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밤 사이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전략이 또 바뀌었다. 보복관세로 끝까지 대응하겠다는 중국에게만 125% 관세를 부과하고 나머지 국가에 부과된 상호관세는 90일 유예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이 때문에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증시가 일제히 상승하면서 또다시 요동을 치고 있다.
미국의 상호관세가 시행된지 반나절만인 9일(현지시간) 오후 1시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90일동안 기본관세 10%만 부과하고 상호관세는 90일 유예하겠다"면서 "대신 중국은 125% 추가 관세를 즉시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를 비롯한 유럽연합(EU), 일본, 베트남, 캄보디아 등은 앞으로 90일동안 기본관세 10%만 물면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75개국 이상이 상무부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등에 무역과 무역장벽, 관세, 통화문제, 비관세 장벽 등에 대한 협상을 요청했다"면서 "이 국가들은 관세보복을 하지 않았다"며 상호관세 유예결정을 내린 배경을 설명했다.
전날까지만 해도 중국에 대한 관세를 104%로 상향하겠다고 으름장을 놨던 트럼프 대통령이 하루밤 사이에 125%로 관세를 높인 것은 중국의 보복관세에 따른 보복으로 읽힌다.
중국은 8일 밤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34%에서 50% 더 상향해 84%를 부과했다. 이는 앞서 미국이 중국산에 대해 상호관세 34% 부과하자 미국산 수입품에 34% 관세를 부과하며 맞대응하자, 미국이 곧바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50% 관세를 추가로 더 부과하겠다고 밝힌데 대한 보복관세였다.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84%로 높이자, 트럼프 대통령은 즉각 84%보다 훨씬 상향된 125% 관세로 보복해버린 것이다. 이에 따라 9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중국산 제품들은 기존 22%로 관세에 올해 추가로 부과된 125% 관세까지 합쳐져서 총 147%의 관세를 물어야 한다. 전날까지만 해도 104%였던 총 관세가 하루 사이에 147%로 껑충 뛰어버렸다.
미국과 중국이 관세를 놓고 보복에 또 보복을 반복하면서 양국은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중국의 관세보복에 미국이 다시 관세로 보복했으므로, 중국이 앞으로 어떤 대응에 나설지에 따라 미국의 태도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여전히 협상의 여지는 있다는 식으로 여지를 남겨놓고 있지만 중국은 현재까지 협상할 의사가 없어 보여 양국의 대치상황은 더 길어질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상호관세는 근거 없고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이며 중국의 대응조치는 자국 주권, 안전, 발전 이익을 수호하고 정상적인 국제무역 질서 유지를 위한 정당한 대응"이라며 "미국의 관세 위협은 실수 위에 놓인 것으로 만약 미국이 이같은 길을 고집한다면 우리도 끝까지 대항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중국은 자국의 제품에 의존하는 미국이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지 지켜보자는 입장이고, 미국은 중국이 관세장벽 앞에 무릎을 꿇을 날을 기다리고 있는 형국이다.
트럼프가 중국만 콕 찝어서 관세폭탄을 때리면서 전세계 증시는 일제히 반등하기 시작했다. 나스닥지수는 장중 상승폭을 10% 이상 확대하며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다우지수는 장중 4만선을 회복해 거래 중이다. S&P500 지수는 불과 수분만에 9.5% 이상 급등했다. 전날 7만5000달러(약 1억1000만원)대까지 떨어졌던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은 단숨에 8만3000달러(약 1억2100만원)대로 올라섰고, 이더리움은 15.16%, 리플은 14% 가량 반등했다.
트럼프 발표 직후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시행한 성공적인 협상 전략을 목격했다"며 "이 전략은 75개국 이상을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냈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한 주 전 이자리에서 '보복하지 말라. 그러면 보상받을 것'이라고 모두에게 말하지 않았나"면서 "전 세계 모든 국가가 협상하길 원한다면 우리는 그 이야기를 들을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또 베선트는 "이건 불공정 행위자에 대한 조치"라며 "우리는 협상을 가장 먼저 요청한 국가들이 중국의 이웃 국가들이라는 사실을 목격했다. 오늘은 베트남을 만날 예정이고, 일본은 줄의 맨 앞에 있다. 한국·인도도 마찬가지"라고 말해 미국의 표적이 중국으로 좁혀졌음을 분명히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