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락을 아세요?...플라스틱이 자연의 일부가 된 섬뜩한 모습"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4-16 08:30:02
  • -
  • +
  • 인쇄
[인터뷰] 뉴락 수집해 전시하는 장한나 작가
"플라스틱이 자연의 일부가 된 섬뜩한 모습"
▲플라스틱이 돌처럼 딱딱하게 변형되는 '뉴락'을 수집하는 장한나 작가 ⓒnewstree

"작품을 본 사람들이 불편함을 느꼈으면 좋겠어요."

작업실 한 켠에 잔뜩 쌓여있는 돌멩이들을 살펴보던 장한나 작가가 제법 큰 돌덩이 하나를 짚더니 공중에 휙 던지고선 가볍게 받아낸다. 자세히보니 돌이 아니라 스티로폼이 딱딱하게 굳어버린 덩어리였다. 일부러 돌처럼 칠하고 꾸민 것이냐는 질문에 장 작가는 "제가 만든 게 아니라 자연이 만든 것"이라 답했다. 바로 이것이 버려진 스티로폼이 만들어낸 새로운 돌 '뉴락'(New Rock)이었다.

올 3월 브라질의 화산섬 '트린다지'(Trindade)에서 플라스틱이 녹아 자연물에 눌러붙은 '플라스틱 암석'이 발견돼 전세계가 플라스틱 오염의 심각성을 다시금 생각하게 만들었다. 그런데 이런 플라스틱 암석이 브라질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발견됐다. 이를 몇 년 전부터 수집해온 장한나 작가를 직접 만나봤다.


◇ 플라스틱이 암석화된 '뉴락'

▲제주도 해안 바위에 눌러붙은 플라스틱, 어업용 밧줄로 보인다. (사진=장한나 작가)

'뉴락'은 암석화된 플라스틱 쓰레기를 일컫는 말이다. 버려진 플라스틱이 비바람에 깎이거나 지열과 태양열에 녹아 돌에 눌어붙으면서 만들어진 새로운 형태의 돌이다. 때로는 스티로폼이 풍화되면서 딱딱하게 변한 것도 있다. 장한나 작가(36)는 이전에 없던 새로운(New) 돌(Rock)이라는 의미에서 '뉴락'으로 이름 붙였다.

장 작가가 뉴락을 모으기 시작한 것은 2017년부터다. 당시 제주도 해변에서 바위에 들러붙어 돌처럼 된 플라스틱을 발견하면서부터다. 강변과 해안에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가 많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풍화작용을 거쳐 마치 자연의 일부인 것처럼 변한 플라스틱을 보고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장 작가는 "이전에도 환경을 주제로 한 작품 활동 경험이 있어 플라스틱 오염이 심각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면서 "하지만 그 플라스틱의 말로가 이런 형태로 나타날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이후부터 기회가 생길 때마다 뉴락을 수집하고 주변에 소개하고 있다고 했다. 장 작가의 이같은 모습을 눈여겨보던 큐레이터가 전시회를 제안하면서 본격적인 '뉴락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 자연물과 뒤섞여 버린 플라스틱

▲'뉴락' 표본. 이 가운데 하나만 진짜 돌이다. (사진=장한나 작가)

장한나 작가가 지난 6년간 전국에 있는 해안을 비롯해 한강 유역과 작은 섬에서 수집한 뉴락은 대략 2000여점에 달한다. 이렇게 많은 표본을 수집했지만 모양이 같은 것은 단 하나도 없다.

장 작가는 "뉴락의 놀라운 점은 인공물이 자연에 녹아들고 있는 것"이라며 "몇몇 뉴락은 천연석과 구별이 불가할 정도"라고 말했다. 실제로 기자가 표본을 집중해서 쳐다봐도 자연석과 뉴락을 구별할 수 없었다.

그는 전라남도 신안군 바닷가에 뉴락을 수집하러 갔을 때를 회상하며 "쓰레기가 많이 쌓여있다는 제보를 받아 갔는데 공교롭게도 지자체가 이미 쓰레기를 깨끗이 수거한 뒤였다"며 "그런데 해안가에는 여전히 뉴락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청소하러 온 사람들이 뉴락을 자연석인줄 알고 그냥 지나쳤던 것이다.

뉴락을 자연석과 구분하지 못하는 것은 사람뿐만이 아니다. 해안을 떠다니는 부표와 비닐에는 홍합과 따개비가 다닥다닥 붙어있고 모래밭에 파묻힌 세제통에는 물풀이 자라난다. 심지어 뉴락에 집을 짓고 사는 개미들도 있다. 

▲딱딱한 덩어리로 변한 스티로폼 속에 집짓는 개미들 (사진=장한나 작가)

장한나 작가는 "올초 인천에서 커다란 바위처럼 생긴 스티로폼 뉴락을 작업실로 가져왔는데 이상하게 자꾸 하얀가루가 주변에 떨어졌다"며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자세히 관찰해봤더니 스티로폼 곳곳에 있는 구멍마다 개미들이 드나들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깜짝 놀랐다"고 했다. 이전에도 뉴락에서 종종 곤충을 발견했지만 서식지를 형성한 모습을 본 것은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장 작가는 "이처럼 자연물이 된 플라스틱은 결국 인간에게 돌아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플라스틱은 제조할 때 다양한 종류의 첨가물도 함께 들어가는데 이런 첨가물들은 대부분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플라스틱에 다양한 생물들이 생태공간을 만들고 살아가는 것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런 생태공간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플라스틱은 더 잘게 쪼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고, 이는 먹이사슬을 통해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에게 되돌아오는 것이다.


◇ 백마디 말보다 한 점의 '뉴락'

장한나 작가는 '뉴락' 전시에 대해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생각했다. 플라스틱 쓰레기의 심각성을 주변에 아무리 말해도 귓등으로 듣던 사람들이 '뉴락'을 한번 보게 되면 '이게 맞나? 뭔가 불편하다'고 느끼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장 작가는 "저 역시 뉴락을 보고 나서 플라스틱 오염에 대해 새롭게 고민하기 시작했다"면서 "앞으로 뉴락이라는 것이 지구에 생겨나고 있음을 알리고 이를 통해 어떤 미래가 오게 될까 고민하게 만들기 위해 이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뉴락을 보면서 어쩌면 우리도 스티로폼 속 개미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각종 전자기기, 생활용품, 일회용품 심지어 옷에 이르기까지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되지 않은 제품이 없을 정도로 우리는 플라스틱에 둘러싸여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에서 '뉴락'은 플라스틱의 역습인 셈이다.

한편 장한나 작가의 '뉴락 New Rock' 전시회는 오는 5월 4일부터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에서 열린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