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재생에너지 무섭게 늘리더니...전력부문 탄소배출량 '역대 최저'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7 15:46:17
  • -
  • +
  • 인쇄
▲ 중국 허베이성에 즐비하게 세워진 풍력터빈 (사진=REUTERS/Tingshu Wang)

올 상반기 중국의 전력부문 탄소배출량이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석탄발전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높인 결과다.

16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국의 전기 1킬로와트시(kWh)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평균 492g이었다. 중국에서 kWh당 500g 미만을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2023년 상반기 탄소배출량 539g/kWh과 비교하면 약 8.7% 감소한 것이며, 지난해 상반기 514g/kWh보다 약 4.3% 줄어든 수준이다. 

중국은 1초당 약 100개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9분마다 풍력터빈 1기를 설치할 수준으로 재생에너지 비중을 빠르게 늘려가고 있다. 지난 5월 한달간 추가한 태양광 발전용량만 93GW였다. 태양광 패널 약 2억3000만장을 한달에 설치했다는 것이다. 5월에 설치된 풍력터빈은 약 5300기로, 25GW에 달했다.

중국 국가에너지국에 따르면 5월말 기준 중국의 누적 태양광 발전용량은 1.08테라와트(TW)다. 이는 전세계 태양광 설비용량의 약 절반에 해당한다. 2019년까지만 해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약 13%에 불과했던 중국은 매년 이를 약 2%씩 늘리면서 올해 24%까지 끌어올렸다. 24% 가운데 14%가 풍력이 차지할 정도로 풍력발전 비중이 늘었다. 2019년과 비교하면 2배 상승이다. 나머지는 태양광이 6%, 수력이 4%다.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이 늘면서 화력발전은 상대적으로 쪼그라들고 있다. 2019년 85%에 달했던 화력발전은 현재 75%로 10% 줄었다. 중국에서 원자력 발전비중은 1% 수준에 불과하다.

'전세계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은 전세계 탄소배출량의 34%를 차지할 정도로 '탄소 다배출국'이다. 코로나19 시기에 멈췄던 공장과 건설이 엔데믹 이후에 재개되면서 2023년 6월에 13억톤CO₂까지 배출량이 늘어났다가, 재생에너지 확대와 경기둔화로 올초에 12.2억톤CO₂까지 줄었다. 올 5월까지 12개월 연속 탄소배출량이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2030년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를 이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은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탄소배출량을 65%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2020년부터 2025년까지 18%를 감축해야 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아직 절반도 달성하지 못한 상황이다. 지난해 말 기준 2005년 대비 7.9% 감축에 그쳤다.

이에 중국 정부는 남은 5년동안 10.1%를 감축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비중의 속도를 더 높일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2035년 NDC 61.2% 정해야...산업 경쟁력 강화할 기회"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1.2%로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5일 국회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성명을 통해 "20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