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극과극' 대치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전세계 이목이 집중되는 가운데 중국이 미국의 125% 관세폭탄에 맞불을 놓기에 앞서 '대화의 문은 열려있다"며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 상무부 허융첸 대변인은 10일 정례 브리핑에서 관세폭탄을 때린 미국을 향해 "대화의 문은 열려있지만, 상호 존중을 기반으로 평등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또 미국이 계속 관세를 고집한다면 끝까지 맞서겠다는 입장도 드러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호관세가 발효된지 반나절만인 9일(현지시간) 오후 중국을 제외한 전세계 교역국의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에 맞대응해 84% 보복관세를 부과한 중국에 대해서는 104%였던 관세를 125%로 상향했다. 중국을 표적으로 삼은 것이다.
이에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25%로 상향하기에 앞서 '대화' 카드를 먼저 꺼내든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미국이 계속해서 강압적인 방식으로 밀고 나간다면 중국 역시 가만있지 않겠다는 의지의 천명이다.
중국 상무부가 협상 가능성을 언급했기 때문에 이를 받아들이는 미국의 태도에 따라 갈등 양상구도가 달라질 가능성이 높지만 중국이 먼저 협상 테이블에 앉을 계획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양국의 갈등이 '강대강' 대치로 이어질 공산도 없지 않다.
중국 외교부 린젠 대변인은 "미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각국의 정당한 권익을 무참히 침해하고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하고 있다"며 "규칙에 기반을 둔 다자무역체제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세계 경제질서의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미중 양국과 국제사회의 이익을 무시한 채 관세 전쟁과 무역 전쟁을 고집한다면 중국은 끝까지 맞서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중국 문화여유부는 이날 자국민을 상대로 미국 여행과 유학을 자제하라는 경보를 발령했다. 문화여유부는 미국 관세에 대한 보복이 아닌 미중 갈등 악화와 미국 내 안보 상황을 고려해 중국 관광객들과 유학생들이 위험할 수 있다고 판단해 당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