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회와 내 안의 '썩은 사과' 식별·제어해야
'썩은 사과의 법칙'(The Law of the Bad Apple)이라는 유명한 이론이 있다. 썩은 사과 하나가 상자속 모든 사과를 썩게 하듯, 조직이나 공동체에 고약한 사람 하나가 전체를 망친다는 이론이다. "a bad/rotten apple spoils the bunch"(썩은 사과 하나가 전체를 망친다)는 서구 속담에서 기원한 이 법칙은 서구의 리더십 및 팀워크 이론에서 자주 등장한다.
1995년 2월 27일 영국의 탄탄한 투자은행 하나가 파산했다. 1762년 영국 자본주의 초기에 설립된 이 은행은 단돈 1파운드에 매각됐다. 전문가들은 원인분석 과정에서 몰락의 중심에 '닉 리슨'이라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닉 리슨은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 비도덕, 불법, 몰상식한 일들을 서슴지 않고 나아가 불법 행위도 마다 않는 목표지향적인 사람이었다. 따라서 남다른 성과를 내어 경영진으로부터 인정받았다. 즉 경영진은 그의 전횡을 알면서도 묵인하고 보호한 것이다. 닉 리슨의 부패성에 경영진이 함께 가담해 함께 썩어버린 것이다. 그 결과 유구한 역사를 지닌 거대한 은행은 한순간 치욕적으로 몰락하고 말았다. 이 사건을 통해 '썩은 사과'(bad apple)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언급됐고, 이후 경영학과 리더십 이론에서 널리 연구됐다.
◇ '썩은 사과' 식별하기 쉽지 않아
아시다시피, 썩은 사과는 좀처럼 표가 나지 않는다. 쉽게 구별해 내면 즉각 대응하겠지만 썩어문드러지고 나서야 겨우 알아차린다. 그때는 이미 다른 사과들도 전염되고 부패해 손을 쓸 수가 없게 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썩은 사과의 특징은 끊임없이 불화를 일으키고 다른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들고 갈등이 끊이지 않게 한다는 점이다. 권력욕이 노골적이고 자기중심적인 말을 일삼는다. 게다가 교묘하게 위장하고 자신을 보호하기 때문에 쉬 식별해 내기가 쉽지 않다. 경영학자 미첼 쿠지와 심리학자 엘리자베스 홀로웨이에 따르면 썩은 사과(the bad apple)는 특별한 행동 유형을 나타낸다고 한다.[참고. <썩은 사과 ; 초일류 기업마저 무너뜨리는 썩은 사과의 법칙>, 예문 출판사]
첫째는 '창피주기'다. 자신이 겨냥한 사람들에게 큰 문제가 되거나 법에 저촉되지 않는 수준에서 미묘한 학대를 일삼는 것이다. 일종의 교묘한 모욕과 갑질이다.
둘째는 '소극적인 적대 행위'다. 부하나 동료에 대한 공격을 일삼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신뢰하지 않고 무시한다. 오로지 자신만이 옳고 자신의 의견과 목적이 최종적으로 관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자신의 패거리를 만들고 그 영역을 지키고 확장하기 위해 음모와 사내정치를 일삼는다. 파벌을 만들고 줄을 세운다.
셋째 '방해 행위'다. 구성원들의 행동을 감시하는데 열중하고, 다른 이의 일이나 협업에 끼어들어 쓸데없이 간섭하고 업무를 방해하기조차 한다. 특히 자신에게 주어진 지위와 권력을 남용해서 자기편이 아닌 사람은 모두 적으로 간주하고 차별하고 배제한다.
문제는 썩은 사과를 알면서도 치울 수가 없다는 점이다. 많은 경우 썩은 사과는 조직이나 집단의 실세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감히 이의제기를 하지 못한다. 게다가 썩은 사과는 사납고 공격적이다. 깨끗한 사과들은 '무섭고 더러워서 건드리지 말자'는 태도를 보인다. 그런 환경에서 사과 상자는 속에서부터 썩어문드러지고 악취를 풍기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함께 폐기처분되거나 존립의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몇 년 전 사회의 공분을 불러일으킨 대한항공 회장 일가의 갑질 사건이 또렷한 예다. 회장의 부인과 자녀들이 모두 직원에게 일상적으로 폭언과 갑질을 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그 결과 회사의 신뢰도는 추락하고 경영권 위기를 초래하기까지 했다. 썩은 사과가 지도자인 경우 상자 내 모든 사람들이 고통을 겪는다.
◇ 자기중심성과 권력이라는 바이러스 '부패의 근원'
썩은 사과는 때로는 달콤한 향기를 낸다. 자기 정체를 감춘다. 잘 익은 사과로, 빛깔 좋은 사과로 자신을 위장한다. 썩은 사과로 지목되는 사람은 대개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지각하는 자아 인식과 자기조절 능력이 모두 부족하다. 공감 능력을 발견하기 힘들다. 오히려 자신은 유능하고 최고이며 조직에서 가장 필요한 사람이라고 확신한다.
시중에 유통되는 '썩은 사과의 법칙' 사례들에는 결정적인 약점이 있어 보인다. 주로 조직이나 집단 내 숨어있는 썩은 사과를 분별하고 조심해야 한다는 논조로 말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개 리더는 조직 내의 '썩은 사과'를 총애하고 측근으로 두고 보호한다. 남다른 충성심을 보이고 경쟁력도 강하고 업무처리 능력도 뛰어나기 때문이다. 이윤이나 성과만 추구하는 기업의 경우 이런 사람들이 요직에 등용되거나 오너의 오른팔이 되기 쉽다. 즉 지도자 자신이 썩은 사과를 배양하는 숙주가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리더는 스스로 각성해야 하고 썩은 사과의 치명적인 위험을 인식해야 한다.
문제는 리더 자신이 썩은 사과인 경우다. 구성원 중 영향력이 미미한 한 사람의 부패는 그나마 다행이다. 리더가 부패하고 상식이나 윤리적 원칙에 무감각할 경우 조직의 문화는 근원적으로 뒤틀리게 된다. 우리 사회의 비극은 리더와 리더그룹 전체가 심각한 악취를 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쉬 치워낼 수가 없는 구조라는 것이다. 권력기구나 정당이나 기업이나 온갖 단체들에서 이런 현상이 만연하다는 걸 모르는 이가 없다.
무엇이 사과를 썩게 하는가? 가장 결정적인 요소는 '권력' 즉 자기 중심성일 것이다. 다른 사람의 소중함과 존엄성을 무시하고 자신의 이익과 권력과 욕망을 첫째 가치로 두는 사람이 썩는다. 권력의 바이러스, 이것이 가장 감염성 강한 세균일 것이다.
프랑스의 철학자 들뢰즈(Deleuze)와 가타리(Guattari)는 '리좀'(Rhizome)의 원리를 설명하면서 n-1이라는 유명한 비유를 한 바 있다. n-1을 해야 수평적인 이웃관계가 이뤄지고 더불어 생명을 나누는 삶의 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n-1이란 n개의 사람들(numbers)로 구성된 연결 관계에서 유일자로 행세하는 number1을 제거할 때 비로소 열린 관계가 시작된다는 것이다. n-1의 슬로건은 다른 말로 '장군을 제거하라'는 말로 표현된다. 유일자 행세를 하는 이 '1'(the One)은 단지 사람만이 아니다. 어떤 목표, 성과, 돈, 이념, 절대가치, 전통, 규범 등이 절대자 행세를 할 수 있다.
심지어 우리 내부에도 '장군'이 불쑥불쑥 고개를 쳐든다. 따라서 썩은 사과의 법칙을 내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만 적용하는 것은 넌센스다. 나 역시 썩은 사과이거나 썩은 사과 무리의 한 부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들뢰즈와 가타리는 "나만의 '장군'을 깨우지 말라"고 설파한다. 거시정치 및 경제 사회영역에서의 썩은 사과만이 아니라 우리 안에서 솟구치는 미시 파시즘의 충동까지 식별할 일이다.
우리 사회의 문화가 적잖이 우려스럽다. '맑은 물에는 물고기가 살지 않는다'고 말한다. '살짝 썩은 사과가 오히려 더 맛있다'고 칭송하기조차 한다. '아무리 나쁜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나에게 떡 한 조각 더 주는 사람이 낫다'고 믿는다. 우리 모두가 썩어버린 걸까? 하지만 우리는 믿는다. 여러 사과상자들이 썩은 물을 쏟아내고 있지만 우리의 사과밭에서 수많은 신선한 사과들이 자라나고 있다고.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