의 92%는 생물다양성 핵심지대(핫스폿)에 위치했다"며 "그 중 대부분의 나무들이 하나의 종으로만 심어져 생물다양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 본 첼린지(Bonn Challenge)에서 목표하는 재조림(다시 산림을 조성하는 것) 선언 중 45%가 나무심기로 달성되는 만큼, 나무심기의 영향을 충분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본 챌린지는 2030년까지 350만km² 만큼의 산림을 복원하는 세계적인 목표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120만배다.
페이건 부교수는 "우리는 나무를 심는 것이 무조건 환경에 도움이 되는 행위라고 착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하지만 초원과 사바나같은 곳에 나무를 심는 것은 그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파괴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정부에서 나무심기를 무조건적으로 권장하는 경우도 문제가 생긴다. 실제로 칠레에서는 1974~2012년까지 정부가 나무심기 비용을 지원해줬는데 이로 인해 일부 주민들은 더 수익성 높은 나무를 심기 위해 기존의 숲을 파괴하기도 했다.
페이건 부교수는 "단순히 나무를 심는 행위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라며 "어디에 심고 그 심은 효과가 다른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으며 탄소흡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정밀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바른 장소에 있는 나무가 환경을 위한 올바른 선택이라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속가능성(Natural Sustainability)에 실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