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전기차 전환의 역설…기후위기 해결하려다 환경위기?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1-27 08:50:02
  • -
  • +
  • 인쇄
전기차 제조에 막대한 리튬 필요
광산 확장으로 생태계 파괴 우려

전기자동차 전환이 이뤄지면서 리튬채굴이 확장되면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연구팀은 리튬광산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물 부족, 토지수탈, 국경 안팎의 생태계 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현재의 전기차는 리튬배터리로 구동되어 리튬은 전기차 제조에 필수인 금속이다. 분석에 따르면 2050년까지 전기차로 전환하는 데 미국에서만 현재 전세계 생산치보다 3배 많은 리튬이 필요하며 전세계 리튬 수요는 전기차로 인해 2040년까지 40배 이상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는 미국의 자동차 의존도가 이대로 지속될 경우 전기차 전환이 광업과 관련된 세계 환경 및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물과 식량공급, 생물다양성, 원주민 권리를 침해하며 심지어 지구기온 1.5도 목표를 위태롭게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문제로 리튬의 사회·환경 영향에 대한 우려 및 공급을 둘러싼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미국과 칠레에서 세르비아와 티베트에 이르기까지 리튬 채굴에 반대하는 시위 및 소송이 증가하고 있다.

교통은 미국 최대의 탄소배출원이자 여전히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는 유일한 부문이다. 때문에 기후파괴를 막으려면 가능한 한 빨리 가스·디젤차량을 중단해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대중교통 및 토지이용계획에 어느 정도 초점을 두고 2050년까지 교통부문을 탈탄소화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지만 지금까지의 방향은 자동차의 이동방식을 바꾸기보다는 가스차를 전기차로 바꾸는 데 맞춰져 있다.

이는 효과가 있어 뉴욕, 캘리포니아 같은 주에서는 단계적 휘발유 자동차 판매 금지안을 통과시켰으며 2030년까지 미 전역 자동차 판매의 절반 이상이 전기차가 될 것이라는 예상까지 나왔다.

문제는 리튬이다. 전기차는 이미 리튬의 최대 수요처로 이는 현재 모든 충전식 배터리에 쓰인다. 리튬 채굴 자체도 어려운 사업이라 EV 수요증가가 사회·환경적 피해 증가와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에 일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리튬은 지질학적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풍부하게 매장돼있지만 현재 전세계 생산량의 95%가 호주, 칠레, 중국, 아르헨티나에 집중돼있다. 멕시코, 미국, 포르투갈, 독일, 카자흐스탄, 콩고, 말리 등 다양한 국가에서도 대규모 신규 매장지가 발견됐다.

리튬 채굴은 여타 채굴업과 마찬가지로 환경 및 사회적으로 유해하다. 비교적 새로운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토지·수질오염, 생태계 파괴, 원주민 및 농촌지역사회 침해 등의 문제와 물 집약도가 높은 리튬 채굴의 절반 이상이 이미 물 부족으로 황폐해진 지역에서 이뤄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가뭄에 타격을 받은 주에서 적어도 50개의 신규 광산이 개발 중이며 각각 세계 2위와 4위의 리튬 생산국인 칠레와 아르헨티나에서는 기업의 약속 불이행, 물 부족, 토지오염, 원주민권리 침해가 저항과 사회적 갈등을 부채질했다.

대부분의 예측가들은 향후 5년에서 10년 사이에 공급위기가 올 것으로 예측하며 이 기간 내에 탈탄소화가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전망했다. EV용 리튬배터리의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서 지난해 처음으로 가격이 인상되는 등 벌써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에 연구는 미국이 도시정책, 대중교통 및 배터리재활용정책 등을 잘 활용하면 2050년에 필요한 리튬 양을 최대 92% 줄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러한 최상의 시나리오가 아니더라도 대도시 밀도를 높이고 대중교통에 투자하면 리튬 누적수요를 18%에서 66% 사이로 줄일 수 있으며, 전기차 배터리 크기만 제한해도 2050년까지 리튬 수요를 최대 42%까지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무엇보다 이동방식을 바꾸는 것이 가장 큰 감소를 이룰 수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즉 자동차를 줄이고 보행을 늘리며 자전거 및 대중교통을 보다 밀집된 도시에서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그 다음이 차체 및 배터리 크기를 줄이고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것이다.

이미 전세계 도시가 대기오염, 도로안전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자동차 사용을 줄이기 시작했다. 파리에서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자동차 사용이 30% 가까이 감소했으며 런던에서는 거의 40% 감소했다.

키라 맥도널드(Kira McDonald) 경제학자 겸 도시정책연구원은 도로 위의 자동차 수가 적어진다고 해서 삶의 질, 편의성, 안전이 희생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그는 "기존 자동차에 기반한 인프라와 환경을 형성했던 정책, 제도 및 지출패턴이 변하면 대체 교통수단은 자동차보다 훨씬 더 안전하고 편리하며 빠르고 즐겁게 만들 수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연구는 향후 수십 년간 필요할 리튬의 양이 공급망을 형성하는 경제, 공중보건, 환경정의, 생태계 및 지역사회 부문 정책에 달려있다고 덧붙였다. 또 미국이 어떤 경로를 선택하든 2050년까지 넷제로 운송업을 달성할 것이지만 이 과정에서 전환속도와 더불어 누가 수혜자 혹은 피해자가 될지는 앞으로 선택할 전기차(및 배터리)의 수와 크기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피아 마르체자니(Pía Marchegiani) 아르헨티나 환경천연자원재단 정책국장은 이번 보고서를 두고 "광물추출을 최소화해 리튬이 풍부한 지역사회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화석연료를 쓰지 않는 미래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시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대한항공, 캐나다 2위 항공사 '웨스트젯' 지분 10% 인수

대한항공이 캐나다 2위 항공사 지분 10%를 인수하며,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대한항공은 9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캐나다 웨스트젯 항

현대百 등 4개 계열사 자사주 취득..."주주가치 제고 차원"

현대백화점그룹이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4곳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약 3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 취득하기로 했다.현대백화점은

빙그레 대표이사에 ㈜제때 김광수 사장 내정

빙그레가 신임 대표이사에 ㈜제때의 김광수 대표이사를 내정했다고 9일 밝혔다.빙그레는 전창원 현 대표이사가 최근 개인적인 이유로 자진 사임 의사

LG화학, 협력사 탄소중립 지원 소매걷었다..."ESG경영 실천"

LG화학이 협력사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LG화학은 9일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 협력사인 우성케미칼의

비행기 탄소배출 막대한데...항공업계 탄소감축 '뭉그적'

항공산업은 전체 탄소배출량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기후위기를 심화시키는 대표적인 운송수단으로 꼽히고 있지만, 이를 해결하려는 항공업계의 미온

삼성 '갤럭시S25' 美 'ReMA 재활용 디자인 어워드' 수상한다

삼성전자가 자사의 '갤럭시S25'가 북미 재활용산업협회 ReMA(Recycled Materials Association)가 수여하는 '2025 ReMA 재활용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한다고 7일 밝혔

기후/환경

+

탄소배출권 거래제의 구멍?...탄소 줄고 독성물질 40% 증가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온실가스 감축에는 기여했지만 예상치 못한 또다른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허점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한국과학기술원(

"보험료 산정 어쩌나?"...美 NOAA, 기후손실액 추산 '올스톱'

미국의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기후재난에 의한 손실액을 더이상 추산하지 않을 전망이다.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미국 상무부 산하기관으로, 일일 기

미국이 침몰한다?..."3380만명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

미국인 3380만명이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나왔다. 8일(현지시간) 미국 콜롬비아대학 레너드 오헨헨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에

무서운 '산불 연기'...美 15년간 1만5000명 사망

기후위기로 산불이 빈번해지면서 미국에서 매년 수천명이 사망하고 수십억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최근 발표된 니콜라스 나시카스 하버드대

지구온난화 책임은 '부유층'…상위 10%가 온난화 영향력 65% 차지

1990년 이후 세계 상위 10% 부유층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절반이 훨씬 넘는 6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국제응용

기후재난 피해는 젊은세대의 몫..."15억명이 폭염에 노출될 수도"

지구온난화가 심해질수록 젊은세대들은 폭염과 홍수, 가뭄, 산불, 흉작 등의 기후재난을 겪을 위험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현지시간) 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