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숨쉬기 힘들다'...美동부까지 덮친 캐나다 산불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6-07 17:07:44
  • -
  • +
  • 인쇄
캐나다, 10년 평균의 13배 면적 잿더미
주요 100개 도시중 뉴욕 오염농도 최고
▲캐나다 산불 연기로 뉴욕 대기오염이 최악인 상태. 자유의 여신상이 희뿌옇게 보인다. (사진=연합뉴스)


역대 최악의 피해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캐나다 산불의 원인이 기후변화로 지목된 가운데 산불 연기가 미국을 뒤덮으면서 뉴욕시 대기오염 농도는 전세계 최악 수준을 기록했다.

7일(현지시간) 스위스 기반 대기질 모니터링 업체 IQ에어에 따르면 미국 뉴욕시의 대기질은 현재 '매우 해로움' 수준으로 전세계 주요 100개 도시 가운데 실시간 대기오염 농도 최악의 도시에 올랐다. 뒤이어 쿠웨이트의 쿠웨이트시티와 인도 델리가 각각 2, 3위를 기록중이다.

뉴욕시뿐 아니라 디트로이트시, 펜실베이니아주 등 미국 북동부 일대의 대기질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몸살을 앓고 있다. 대기중 오염물질 농도가 세계보건기구(WHO) 권고의 10배 넘게 오르면서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현재 미국 북동부 지역의 대기질 지수는 위험하고 매우 건강에 해로운 수준"이라며 건강주의보를 내리기도 했다.

이처럼 미국 북동부 대기질이 최악으로 치달은 것은 캐나다 산불 연기가 국경을 넘어 남동쪽으로 내려오면서부터다. 캐나다는 일주일 넘게 크고 작은 산불이 이어지면서 지난 5일(현지시간) 기준 2214곳에서 3만3000㎢가 타버렸다. 이는 지난 10년간 캐나다의 연평균 산불건수가 1624회, 피해면적이 2540㎢인 것의 13배에 이른다.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해양대기청(NOAA)가 공개한 레이더 기반 대기질 측정 사진. 캐나다에서 남동쪽으로 내려온 산불 연기가 미국 동북부를 뒤덮고 있다. (자료=NOAA)


캐나다 정부는 산불이 좀체 잡히지 않는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지목했다. 캐나다 천연자원부는 브리핑에서 기후변화로 인해 산불의 강도와 빈도가 계속 악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산불이 더 강해질수록 연기가 더 높은 곳까지 치솟으면서 대류권까지 이르러 바람을 타고 수백~수천km를 이동할 수 있다.

지난해 9월 공개된 스탠퍼드대학교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만 1년에 하루 이상 매우 해로운 수준의 대기질에 노출되는 사람의 수가 2020년에만 2500만명으로 10년 사이에 27배 늘었다. WHO는 지난 2016년 대기오염으로 인한 조기사망자가 전세계적으로 420만명에 이른다고 경고한 바 있다.

IQ에어의 글로리 돌핀 햄스 북미 지사 최고경영자(CEO)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산불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와 상당한 연관이 있다"면서 "덥고 건조한 기후가 발화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결국 기후변화가 산불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몰아넣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통합 논의' 필요

ESG 환경이슈 가운데 가장 중요도가 높은 사안을 고르라면 역시 '기후변화'다. 지구 기온의 상승폭이 저지선인 1.5℃를 이미 돌파했을 정도로 지구 온난

기후/환경

+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