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전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여객기 참사의 원인을 둘러싸고 제기되는 의문점은 한두가지가 아니다. 이 가운데 하나가 착륙시 왜 '랜딩기어'(착륙시 사용하는 바퀴)가 작동되지 않았는지다.
사고 여객기는 착륙을 시도할 당시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아 동체착륙을 시도했고, 활주로에서 제동이 걸리지 않아 속도를 줄이지 못하면서 활주로 끝단에 있는 담벼락과의 충돌로 폭발해 기체가 산산조각났다. 랜딩기어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빚어진 참사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랜딩기어는 비행안전과 직결되는 필수장치다. 비행기 바퀴를 포함해 기체 이착륙과 지상 이동에 필요한 모든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비행할 때는 바퀴가 동체 내부로 접혀 수납함에 보관되고, 착륙할 때 동체 밖으로 펼쳐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브레이크 역할도 한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사고 여객기의 랜딩기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에 의문을 품고 있다. 여객기가 새떼 충돌로 인해 엔진이 고장났다고 해도 랜딩기어는 펼쳐져야 한다는 것이다.
통상 비행기 엔진과 랜딩기어는 연결돼 있는 장치가 아니라 별도로 조작하도록 돼 있다. 실제로 새떼와 충돌해 엔진에 손상을 입어 회항한 사례는 많다. 하지만 랜딩기어가 작동되지 않아 동체착륙을 시도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한 항공정비학 교수는 30일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일반적으로 엔진과 랜딩기어는 완전히 별개로 움직인다"며 "내부 유압 계통에 동시에 문제가 발생해야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랜딩기어 미작동 원인으로는 기체 결함, 정비 부실, 조류 충돌 과정에서 내부 유압 계통 고장 등이 지목되고 있다. 상황이 너무 급박해 랜딩기어를 수동 조작할 시간이 없었을 것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랜딩기어 수동 조작에는 최소 1분 30초~2분이 소요되는데, 당시 여객기는 1차 착륙 시도 실패 뒤 2분도 지나지 않아 2차로 동체착륙을 했다. 이 때문에 다수의 전문가들은 즉시 비상착륙을 해야만 하는 급박한 상황이 발생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기체 자체의 결함과 항공사의 정비 부실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실제로 사고가 발생한지 하루만인 이날 오전 6시께 제주항공 동일 기종인 7C101편이 이륙 직후 랜딩기어 이상으로 회항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후 승객 21명은 불안하다는 이유 등으로 탑승을 포기했다. 이에 대해 제주항공은 "회항은 안전 운항을 위해 필요한 조치였다"며 "무안공항 사고기는 정기적으로 정비·점검이 이뤄졌으며 이상 징후는 없었다"고 말했다.
한편 정확한 사고원인이 나오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참사 현장에서 블랙박스 2개를 확보해 현재 분석 가능 여부를 확인중이다. 이 중 하나는 외형이 일부 손상돼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로 보내 조사를 맡길 예정인데, 이 경우 분석에 6개월 이상 걸릴 전망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