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남수의 ESG풍향계] ESG경영 '리더십'이 핵심이다

최남수 서정대 교수 / 기사승인 : 2025-02-17 08:20:02
  • -
  • +
  • 인쇄

한 제조기업에서 있었던 일이다. ESG 실무담당 임원이 회사의 ESG 경영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과 예산계획을 CEO에게 보고했다. 이 자리에서 CEO는 ESG 등급을 올리는데 집중하라며 다른 일에는 그다지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있을 수 있는 일 같지만 사실 이 CEO의 지시는 ESG 경영에서 힘을 빼는 것과 다름없었다. ESG로 회사의 체질을 본질적으로 바꾸기보다는 그저 눈에 보이는 성과만을 중시하는 입장을 보였기 때문이다.

ESG는 이제 누구에게나 익숙한 경영 트렌드가 됐다. 그런데 우리는 ESG 경영의 핵심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있을까? ESG는 한 마디로 환경보호, 이해관계자 존중, 윤리적인 투명경영 등의 가치를 경영 전반에 착근하라는 요구다. 그런 만큼 경영의 '잔재주'보다는 ESG를 통해 경영 혁신을 이뤄냄으로써 기업가치를 제고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ESG 경영을 모범적으로 실현해낸 기업들을 소개해보려 한다. 먼저 덴마크 에너지기업인 오스테드. 이 기업은 사업모델 자체를 친환경 비즈니스로 환골탈태(換骨奪胎)시킨 대변화를 이뤄냈다. 당초 오스테드는 화석연료 발전 비중이 85%에 달했다. 하지만 2008년에 이 회사 경영진은 기후변화 등의 추세에 비춰볼 때 탄소배출을 많이 하는 기존 사업은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보고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결심했다. 30년에 걸쳐 사업구조를 화석연료 발전 비중 85%에서 연안 풍력발전 85%로 탈바꿈시키자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잘 나가던 사업을 사실상 접고 성공여부가 불투명한 새 사업에 뛰어드는 승부수였다.

과정은 순조롭지 않았다. 처음에는 직원들이 반발했고 외부의 시선도 회의적이었다. 2012년에는 천연가스 가격 폭락으로 적자를 기록하면서 경영 위기에 빠져들었다. 또 연안풍력 발전 단가가 상업성을 담보할 정도의 수준으로 떨어지지 않아 풍력발전 기업으로의 변신이 가능할지 불투명해졌다. 문제의 실마리를 풀어간 것은 경영진의 흔들리지 않은 소신이었다. 가는 길이 옳다고 확신하고 석탄발전소 폐쇄 등 조치를 계속해나가면서 풍력발전에 대한 투자를 중단없이 늘려나갔다.

지성(至誠)이면 감천(感天).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오스테드는 계획을 20년 앞당겨 불과 10년만에 원래 세웠던 목표를 달성했다. 연안 풍력발전 세계 1위 기업으로 부상했다. 오스테드는 이같은 상전벽해(桑田碧海)의 변화를 이뤄낸 힘은 경영진의 리더십이이었다고 회고한다. "중요한 사실은 기술적 또는 재무적 도전으로 보이는 문제들이 사실은 리더십 이슈라는 점이다. 우리는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로의 혁신을 이루기 위해 리더십을 중시했다."

핀란드 에너지 기업인 네스테도 오스테드와 비슷한 변화를 일궈내 주목을 받고 있다. 1948년 국영정유기업으로 설립된 네스테는 60년 동안 줄곧 원유사업에만 전념했다. 그러나 유럽연합(EU)에서 탄소배출 규제법안이 입법화되는 등 사업환경이 크게 달라지자 원유만으론 미래가 없다는 판단을 하게 됐다. 활로는 탄소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재생에너지였다. 당시 CEO 매티 리보넨은 '담대한 혁신'을 위한 7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역풍에 직면했다. 직원과 소비자, 투자자들이 반대하고 한 미디어는 "무리한 일을 벌이는 CEO를 해임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리보넨은 요지부동했다. 과감한 의사결정과 필요한 투자를 지속해나갔다. 마침내 네스테는 바이오디젤 등 재생연료의 세계 최대기업으로 새로운 깃발을 올렸다. 네스테의 성공 또한 경영진의 우직한 리더십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ESG는 단기에 수익을 쥐어짜기보다는 멀리 내다보고 가는 경영을 추구한다. 영국의 생활용품 기업인 유니레버는 이런 점에서 모범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주인공은 CEO 폴 폴먼. 그는 2009년에 시장을 놀라게 하는 조치를 내놓았다. 단기 경영에서 벗어나기 위해 분기 실적 발표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결정을 계기로 일부 투자자들이 주식 매각에 나서면서 주가가 떨어지는 등 다소의 혼란이 있었지만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장기 경영을 중시하는 건전한 주주들이 들어오면서 주가가 안정됐다. 폴먼은 이와 관련해 "기업은 인기 경쟁을 하는 것이 아니라 비즈니스를 위해 옳은 일을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폴먼은 더 나아가 아예 10년짜리 장기 경영계획을 추진했다. 이른바 '유니레버 지속가능 생활 플랜(USLP)'으로 10억명 이상의 건강 및 위생 개선, 환경에 대한 영향 절반 감축, 수백만 명의 삶 향상을 목표로 삼았다. USLP는 목표를 초과 달성했고 그 결과 유니레버의 재무적 성과도 크게 개선됐다. 폴먼이 재임한 10년동안 유니레버 주가는 150%나 올랐다. 유니레버는 최근 CEO가 바뀌면서 ESG 경영이 일부 후퇴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긴 하다. 하지만 한 번 뿌리내린 ESG 경영의 체질은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소개한 세 개 기업의 사례는 ESG 경영이 혁신의 과정이며 경영진의 리더십이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요인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들이 보인 ESG 리더십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단기 이익보다는 회사의 중장기적 성장을 추구하는 비전이 변화의 추진력으로 작용했다. 둘째 이들 기업은 환경 등 외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며 ESG와 재무적 성공을 조화시키는 데 역점을 뒀다. 셋째, 이해관계자와 활발하게 소통함으로써 변혁의 방향성에 대해 단단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유니레버의 CEO였던 폴 폴먼은 하버드비즈니스 리뷰와의 인터뷰에서 두 가지 중요한 질문을 했다. "기업은 세상의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 이익을 낼 수 있을 것인가?" "기업이 있어서 세계가 더 나아질 수 있는 것인가?" ESG 경영을 내건 기업의 리더들이 더 나은 세상과 기업을 만드는 일에 앞장서기 위해 스스로 던져볼 질문들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 최남수서정대 교수 nschoi@seojeong.ac.kr  다른기사보기
  • 현 서정대 교수/SK증권 ESG위원장/전 YTN 대표/ 전 MTN 대표

핫이슈

+

Video

+

ESG

+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코오롱ENP, 에코바디스 ESG 평가서 '상위 1%'

산업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전문기업 코오롱ENP가 세계적 권위의 ESG 평가에서 '상위 1%' 등급을 획득했다. 코오롱ENP는 글로벌 ESG 평가기관 에코바디스(E

SKT, AI로 ESG 실현…'DO THE GOOD AI' 공개

SK텔레콤이 ESG 경영 전반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한다.SKT는 ESG 경영 전반에 AI를 접목한 ESG 비전 'DO THE GOOD AI'를 27일 공개했다. SKT는 비전을 통해 AI와 ESG의

삼성, 산불 피해 복구에 30억원 지원

경상권 대형 산불 피해규모가 눈덩이처럼 커진 가운데, 삼성이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삼성 계열사 8곳은 대형 상불로

기후/환경

+

산에 불났는데 고깃배가 전소..."불씨 2㎞까지 날아갔다"

이번 산불로 75명의 사상자를 비롯해 역대급 피해가 발생한 데는 건조한 대기와 미흡한 초동대처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지만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

강진에 폭삭 무너진 미얀마…아비규환 상황에 맨손구조 불사

규모 7.7 지진이 강타한 미얀마 중부는 모든 것이 무너져 그야마로 아비규환 상태다. 매몰된 사람들을 구조할 수 있는 장비가 턱없이 부족해 구조인력

산청 산불 10일만에 '꺼졌다'...213시간 34분 걸려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약 213시간 만에 진화됐다.산림당국에 따르면 30일 오후 1시를 기점으로 열흘간 이어진 산청 산불의 주불 진화

"산림청이 산불 키웠다"...전문가들이 비판하는 이유는?

경상권의 산불 피해를 키운 원인은 산림청의 미흡한 산불 진화 체계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지난 21일 경남 산청에서 시작된 산불은 하

올해 산불로 배출된 이산화탄소...작년의 2배

올해 산불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이미 지난해 한 해 배출량의 약 2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로 증가한 온실가스에 기후변화가 가속되고, 온실가스

미얀마 강진 사망자 1만명 넘을 수도...피해 키운 원인은?

미얀마 강진 발생 이틀째인 29일(현지시간)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600명대로 집계됐지만 미국 지질조사국(USGS)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망자가 1만명 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