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 온도가 4℃ 상승하면 지구 인구의 40%가 빈곤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일(현지시간)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학 기후위험대응연구소의 티모시 닐 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지구온난화로 지표면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대비 4°C 상승했을 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전세계 인구의 40%가 가난해질 것으로 추정됐다고 밝혔다.
또 산업화 이전 대비 2℃까지 유지돼도 전세계 1인당 평균 GDP가 16% 감소할 것으로 봤다. 이는 빈곤 수치가 11%, 평균 GDP가 1.4% 감소할 것이라는 기존 추정보다 훨씬 더 큰 수치다.
연구팀은 온실가스 감축에 필요한 투자를 계산하는 경제도구인 통합평가모델(IAM)에 기후변화 예측을 추가해 기후재해가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했다. 그 결과 "지구온난화가 진행된 미래에는 극심한 기상현상으로 인해 전세계 공급망이 연쇄 중단될 수 있다"고 밝혔다.
IAM은 널리 사용되는 경제모델 중 하나지만 단일로 사용할 경우 기후변화, 특히 기후재해로 인한 위험을 포착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닐 박사는 "기존 경제모델은 심각한 지구온난화조차 세계 경제에 미미한 영향만 미칠 것이라고 잘못 판단해 기후정책에 악영향을 미쳤다"며 기존 경제모델이 가뭄이나 홍수와 같은 극단적인 날씨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지역 차원의 날씨 변화만 설명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세계적 손실이 캐나다, 러시아, 북유럽 등 일부 추운 지역에서 상쇄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닐 박사는 세계경제가 무역으로 연결되어 있어 결국 지구온난화가 모든 국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영국 보험계리사 대표 기관인 회계학연구소(Institute and Faculty of Actuaries)가 지난 1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전의 경제적 위험 평가는 "전환점, 극한현상, 이주, 해수면 상승, 인간 건강 영향 또는 지정학적 위험"과 같은 실제 기후 영향을 고려하지 못했다.
호주 애들레이드대학의 마크 로렌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신뢰할 만하다며 기존 모델링은 실제 기후영향과의 단절로 인해 "기후조치의 경제적 이점도 상당히 과소평가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환경 연구 레터스(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