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플라스틱 포장쓰레기' 80% 늘었다...배달음식탓?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2 11:36:50
  • -
  • +
  • 인쇄
비닐봉투는 276억개...서울시 13번 이상 덮을 면적
'일회용품' 별개로 '일회용 플라스틱' 법적 정의 필요


지난 11년동안 우리나라에서 배출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이 2.5배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에서 배출된 플라스틱 포장재 폐기물의 양이 이전에 비해 80%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배달음식과 택배가 증가한데 따른 결과다. 

22일 그린피스와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장용철 교수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플라스틱 대한민국 2.0 보고서'를 공개했다. 2019년 '플라스틱 대한민국, 일회용의 유혹' 후속으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플라스틱 소비 발자국을 비교분석한 것으로 국내에서는 유일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플라스틱 폐기물이 2.2% 감소했지만, 팬데믹이 발발한 2020년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1081만6000톤으로 2019년 1020만3000톤에 비해 오히려 늘었다. 2021년에도 1193만2000톤으로 더 늘어나, 2011년과 비교하면 지난 11년 사이에 무려 2.5배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배달음식 및 택배 이용량이 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2019년 대비 2020년 14.6%, 2021년 1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환경공단 자료에 의하면 분리 배출되는 플라스틱 가운데 배달음식 포장재를 포함하는 '기타 폐합성수지류' 하루 배출량은 2019년 715.5톤에서 2021년 1292.2톤으로 무려 80.6%나 증가했다.

▲2010~2021년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 (자료=그린피스)


또 1인당 연간 일회용 플라스틱 소비 발자국은 2020년 기준 생수 페트병 109개(1.6kg), 일회용 플라스틱컵 102개(1.4kg), 일회용 비닐봉투 533개(10.7kg), 일회용 플라스틱 배달용기 568개(5.3kg)로 나타났다. 4가지 품목을 더하면 해마다 국내 소비자 1인당 19kg의 플라스틱을 소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무게 단위로 환산하면 87만3833톤으로 2020년 기준 생활계 플라스틱 폐기물 441만1000톤의 약 20%에 달하는 양을 개별 소비자들이 배출하고 있는 셈이다.

국내 인구 5184만명을 기준으로 할 때, 우리나라 국민이 1년간 소비하는 일회용 플라스틱 양은 천문학적 수준이다. 생수 페트병의 경우 56억개로, 지름 10cm의 페트병들을 세워서 늘어놓으면 지구를 14바퀴 돌 수 있는 양이다. 플라스틱 컵은 53억개로, 컵 하나의 높이를 11cm로 가정하면 지구에서 달 사이 거리의 1.5배에 이른다. 비닐봉투는 276억개로, 이들을 20L 종량제 봉투라고 가정하면 서울시를 13번 이상 덮을 수 있는 양이 된다.

▲일회용 플라스틱 국내 전체 연간 소비량 (자료=그린피스)


보고서는 종량제 봉투 배출 폐기물을 포함하는 생활계 폐기물의 2030년 발생량 전망 수치도 공개했다. 2010~2021년 발생량과 같은 추세로 증가가 지속될 경우 2030년 생활계 폐기물 중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한 해 647만5000톤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2010년에 비해 3.6배 증가한 수치다.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 증가에 대한 원인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재활용 실태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2021년 전체 국내 전체 플라스틱의 물질 재활용률은 약 27%였으며, 그중 일회용 플라스틱이 큰 부분을 차지하리라 추정되는 생활계 폐기물의 물질 재활용률은 약 16.4%에 불과했다. 2021년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이 2017년보다 49.5%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여전히 매우 낮은 수치다. 특히 생활계 플라스틱 폐기물 70% 이상은 단순 소각하거나 에너지 회수 고형연료 형태로 처리하면서 온실가스를 대기 환경으로 대량 배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용철 충남대 교수는 "한국은 EU, 캐나다 등 다른 나라들과 달리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법적 정의가 따로 없고, '일회용품' 안에서 포괄적으로 규제하고 있어서 일회용 플라스틱의 구체적인 감축 전략과 규제를 시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서 "한국은 일회용 플라스틱 구체적인 감축 전략 수립과 이행 방안, 목표 설정, 대체 제품 개발, 관련 통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며 정부차원에서 강화된 법적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유엔은 플라스틱으로 인한 오염을 막기 위한 첫 국제협약을 2024년 말까지 만들기로 합의했다. 플라스틱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에 대한 법적 구속력을 갖는 규제안을 마련하는 것으로, 환경 역사상 가장 강력한 국제 협약이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김나라 그린피스 플라스틱 캠페이너는 "유엔이 추진하고 있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한국이 안일하게 대처하는 플라스틱 오염에서 벗어날 중요한 기회"라며 "협약이 체결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하기 때문에 향후 INC(정부간 협상위원회) 회의에서 제기될 산업계의 간섭을 배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박스피'에 속타는 기업들...축 처진 주가 살리기에 '안간힘'

주요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주식시장이 휘청거리며 맥을 못추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이 자사주 소각, 배당성향 높이기 등 일제히 주주가치 제고를 통한

빙그레, 내년 5월 지주사와 사업회사로 인적분할

빙그레가 22일 열린 이사회에서 2025년 5월에 지주회사 '빙그레홀딩스'와 사업회사 '빙그레'로 인적분할하기로 결의했다.분할 후 지주회사는 신규사업투

SPC그룹, 연말 맞아 임직원 물품기증 캠페인 진행

SPC그룹이 연말을 맞아 임직원들이 함께 물품을 기부해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돕는 '기부, GIVE(기브)해' 캠페인을 진행했다.22일 서울 양재동 'SPC1945' 사

'부당대출' 눈감아준 조병규 우리은행장 결국 연임 실패

손태승 전임 회장의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을 알고도 눈감아줬다는 의혹에 휩싸인 조병규 우리은행장이 결국 연임하지 못하고 자리에서 물어난다. 22일

화장품 빈병으로 만든 '크리스마스 트리' 노들섬 설치

화장품 빈병으로 만든 크리스마스 트리가 노들섬에 세워졌다.아모레퍼시픽재단은 '다시 보다, 희망의 빛 1332'라는 이름의 공병 트리를 만들어 노들섬

'플라스틱 제로' 선언해놓고...GS25 '초코바' 막대는 플라스틱

'플라스틱 제로'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던 GS25가 아이스크림 막대에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해 빈축을 사고 있다.편의점 GS25는 지난 6월 20일 넷플릭스와 손

기후/환경

+

'최악 스모그'에 파묻힌 인도 뉴델리..."기후변화로 대기질 더 악화"

인도 뉴델리가 학교까지 문을 닫을 정도로 최악의 스모그가 덮친 원인은 기후변화에서 기인된 것으로 분석됐다.22일 인도매체 타임스오브인디아는 인

[COP29] 1조달러 확보 결국 실패?...기후재원 '텅빈' 합의문 초안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서 1조달러의 신규 기후재원을 확보하겠다는 목표가 결국 실패로 돌아갈 전망이다. 폐막 하루전 나온 '신

아제르바이잔, COP29.com 도메인 뺏기고 뒤늦게 접속차단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리고 있는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의 공식 웹사이트 주소가 'COP29.com'이 아닌 'COP29.az'가 된 배경에는 환경

거목이 뿌리째 뽑혔다…'폭탄 사이클론' 美서북부 강타

미국 서북부 지역이 10년에 한번 올까말까한 '폭탄 사이클론'으로 쑥대밭이 됐다. 시속 163㎞에 달하는 초강풍에 거리 곳곳에서 나무들이 뿌리째 뽑히고

[COP29] 관광도 NDC 포함되나...'관광분야 기후행동 강화 선언' 출범

전세계 탄소배출량의 8.8%를 차지하는 관광산업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포함시켜 정부가 관리하도록 하는 국제 이니셔티브가 추진된다.20일(현

"AI기술로 기후변화 대응한다"…코이카, 유엔기후변화협약과 협약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리우협약, 파리기후변화협정 등의 합의를 이뤄낸 기후변화대응협의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과 협력해 인공지능(AI) 기술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