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재생에너지 성장률 '역대 최고'...트럼프가 제동거나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3 17:25:52
  • -
  • +
  • 인쇄

지난해 미국의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이 전년보다 47% 늘어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반(反)재생에너지 정책의 영향으로 올해도 이같은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12일(현지시간) 클린뷰(Cleanview)는 미국 연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미국에서 태양광과 풍력 및 배터리저장장치(ESS) 등 재생에너지 공급전력 용량이 48.2기가와트(GW)에 달했다는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는 약 360만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신규 공급된 전력의 93%가 재생에너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력에너지는 신규 전력의 2%에 그쳤다. 특히 배터리 산업이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남부지역에서는 태양광 발전이 빠르게 성장했다. 신규 용량의 4분의 1인 8.9GW가 텍사스주에 건설됐고, 플로리다주는 3GW로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도 아칸소주, 미주리주, 루이지애나주 등 여러 지역에서 태양광 산업이 성장했다. 반면 풍력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이 통과되기 전보다 오히려 발전 용량이 감소했다. 지난해 미국에서 풍력에너지로 공급된 전력은 5.1GW로 전체 전력의 9%에 불과했다.

풍력 발전이 이처럼 저조했던 것은 이자율에 철강 및 기타 자재 비용이 상승해 초기 투자금 부담이 커지고, 지역사회 반대가 심한 것도 한몫했다. 풍력 발전소는 태양광 발전소보다 눈에 띄는 특성상 잘못된 정보를 접한 주민들이 건설을 반대하는 일이 종종 있다. 도시로 전력을 보내기 위한 송전선망 구축 문제도 대두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고서 저자인 마이클 토마스 클린뷰 설립자는 "재생에너지 부문이 전례없이 성장했다"며 "여기에는 부분적으로 재생에너지 비용의 하락이, 크게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제정한 인플레이션감소법(IRA)과 녹색기술에 부여한 인센티브가 동력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IRA가 미국 재생에너지 풍경을 바꿨지만 반재생에너지 정책을 펼치고 있는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계속 성장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화석연료 산업을 부흥시키고 청정에너지 지원을 중단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전문가들은 이 공약이 이행될 경우, 녹색기술 부문과 경제가 후퇴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청정에너지 부문이 이미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어 투자를 중단하면 재생에너지 시장에서 미국의 경쟁 우위가 훼손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재생에너지 성장을 완전히 막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가령 풍력산업에 남아있던 과제 일부가 종식되고 공급망 막힘이 완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송전망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공무원도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뉴잉글랜드의 주요 풍력발전소를 포함해 이미 허가를 거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는 계획대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트럼프의 첫 임기동안 태양광 발전 용량이 2배로 늘었던 것과 달리, 이번에도 그런 진전이 가능할지는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토마스 저자는 "(트럼프 행정부가) IRA를 완전히 폐지할 경우 청정에너지 산업에 악몽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공화당 의원들도 트럼프 행정부에 재생에너지에 대한 연방 지원을 유지하라고 압력을 가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공화당 의원 8명이 연방정부에 IRA 세액 공제를 삭감하지 말 것을 촉구했는데, 태양에너지 등 청정에너지 산업이 공화당이 우세한 지역 중심으로 성장해 결국 이 산업은 공화당에게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번주에는 39개주의 시장 132명과 지방공무원들이 의회에 서한을 보내 주와 지방 정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재생에너지 세액 공제를 보존할 것을 요구했다. 이 서한에는 인구 1인당 태양열 에너지가 미국 최대 수준인 애리조나주 피닉스의 케이트 갈레고 시장도 서명했다.

갈레고 시장은 "청정에너지가 지역사회에 좋은 일자리를 공급하고, 주민들의 전기요금을 낮추고, 전력망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의회가 청정에너지의 지속적인 발전에 대한 중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공공 및 민간 부문 기관이 이러한 기회를 여는 데 사용하는 도구를 보호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코오롱 어린이 드림캠프…장학생 30명 3년간 지원

코오롱그룹이 올해 30명의 장학생을 선발해 3년간 지원할 예정이다. 코오롱그룹 비영리 재단법인 꽃과어린왕자는 지난 17일부터 이틀간 경기 용인 코오

환경부 '국제협력관' 신설..."기후선도국가 위상 강화한다"

환경부가 국제협력관을 신설해 국제 환경협력을 강화하고 환경무역장벽 대응에 나선다.환경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환경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개

[영상]한달새 벌써 4번째...캐나다 공항서 착륙하던 여객기 전복

미국에서 항공기 사고가 잇달아 발생한 가운데 캐나다에서도 착륙하던 여객기가 눈길에 미끄러져 전복되는 사고가 일어났다.17일(현지시간) 캐나다 토

우리銀-수자원공사, PPA 체결..."연간 2200톤 온실가스 감축할것"

우리은행이 지난 14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한국수자원공사와 직접전력거래(PPA, Power Purchase Agreement)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직접전력거래(PPA)

서스틴베스트 "배당 안건 분석시 기업가치 고려해야"

국내 의결권 자문사 서스틴베스트가 배당 안건 분석 시 상장사들이 공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17일 밝혔다.서스틴베스트는

[최남수의 ESG풍향계] ESG경영 '리더십'이 핵심이다

한 제조기업에서 있었던 일이다. ESG 실무담당 임원이 회사의 ESG 경영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과 예산계획을 CEO에게 보고했다. 이 자리에서 CEO

기후/환경

+

美 환경규제 '뒷걸음'?…트럼프 기후내각 친환경 반대자들 대거 포진

화석연료 옹호자부터 빅 오일 기업가까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기 내각은 '드릴, 베이비 드릴'이라는 선거 공약을 이행하기 위한 인선으로 채

[영상] 이게 무슨 일이야?...흑범고래 수백마리 해변에서 떼죽음

호주 태즈메이니아(Tasmania) 북서부 아서 강(Arthur River) 인근 해변에서 150마리가 넘는 흑범고래가 떼죽음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흑범고래의 대규모

환경부, 하수도 예산 3조...상반기 70% 조기집행 목표

환경부는 올해 하수도사업 예산을 전년 대비 2460억원 증액한 3조152억원을 편성하고, 상반기에 예산의 70%를 집행하겠다고 18일 밝혔다. 기후변화로 국지

'브레이크 패드' 미세먼지, 배기가스보다 독성 더 강하다

차량의 브레이크 패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배기가스보다 독성이 더 강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브레이크 패드가 설치된 전기자동차도 예외가 아

환경부 '국제협력관' 신설..."기후선도국가 위상 강화한다"

환경부가 국제협력관을 신설해 국제 환경협력을 강화하고 환경무역장벽 대응에 나선다.환경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환경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개

뜨거워진 바다 식는데 걸리는 시간 2배 늘었다...이유는?

바다가 뜨거워졌다가 다시 식는데 걸리는 시간이 40년 사이에 2배 길어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연세대학교 송하준 대기과학과 교수 연구팀과 존 마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