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빈 살만의 하늘 찌를 듯한 야심…'현대판 바벨탑' 짓는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2-22 11:43:07
  • -
  • +
  • 인쇄
사우디 수도에 '신도시 프로젝트'
엠파이어 빌딩 20배 큐브형 건물
▲도심 확장 프로젝트 '뉴 무라바'의 일환인 큐브형 건물 '무카브'(영상=PIF)

사막 한 가운데 초대형 신도시 '네옴'(NEOM)을 기획했던 사우디아라비아가 수도 리야드를 가장 살고 싶은 도시로 변신시키기 위해 또한번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20일(현지시간) 미국 CNN방송 보도에 따르면 사우디 국부 펀드(PIF)는 지난 17일 수도 리야드 북서쪽에 새로운 도심지를 개발하는 '뉴 무라바'(New Murabba)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뉴 무라바 프로젝트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주도하는 사업으로, 주민 수십만 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도 면적을 19평방킬로미터(㎢) 가량 확장하는 사업이다.


이 프로젝트의 중심에는 2030년경 완공 예정인 큐브형 건축물 '무카브'(Mukaab)가 있다. 무카브는 가로·세로·높이 각 400m에 달하는 정육면체 모양의 건축물로 미국 뉴욕에 위치한 초대형 건물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높이 381m)이 20개나 들어갈 수 있는 규모다.

PIF가 공개한 홍보영상을 보면 무카브는 내부에 약 350m 높이의 중심 탑이 있고 이를 높은 돔 형태의 벽면과 큐브형 벽면이 이중으로 둘러싼 형태다. 돔 형태의 벽면에는 홀로그램 기술이 활용돼 내부의 풍경이 시시각각 바뀐다. PIF는 무카브가 건물 내부에 홀로그램 기술을 활용한 '몰입적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영상 속에선 우주선 모양 로봇이 날아다니거나 공중에 거대한 바위가 떠있고 판타지 영화 속 드래곤이 날아다니는 모습도 보인다.

또 무카브에는 오락 시설, 주거 시설, 식당, 호텔, 상업 공간, 극장, 공연장, 체육관 등이 대거 들어설 예정이다.

▲홀로그램 기술을 적용한 '무카브'(영상=PIF)

해당 프로젝트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국가 이미지를 털고 미래지향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석유 수출에 의존하는 경제를 다각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PIF는 이 프로젝트로 33만4000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영국 킹스칼리지 런던 중동연구소 안드레아스 크리그 연구원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과거 사우디아라비아에 관해서는 인권탄압 등 부정적인 논의가 주를 이뤘다"면서 "현재 사우디는 미래지향적인 도시를 건설하고 있는 국가라는 이미지를 밀어붙이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일각에선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자금 확보와 실현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사우디가 '중동 관광 허브' 자리를 놓고 두비아, 카타르와 출혈 경쟁을 벌이고 있어 경제적 여유가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PIF는 아직 뉴 무라바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비용에 대해 밝힌 바 없으며, 어디서 자금을 확보할 지도 공개하지 않았다. PIF는 해당 프로젝트의 비용과 자금원에 대한 질문에 "구체적인 사안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며 훗날 발표할 것"이라고 답했다.

크리그 연구원은 "이 모든 것에 대한 자금은 아직 완전히 확보된 상황이 아닐 것"이라며 "사우디는 대량의 외국인직접투자(FDI)를 노리고 있으나 원하는 만큼 확보되지 못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림, 새만금환경생태단지 '생물다양성 보존' 나선다

종합식품기업 하림이 국립공원공단과 새만금환경생태단지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ESG활동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지난 24일 열

석유기업 BP, 재생에너지 발전량 20배 증가 목표 '철회?'

세계 2위 석유기업 BP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0배 늘리겠다는 목표를 철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24일(현지시간) 머레이 오친클로스 BP CEO

경기도, 일회용품 없는 '특화지구' 6곳으로 확대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전국 최초로 운영하는 '일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를 5곳에서 6곳으로 확대한다고 24일 밝혔다. 양평 양수리전통시장

LG화학, 한샘과 손잡고 세계 최초 친환경 소재 주방가구 생산

LG화학이 한샘과 손잡고 친환경 주방가구 소재 시장 공략에 나선다. LG화학은 지난 21일 한샘 송파점에서 한샘과 '친환경 가구용 성형자재 개발 업무협

프랑스, 내년부터 화장품·섬유에 'PFAS' 사용금지

프랑스가 내년부터 화장품과 섬유에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이 금지된다.프랑스의 일간 르피가로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경기도, 전국 최초로 '기후테크 산업육성 조례' 제정

기후테크의 정의와 사업 육성 지원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담은 '기후테크 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경기도에서

기후/환경

+

우크라 전쟁에 온실가스 2.3억톤 배출...서울 1.5배 숲 '잿더미'

러시아의 침공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이 3년 넘게 지속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약 2억3000만톤에 달했다는 분석이다.유럽기후재단(ECF)이 후원하는 비영

수년째 '오락가락'하는 봄꽃 개화...올해는 언제 피려나?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기온이 오락가락하면서 봄꽃 개화 시기도 갈수록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올해 예상시기도 마찬가지다.산림청은 올해 봄꽃

"기후연구도 하지마"...트럼프, 과학자들에 기후보고서 작성 금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정부 과학자들에게 글로벌 기후보고서 작업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미국을 기후변화 대응·연구에서 철수시

반나절에 124cm '펑펑'...5m씩 쌓인 눈에 파묻힌 日북부

일본 각지에 폭설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번에는 북부 아오모리현에서 눈이 5m 넘게 쌓였다.NHK 등 현지언론은 이 지역에 위치한 온천관광지 스가유의 적

'2026 월드컵' 축구선수들 전례없는 기후스트레스 겪는다...왜?

오는 2026년에 치뤄지는 'FIFA 월드컵'에 참가하는 축구선수들은 높은 온도와 습도에 노출돼 건강에 큰 위협을 받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0일(현

"석유 시추금지 풀지마"...환경단체들, 美트럼프 대상 소송제기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환경단체로부터 2건의 소송을 당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를 대상으로 제기한 첫번째 소송이다.19일(현지시간) 그린피스와 생물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