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플라스틱 소비량 2050년까지 1.7배 늘어난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2-27 17:44:19
  • -
  • +
  • 인쇄
일회용품 전부 퇴출해도 감축분 14% 불과
"현재 논의론 부족…최고 수준의 규제 필요"


30년내 주요 20개국(G20) 플라스틱 사용량이 2배가량 늘어나면서 해양오염이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경제지 이코노미스트 산하 이코노미스트임팩트와 비영리단체 일본재단이 해양환경보호를 위해 공동운영하는 연구단체 '백투블루'(Back to Blue)는 27일 '플라스틱 최고조: 소비곡선 구부리기'(Peak plastics:bending the consumption curve)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현행 소비추세로 놓고 봤을 때 2050년 G20 플라스틱 소비량이 4억5100만톤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2019년 소비량 2억6100만톤과 비교하면 1.73배로 2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1950년 전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0만톤에 불과했다.

전세계적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퇴출한다 해도 2050년까지 예상되는 플라스틱 소비량 감축분은 14%에 불과하다. 감축분보다 늘어나는 플라스틱 사용량의 증가폭이 더 커 2050년 플라스틱 사용량은 2019년 대비 1.48배 늘어날 전망이다. G20 가운데 브라질, 미국, 인도네시아, 튀르키예에서는 아직까지 국가 차원의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가 시행되지 않고 있다.

현재 99%의 플라스틱은 석유를 가공해 만들어진다. 이렇게 생성된 플라스틱 폐기물의 10%만이 재활용되고 있고, 14%는 소각, 76% 매립되고 있다. 대부분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관리역량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제3세계로 수출돼 그대로 자연으로 방류되고 있다.

유엔은 매년 해양환경으로 방출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을 약 1100만톤으로 집계했다. 2040년에 이르면 지금의 3배 수준인 연평균 3700만톤에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이 해양 생태계를 위협할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3월 전세계 175개 유엔 회원국들은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비롯해 플라스틱 생산과 폐기 전반을 규제하는 '플라스틱 오염 규제협약'을 2024년까지 만들기로 만장일치로 결의한 바 있다.

현행 소비추세 대로 플라스틱에 대한 아무런 규제가 없을 경우 2050년 플라스틱 소비량은 2019년 대비 1.73배 늘어난다.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를 시행하면 1.66배, 재생원료를 전혀 활용하지 않은 신규 플라스틱에 대한 세금을 물릴 경우 1.57배 늘어난다.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퇴출 △EPR △신규 플라스틱 세금 부과 3가지 규제를 동시에 시행할 경우에도 플라스틱 소비량은 1.25배 늘어날 전망이다.

현재 협상 중인 국제 협약에서 더 강한 대응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플라스틱 사용에 의한 해양 오염은 막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코노미스트임팩트의 편집장 찰스 고다드는 "각국 유엔 플라스틱 협약 협상단들은 다음 협상 테이블에서 최고 수준의 규제를 주장해야 하고, 산업계는 순조롭게 협상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건설적인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차, 올해 청년 7200명 신규 채용...내년엔 1만명 확대 검토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총 7200명을 신규 채용한다고 18일 밝혔다. 내년에는 청년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현대차그룹의 청년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기후/환경

+

가뭄이거나 폭우거나...온난화로 지구기후 갈수록 '극과극'

전 지구적으로 기후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는 '글로벌 수자원 현황 2024' 보고서를 통해 수개월째 비가

"재생에너지 188조 필요한데…정책금융 투자액은 여전히 안갯속"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 설비에 188조원을 투자해야 하지만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금융 대부분은 재생에너지보다 화

지역 1인당 교통 배출량, 서울의 2배…"무상버스가 대안"

비수도권 교통 배출량이 서울의 2배에 달하면서 '무상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녹색전환연구소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작은 도시의 교통 혁명,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