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기업] 종이로 만든 가구..."성인 2명 무게도 거뜬하죠"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7-20 11:01:02
  • -
  • +
  • 인쇄
페이퍼팝 '환경과 가성비' 모두 잡았다

▲ 종이로 만든 책장을 들어보이는 박대희 페이퍼팝 대표 


서울 강남에 위치한 페이퍼팝에 들어서자 곳곳에 종이로 만든 가구들로 가득차 있는 사무실 전경이 눈에 들어왔다. 종이로 만든 노트북 거치대, 종이로 만든 칸막이, 종이로 만든 책장. 국내 유일의 종이가구 회사의 명성만큼 온 공간이 종이들로 가득했다. 사무실 한켠에는 골판지들이 천장까지 쌓여있어 이곳이 택배센터인지 사무공간인지 순간 헷갈렸다. 

특히 수십권의 책들이 꽂혀있는 책장이 눈에 띄었다. 종이로 만든 책장이 저렇게 많은 책들의 무게를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신기하게 바라보는 기자에게 한 직원이 살짝 다가와 "종이가구는 최대 150kg의 무게를 견딜 수 있다"며 빙긋 웃었다.

일반적으로 '종이 가구는 견고할까' 하는 의구심이 들기 마련이다. 아무래도 종이는 쉽게 찢어지고 무게에 약하다는 선입견 때문일거다. 또 종이 가구는 물에 약하지 않을까 하는 의심도 든다. 하지만 페이퍼팝에서 제작한 종이 가구들은 이런 선입견을 무참히 깨트렸다. 나무로 만든 가구만큼 단단할 뿐만 아니라 표면에 방수처리를 해서인지 물에도 강하다.

2018년 국내 최초로 종이 가구회사인 '페이퍼팝'을 설립한 박대희(35) 대표는 종이로 가구를 만들기로 작정한 동기를 묻자 "환경에 대한고민의 결과"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사를 한번씩 할 때마다 사용하던 가구를 버리는 경우가 많다"며 "버려진 가구들은 대부분 소각되거나 매립되는데 이는 엄청난 환경오염을 일으킨다"고 했다.

페이퍼팝의 타깃은 명확하다. 이사를 자주 해야 하는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다. 박 대표는 "이사가 잦은 1인가구들이 버리는 가구 양은 어마어마하다"며 "종이가구를 사용한다면 버리는 가구들을 모두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1인가구를 타깃으로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우리나라 1인가구의 비율은 전체 2092만가구의 31.7%에 달한다. 

▲ 종이의자 메가토트(왼쪽 위), 종이 책장(오른쪽 위), 종이침대(왼쪽 아래), 종이의자 채셔(오른쪽 아래)


종이가구 사용처는 의외로 다양했다. 일상속 가구 외에도 축제나 전시회 등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박대희 대표는 "종이로 만든 가벽이나 책상 등을 사용하면 전시회가 끝나도 쓰레기로 버리지 않아도 된다"면서 "전시회 기간에 사용한 종이 가구와 물품은 다시 수거해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래서일까. 페이퍼팝 제품들은 기업 주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페이퍼팝은 현재 34종의 제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한다.

페이퍼팝의 종이가구 재활용률은 무려 95%에 달한다. 재활용률을 우선 순위에 두고 제품을 만들기 때문이다. 박 대표는 "재활용을 해야 하기 때문에 웬만한 가구는 염색을 하지 않는다"면서 "또 코팅도 겉면만 하고 안쪽에는 모두 재생 골판지를 사용한다"고 말했다. 자석이나 부가적인 플라스틱들은 오려낼 수 있다.

실제로 전시회 폐기물은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전시회를 마치면 수백톤의 종이, 목재, 가죽, 나일론, 스티로폼, 플라스틱 등이 배출되는데 이를 소각하면 다이옥신, 납, 수은 등의 독성물질이 발생한다. 부스 1개에서 나오는 폐기물의 양은 270kg에 달할 정도다.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등에서 발생하는 전시폐기물은 1회당 평균 20톤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축제에서 사용됐던 가구들도 대부분 폐기처분된다. 이에 페이퍼팝은 접이식 종이의자를 만들었다. 의자의 등받이는 평평하게 접어서 다시 사용할 수 있고, 100% 재활용 가능하다. 페이퍼팝은 재즈축제를 비롯해 한강몽땅축제 등에 이 의자를 납품했다.
 

▲페이퍼팝 직원은 "목재로 만든 책장처럼 여러 권의 책들을 꽂아도 하중에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newstree


일본은 이미 종이가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쿄올림픽에서 골판지 침대로 전세계의 조롱을 사기도 했지만 일본 국민들 실생활에선 종이가구가 흔하게 쓰인다. 박 대표는 "종이가구는 국내에선 생소하지만 일본에서는 이미 50년전부터 제작돼 왔다"며 "그런 일본 소비자들이 페이퍼팝 제품을 찾는다"고 자랑했다. 그 이유는 일본 종이가구 제품보다 저렴하고 품질이 좋기 때문이라고.

페이퍼팝 가구들은 자동차 엔진 블록이나 수출용 중화물 포장재에 사용되는 고배합 골판지로 만든다. 이 골판지는 일반 택배상자보다 2배에서 3배 튼튼하다. 박 대표는 "나무만큼 단단한 소재로 저렴하게 만드는 것이 페이퍼팝만의 전략"이라고 자부심을 드러냈다. 게다가 트렌디한 디자인도 강점이다. 실제로 종이 침대의 가격은 7만9000원으로 유명가구 브랜드인 이케아보다 50%~70% 저렴하다. 

박 대표는 "앞으로 1인가구뿐 아니라 일반 가구 시장을 겨냥한 제품도 개발할 예정"이라며 "전시용품이나 펫용 등 다양한 제품으로 일본뿐 아니라 유럽과 미국 등지에 수출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대한항공, SAF 사용확대...고베·오사카 노선도 국산SAF 1% 혼입

대한항공은 국내에서 생산한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를 사용하는 상용운항 노선을 확대한다고 22일 밝혔다.SAF는 폐기름, 동·

폐기된 서버 '로그기록' 있었다...KT, 소액결제 사태 새로운 단서?

KT가 폐기한 서버에서 로그기록이 별도로 백업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중국 해커집단의 국내 통신사 해킹 수법의 새로운 단서가 될지 주목된다.22일 KT가

하이트진로, 제주 이호테우해변서 ‘해변 가꾸기’ 환경정화

하이트진로가 '국제 연안 정화의 날'을 맞아 지난 19일 제주 이호테우해변에서 환경정화활동을 펼쳤다고 22일 밝혔다.하이트진로는 2020년 제주 표선해

2027년부터 국내급유 국제선 지속가능항공유 '1% 의무화'

2027년부터 국내에서 급유하는 모든 국제선 여객기에 지속가능항공유(SAF) 1% 혼합이 의무화된다.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항공업계 탄소중

대기업 취업시장 '활짝'…하반기 2만5000명 채용한다

삼성과 현대차 그리고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하반기 대규모 신규 채용에 나사면서 침체됐던 취업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19일 재계에 따

[알림]'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혁신 어워즈'...씨이텍 등 6개 기업 시상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진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혁신 어워즈' 수상기업으로 선정된 6개사에 대한 시상식이 19

기후/환경

+

"美 산불 연기로 2050년까지 190만명 사망할 것"

북미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 규모가 매년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산불 연기로 인한 사망자가 2050년까지 190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

美서 '살 파먹는' 박테리아 번성...기후위기 때문이라고?

올해 미국 루이지애나주 해안에서 일명 '살 파먹는' 박테리아로 인해 5명이 사망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박테리아가 번성한 것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1

붉게 변하는 알래스카 연어 하천…녹고있는 영구동토층이 원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알래스카 북부 브룩스 산맥의 하천이 주황빛으로 변하며 새로운 수질 위기가 드러났다.미국 워싱턴대와 알래스카대 연구진은 9

트럼프는 반친환경 정책 펴지만...美 '기후주간' 역대 최대 규모로 개막

'클라이밋 위크(Climate Week) 2025'가 미국 뉴욕에서 21일(현지시간) 8일간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이번 행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친환경적 정

저수율 52%로 가뭄 벗어났지만...강릉, 투명페트 쓰레기에 '몸살'

강릉은 열흘전만 해도 저수율이 11.5%까지 떨어져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지만 최근 잇달아 내린 비 덕분에 저수율이 52%까지 높아지면서 가뭄에서 벗어났

가뭄 벗어난 강릉...단비에 도암댐 방류덕에 저수율 50.8%

강릉이 드디어 가뭄에서 벗어났다. 몇 일 간격으로 내린 단비에 평창 도암댐 방류까지 시작하면서 저수율이 50%를 넘어섰다.강릉지역 생활용수의 87%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