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이틀새 초강력 허리케인으로 발달..."원인은 해양폭염"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11-06 11:24:44
  • -
  • +
  • 인쇄
▲미국 플로리다를 강타한 허리케인 '밀턴'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불과 한달전 미국 플로리다주는 100년에 한번 닥칠법한 역대급 슈퍼 허리케인이 2주 간격으로 강타하면서 쑥대밭이 됐는데 그 원인이 바로 '해양폭염'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앨리배마대학 수문학과 소헤일 라드파 교수연구팀은 멕시코만과 카리브해 북서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해양폭염으로 인해 '헐린'과 같은 초대형 허리케인이 발생할 확률이 50% 증가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헐린'은 지난 9월 24일 멕시코만에서 열대성 저기압으로 발생했다. 그런데 바닷물 온도가 급격하게 올라가 있는 걸프만 해역을 거치면서 이 열대성 저기압은 발생 이틀만인 9월 26일 4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했다. 허리케인은 5등급으로 구분되는데 숫자가 높을수록 세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헐린'의 최대풍속은 시속 225㎞에 달했다. 나무와 전봇대가 뿌리채 뽑히고, 주택도 날아갔다. 산사태와 해일로 많은 인명피해도 발생했고, 피해액은 무려 34조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됐다. '헐린'이 플로리다주를 강타한지 2주만에 또다시 초강력 허리케인 '밀턴'이 닥쳤다. '밀턴' 역시 열대성 저기압으로 발생한지 하루만에 5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했다. '밀턴'은 상륙 당시 3등급으로 세력이 약화되긴 했지만 시속 195㎞에 달하는 강풍과 450㎜가 넘는 폭우 그리고 38건이 넘는 토네이도까지 일으키며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입혔다. 

이처럼 열대성 저기압이 단시간 안에 초강력 허리케인으로 발달할 수 있었던 것은 해양폭염이 지속되는 시간이 길어진데 따른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해양폭염은 특정 해역의 해수면 온도가 5일 이상 연속으로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로 규정된다. 이 임계값은 계절과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평균 해양 수온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연구팀은 1950년~2022년 사이 멕시코만과 카리브해 북서부 지역에서 발생한 해양폭염 738건과 열대성 저기압의 이동패턴을 분석했다. 이 연구에는 유럽 중거리기상예보센터의 데이터세트가 사용됐다. 그런 다음 연구팀은 허리케인 발생 시점으로부터 10일 이내, 반경 200km 내에 발생한 폭염을 식별한 결과, 열대성 저기압의 약 70%는 적어도 한 번 이상의 해양폭염을 겪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 데이터에 따르면 카리브해 북서부 케이먼 분지 근처, 캄페체만, 멕시코만의 유카탄 해협 근처 3곳에서는 해양폭염이 허리케인을 강화할 가능성이 최대 5배까지 증가했다. 해당 지역에서는 해양폭염 기간이 연간 36.5일에서 49.5일로 늘었다.

해양폭염은 해양생물에 피해를 줄 뿐 아니라 열대성 저기압을 허리케인으로 키우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는 대기 중 수분의 가용성으로 인한 것이라고 라드파 교수는 설명했다. 해양폭염이 발생하면 해수면 온도가 정상보다 높아져 물 증발을 촉진시키고 이것이 열대성 폭풍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이렇게 발달한 허리케인은 강도를 예측하기 어려워 육지에 상륙했을 때 어느 정도 피해를 입힐지 가늠할 수 없다는 것이다. 라드파 교수는 "지구온난화로 해양폭염이 허리케인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국제연구단체 '세계기상특성'(World Weather Attribution)도 허리케인 발생 가능성이 산업화 이전 대비 약 2.5배 더 높아졌다고 밝힌 바 있다. 연구팀은 '헐린'의 위력이 강해진 데에는 걸프만의 폭염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범위로 할꺼면 목표는 왜 설정?"...정부 성토장된 '2035 NDC' 공청회

11월까지 유엔에 제출해야 하는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확정하기 위한 6일 열린 마지막 공청회에서 감축률을 놓고 격론이 벌어졌다. NDC를

EU, 2040년까지 온실가스 90% 감축 합의…2년마다 목표 재평가

유럽연합(EU)이 204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1990년 대비 최소 90% 감축한다는 목표에 합의했다.EU 27개국 환경장관들은 벨기에 브뤼셀에서 20시간 넘게 이

COP30 앞두고 ‘아마존강 시위’… 원주민들 "우리가 기후증거이자 경고"

브라질 아마존의 관문 도시 벨렘이 오는 10일(현지시간) COP30 개막을 앞두고, 원주민과 시민들이 기후정의를 외치며 강 위 시위에 나섰다.5일(현지시간)

'최소발전용량' 낮췄더니 비용절감에 탄소감축 '일석이조' 효과

화력발전소의 가동을 보장해주는 '최소발전용량'(MG)을 줄일 경우 비용절감과 탄소감축까지 일석이조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기후솔루션이

정부 '2035 NDC' 2개안으로 압축...6일 마지막 공청회 개최

정부가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감축안으로 4개에서 2개안으로 좁히고 6일 마지막 공청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정부가 이날 공청회에

[뷰펠]"숲도 지키고 농민도 살려야죠"...농촌 바꾸는 인니 기업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