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향했던 친환경 투자금 다른 국가로 분산..."미국만 고립될 것"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4-14 16:39:27
  • -
  • +
  • 인쇄
▲친환경 전환에 역행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전쟁'으로 미국으로 향했던 친환경 프로젝트 자금이 다른 나라로 분산되면서 오히려 전세계 에너지 전환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전망이다. 친환경 기술도 부족하고 자금마저 이탈하는 미국은 친환경 에너지 시장에서 고립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2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전세계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하기 시작한 상호관세 등이 세계 경제 침체를 촉발하고 기후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 투자를 위축시키고 있다고 진단하는 한편 이를 통해 미국을 제외한 전세계 에너지 전환이 촉진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워싱턴DC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레슬리 아브라함스 부소장은 관세가 미국의 청정에너지 도입을 방해하고 미국을 세계 시장의 변방으로 밀어낼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브라함스 부소장은 "미국은 그동안 청정에너지 기술을 수입에 의존해왔기 때문에 이번 관세정책으로 미국의 청정에너지 비용은 크게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일례로 미국은 중국과 관세갈등을 겪으면서, 중국의 친환경 에너지 기술에 대한 접근이 차단돼 청정에너지 기술개발에서 다른 나라보다 뒤쳐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어 그는 "앞으로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시장에서 미국의 입지는 좁아질 것"이라며 "대신 유럽연합(EU), 중국 등이 청정 에너지 기술 선진국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펼쳤던 친환경 인센티브를 철회하면서 미국 전역에서 추진중인 친환경 프로젝트와 초기단계 청정기술 연구 및 개발에 대한 투자가 크게 위축되고 있고, 이는 미국을 청정에너지 선진국 반열에서 밀려나게 만들 것이라는 지적이다.

친환경 컨설팅업체 리스타드에너지의 마리나 도밍게스 신에너지 부문 책임연구원는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가 기후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을 우려했다. 미국은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탄소배출량이 많은 국가다. 그런데 이 탄소배출량을 줄이기는커녕 앞으로 더 늘어날 일만 남았다. 우선 인공지능(AI) 관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면 에너지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게 될 것이고, 여기에 관세 영향으로 수입은 줄고 자국 제조업 생산이 늘면서 에너지 수요는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마리나 책임연구원은 "에너지 산업이 성장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같은 에너지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선 화석연료를 쓰게 된다"며 "이는 곧 탄소배출량 증가로 이어지며 탄소중립을 향한 행보에 큰 장애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이 전세계 에너지 전환과 재생에너지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예측도 나왔다. 기후캠페인단체 350.org는 "미국은 이미 친환경 에너지 경쟁에서 밀려났고, 미국으로 향하던 친환경 투자가 세계 각국으로 분산될 수 있게 됐다"고 주장했다.

350.org 안드레아스 부소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는 미국인들만 괴롭힐 뿐, 글로벌 에너지 전환을 늦추지 못할 것"이라며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그와 상관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는 청정에너지 시장으로부터 미국을 고립시키고 미국 소비자들의 에너지 비용을 증가시킬 뿐"이라고 말했다.

유럽의 한 대형에너지 회사 고위임원 역시 "미국에서 진행되던 프로젝트에서 다른 지역으로 눈을 돌려 투자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점쳤다. 이 임원은 "우리는 더 적은 일을 하는 게 아니라 다른 곳에서 일을 진행할 것"이라며 "청정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수요는 늘어가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멈출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오히려 미국을 제외하면 늘어난 공급망을 관리하기 쉬워질 것"이라며 "미국이 청정에너지 분야에 불안정한 무대라는 사실을 알았으니, 다른 무대를 찾을 뿐"이라고 단언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두나무 인수한 네이버...AI와 블록체인 앞세워 '글로벌 금융' 노린다

세계 3위 가상자산거래소 두나무가 네이버 품에 안기면서 20조원 규모의 금융플랫폼이 탄생했다. 26일 네이버와 두나무 이사회는 네이버파이낸셜과 두

'비상경영' 롯데 인적쇄신...부회장 전원 용퇴에 CEO 20명 '물갈이'

롯데그룹이 부회장단 전원 교체와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20명을 교체하는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를 단행했다.롯데그룹은 2026년 임원인사에서 9

롯데케미칼-현대케미칼, 석화공장 합친다...울산과 여수도 통폐합 속도?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의 석유화학 사업이 합쳐진다. 지난 8월 20일 10개 석유화학 기업이 사업재편을 위한 자율협약을 맺은 이후 첫번째 구조조정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우리銀, 사회적경제기업 10곳 선정…최대 2000만원 지원

우리은행이 사회적경제기업을 발굴해 최대 2000만원을 지원하는 '임팩트 챌린지' 공모를 시작했다.우리은행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함께 '2025년 우

위생행주·인조잔디까지...CJ제일제당, PHA 적용제품 확대

CJ제일제당이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Polyhydroxyalkanoates)'의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CJ제일제당은 PHA를 적용한 '빨아쓰는 생분해 위생행주', '생분

기후/환경

+

플라스틱 문제 일으키는 '조화'...인천가족공원서 반입 금지될듯

인천가족공원에 플라스틱 조화(造花) 반입을 자제하도록 하는 조례 제정이 추진된다.26일 인천시의회에 따르면 전날 산업경제위원회를 통과한 '인천시

'2.5°C' 상승한 우즈베키스탄…극심한 가뭄에 이미 위기상태

우즈베키스탄 일부 지역의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대비 2.5°C까지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온난화로 인한 가뭄과 물부족이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태평양 참치에서 검출된 '수은' 오염경로 추적해봤더니...

참치 등 태평양에서 서식하는 해양어류 몸속에 수은이 어떻게 축적되는지 그 경로가 밝혀졌다.포항공대(POSTECH) 환경공학부 권세윤 교수연구팀과 한국

알프스·안데스·히말라야가 위험하다...기후변화로 곳곳이 '흔들'

험준한 산악지대로 유명한 히말라야를 비롯해 알프스, 안데스산맥이 기후변화가 불러온 기온과 강수패턴 변화로 인해 무너져내리고 있다. 25일(현지시

폭염에 열받은 젖소들...우유 생산량 줄고 있다

젖소들이 폭염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우유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어 낙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25일(현지시간) 푸드앤와인(Food & Wi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