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항공연료 공급 '물꼬' 트이나?...1억불 펀드출범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2-22 17:06:16
  • -
  • +
  • 인쇄
지속가능 항공연료(SAF) 투자펀드 출범
SAF, 제트연료보다 탄소배출 80% 낮아
▲미국 유나이티드항공의 비행기 (사진=언스플래쉬)

항공업계가 기존연료보다 탄소배출이 적은 '지속가능 항공연료(SAF)' 개발에 본격 뛰어들고 있다.

21일(현지시간) 미국 CNBC에 따르면 미국 유나이티드항공(United Airlines)을 비롯한 항공업계가 SAF 개발에 투자하기 위해 1억달러(약 1304억원) 규모의 스타트업 지원 투자펀드를 출범했다.

이 SAF 펀드는 유나이티드항공과 에어 캐나다(Air Canada), 보잉(Boeing), GE에어로스페이스(GE Aerospace), JP모건체이스(JPMorgan), 허니웰(Honeywell) 등이 투자자로 참여하고 있다.

SAF는 폐식용유와 농업폐기물 등을 원료로 만드는 대체항공유로, 전체 탄소배출량이 기존 제트연료보다 최대 80% 적은 것으로 추정돼 저탄소 청정항공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문제는 비용을 낮추면서 SAF 공급을 늘리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현재 SAF는 생산기술 등의 문제로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제트연료보다 2~4배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 2018년 기준 SAF는 항공연료 소비량의 0.1%에 그쳤으며, 대부분의 공항은 SAF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힘든 상황이다. 비교적 대규모로 SAF를 공급하는 제조사는 미국 월드에너지(World Energy)와 핀란드 네스테(Neste) 등 2곳에 불과하다.

그러나 최근들어 SAF 시장에 뛰어드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 미국 란자테크(LanzaTech)는 에탄올 기반 SAF 제조공장을 짓고 있고, 미국 스타트업 지보(Gevo)도 지난해 사우스다코타주에서 에탄올 기반 SAF 제조공장을 착공했다.

SAF 생산업체가 늘어나는 것은 주요 국가들이 SAF 사용을 의무화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영향도 한몫하고 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2025년까지 항공유의 2% 이상을 SAF로 쓸 것을 제안했고, 지난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인플레이션 감소법(IRA)에는 SAF 개발 및 사용 인센티브로 세제혜택 조항이 포함돼 있다.

스콧 커비 유나이티드항공 CEO는 2020년 5월 취임 이후부터 SAF 개발을 추진해왔으며, 탈탄소화 및 대체연료에 중점을 둔 신생기업에 투자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이번 펀드를 발표하며 배출량을 낮추려면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는 신념을 거듭 강조했다.

또 유나이티드항공은 녹색성장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고객에게 펀드투자 기회를 확대하기로 했다. 유나이티드항공 측은 펀드에 기부한 선착순 1만명에게 500마일리지를 지급하는 한편 예약고객에게 특정 항공편의 예상 탄소발자국을 보여주는 기능을 웹사이트와 앱에 추가하고 있다. 추정치는 항공기 유형, 비행시간, 좌석수, 승객수 및 화물량에 따라 정해지며, 실제 배출량과 차이가 날 수 있다.

유나이티드는 지난해 항공사를 이용했던 고객 1억5200만명 모두가 펀드에 각 3.50달러씩 기부할 경우 매년 최대 4000만갤런의 SAF를 생산하는 정유소를 건설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한편 국내 항공사들도 SAF 사용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 2017년 11월 국내 최초로 시카고-인천 노선 운항에 SAF를 시범 사용했고, 지난해에는 아시아·태평양·중동 공항에서 SAF 공급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아시아나항공도 올해 미국 에너지기업 쉘(Shell)과 SAF 구매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금융, 다문화자녀를 위한 '우리아트스쿨' 참여기관 모집

우리금융이 '2025년 우리아트스쿨'에서 다문화자녀를 대상으로 미술교육을 진행할 기관을 모집한다.우리금융그룹의 우리다문화장학재단은 다문화자녀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기후/환경

+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