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관리 핵심기술에 4100억원 투자
정부는 현재 47조원 규모인 물 산업 시장을 오는 2028년까지 60조원으로 키우기 위해 물관리 핵심기술에 앞으로 5년간 41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15일 이우일 부의장 주재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7회 심의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2차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 기본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물산업 기본계획은 5년 단위로 수립되는 법정계획이다.
정부는 제1차 기본계획에 따라 실증화 시설인 국가물산업클러스터 구축‧운영, 혁신형 물기업 육성 등 물산업 도약의 토대가 마련됐다고 보고, 제2차 기본계획은 1차 계획의 추진성과를 바탕으로 주요 국정과제와 대내·외 환경변화 등을 반영해 '미래 핵심 물관리기술 선점을 통한 물산업 강국 실현'이라는 비전 아래 4대 중점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2024~2028년까지 진행하게 될 2차 계획을 위해 정부는 4100억원을 투입해 미래 물산업을 견인할 핵심 물관리 기술을 중점 개발할 계획이다.
최근 홍수·가뭄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기후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물관리 기술을 개발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에 △수량 등 수자원 정보를 디지털 기술로 관리하고 △집중호우 시 하류의 하천 상황을 고려한 댐 방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댐-하천 가상모형(디지털 트윈)을 도입하는 등 물관리 기술개발에 중점 투자한다. 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상‧하수도 시설을 자동제어하는 스마트 물관리도 선도적으로 투자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오는 2028년까지 물 산업을 60조원으로 키우기 위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공정에 필수적으로 쓰이는 초순수(모든 불순물을 제거한 물) 기술을 국산화하기 위해 플랫폼센터 조성을 추진할 예정이다. 세계 초순수 시장은 2021년 28조원에서 2040년 54조원으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차가운 댐의 용수를 데이터센터 냉각에 활용해 전력소비를 줄이는 수열에너지 클러스터 등 물-에너지 융복합 산업도 육성한다.
나아가 현재 약 3조원 규모인 물 산업 수주‧수출 규모를 2028년까지 5조5000억원으로 확대시킬 예정이다. 물산업 해외진출의 가장 큰 애로사항인 현지검증 및 실증지원, 수출자금 지원 등을 강화하는 한편 개발도상국의 물관리 정책수립을 지원하고 공적개발원조(ODA)를 확대해 물기업의 해외진출의 기회를 터줄 계획이다.
상하수도에서 대규모 투자하고 있는 선진국 시장도 개척한다. 미국 진출에 필수적인 미국 환경국가표준인증(NSF) 취득을 대행하는 서비스 및 선진국 15개 인증에 대한 국내 사전 시험서비스를 제공한다. 더불어 수주지원단을 체계적으로 운영해 기업의 해외수주를 밀착 지원한다.
물시장 성장을 통해 3만명의 일자리도 창출할 예정이다. 2021년 기준 20만명인 물산업 종사자를 5년 후 23만명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