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또 '그린워싱' 논란...기후위기 홍보하면서 배기가스 조작?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2-07-05 07:40:02
  • -
  • +
  • 인쇄
독일에서 '車 배기가스 조작혐의' 휩싸여
RE100 가입해놓고 'LNG발전소' 건립추진
▲ 현대차 글로벌 브랜드 캠페인 'The Bigger Crash'의 한 장면 (사진=현대차)


허리케인 카트리나, 태풍 제비 등 기후재앙으로 쑥대밭이 된 도시. 현대자동차 글로벌 브랜드 캠페인 'The Bigger Crash'의 한 장면이다. 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전달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친환경 움직임의 필요성을 강조한 이 캠페인은 올해 칸 국제광고제에서 은사자상(은상)을 수상했다.

이처럼 광고로 쌓아올린 현대차의 친환경 이미지는 '그린워싱' 비판에 휩싸였다.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건설을 둘러싼 논란과 독일에서 배기가스 조작혐의에 따른 검찰조사 등이 연거푸 터지고 있어서다.

특히 독일에서 배기가스 조작혐의는 상당히 심각하다. 지난 4일 그린피스가 독일 당국의 배기가스 검사 자료를 입수해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검사대상 10개 모델 모두 주행시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기준치를 훨씬 초과했다.

독일 정부는 지난 2015년 폭스바겐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조작 사건이 터지자, 독일에서 판매중인 화석연료 차량 전반에 대해 주행시 배출되는 배기가스 검사를 실시했다. 이 기간에 검사받은 현대·기아차 10개 모델이 모두 실험실 인증검사 때보다 훨씬 많은 유해가스를 주행중 배출했다.

i20은 독일 연방도로교통청(KBA, Kraftfahrt-bundesamt)이 실시한 검사에서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903.09mg로 나왔다. 이는 유로6 기준인 1km당 허용치 80mg보다 11.2배 높은 수치다. 현대 ix35는 1118.28mg을 배출해 유로5 기준 1km당 180mg보다 최대 6.2배 많은 질소산화물이 검출됐다. 기아 쏘렌토는 490mg 배출로 6.1배, 현대 싼타페가 421mg로 5.3배, i30이 331mg, 투싼이 329mg로, 둘 다 기준치보다 4.1배 많은 질소산화물을 배출했다.

이처럼 현대·기아차 10개 모델이 기준치 초과 배기가스를 배출한 것이 확인되면서, 독일 검찰은 현대·기아차가 배기가스 조작장치를 의도적으로 부착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압수수색을 실시한 것으로 파악된다. 만약 불법행위가 드러날 경우 현대차는 벌금과 과징금은 물론 일부 경영진이 구속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심하면 2015년 폭스바겐의 디젤게이트와 맞먹는 충격파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폭스바겐은 당시 1070만대에 달하는 디젤 차량의 배기가스 소프트웨어를 조작했다. 마르틴 빈터코른 CEO는 이 사건이 터지고 1주일 만에 자리에서 물러났다. 폭스바겐은 빈터코른 등 당시 임원진에게 책임을 물어 2억8800만유로(약 3907억원)를 받기로 합의했다.

현대차의 경우는 현재 독일 검찰의 조사가 진행중인 상황이어서 섣부르게 판단할 수 없다. 하지만 배기가스 조작 혐의를 받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기업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고 있다. 디젤게이트 이후 소비자들은 '배기가스 조작'을 범죄행위로 간주하고 있다. 게다가 글로벌 과제인 '기후위기 대응'에 역행하는 행위라는 점에서 '기후악당' 꼬리표가 붙을 수 있다. 소비자로부터 외면당할 수도 있다. 유럽 시장에서 점유율을 두자릿수로 끌어올린 현대차의 공든탑이 하루아침에 무너질 수 있음이다.

현대차의 그린워싱 비판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올 5월 현대차는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 건설계획을 밝혀 환경단체들에게 뭇매를 맞았다. 지난 4월 'RE100'에 가입했다고 발표한지 한달만이었다. 당시 현대차는 울산공장 부지에 대규모 LNG 열병합발전소를 건설하겠다고 밝히면서 재생에너지 확대에 역행한다는 지적을 받은 것이다. 2045년까지 RE100을 달성하겠다고 해놓고 화석연료인 LNG발전소를 짓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와 지역사회가 거세게 반발하자, 결국 현대차는 발전소 건립 계획을 잠정 중단했다.

사실 현대차는 '탈 내연기관' 목표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2030년까지 전기차 비중을 자동차 판매량의 60%로 늘려야 하고, 2035년부터는 전량 전기차만 판매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에 견줘보면 현대차의 전기차 확대 계획은 느긋한 편이다. 현대차는 유럽에서 2035년부터, 미국과 중국, 한국에서는 2040년부터 탈 내연기관을 계획중이다. 심지어 글로벌 판매량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신흥시장의 탈 내연기관 계획은 아예 없다.

RE100을 선언해놓고 돌아서서 화석연료 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넷제로를 외치면서 자동차 배기가스 조작의혹을 싸고 있는 것이다. 최은서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현대차는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알리는 캠페인 광고를 제작해 국제광고제에서 수상했다고 홍보하는 등 ESG경영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며 "하지만 실상은 겉과 속이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꼬집었다.

게다가 이같은 논란이 끊이지 않으면서 자칫 '그린워싱 기업'이라는 낙인이 찍힐 수 있다는 지적이다. 최은서 캠페이너는 "현대·기아차는 친환경 전기차 전환을 선도하는 것처럼 홍보만 할 게 아니라 글로벌 기업으로서 실질적이고 책임있는 모습을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