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배터리부터 전자담배까지...'패스트테크' 전자폐기물 주범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5 17:30:51
  • -
  • +
  • 인쇄

패스트푸드, 패스트패션에 이어 일명 '패스트테크'로 알려진 저가의 소형 전자제품들이 전세계 전자폐기물 문제의 주범이 되고 있다.

패스트테크는 휴대용 선풍기(미니선풍기), 전동칫솔부터 휴대용 충전기와 LED 변기센서, 전자담배까지 사용이 간편하고 저렴한 전자제품들을 통칭한다.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그만큼 빠르게 버려진다.

영국 비영리단체 '머티리얼 포커스'(Material Focus)에 따르면 영국에서는 전자담배를 포함한 소형 전자기기가 1년에 11억4000만개 이상 팔리고 이의 약 절반에 달하는 5억8900만개가 폐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1초에 19개씩 버려지는 꼴이다.

휴대용 선풍기 시장규모는 2024년 기준 약 55억달러, 우리돈 7조원으로 추정된다. 전동칫솔 판매량도 중국과 북미를 중심으로 판매량이 늘고 있으며, 전세계 시장 규모는 2024년 340억달러에서 2032년 482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금연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자담배 판매량은 2017년 8000만갑, 2019년 3억8000만갑, 2023년 6억1000만갑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는 2028년 국내 궐련형 전자담배 시장 규모가 약 5조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문제는 이들 제품에 전자기기에 필수인 광물들이 많이 쓰이는 데 비해, 수리 및 재활용이 어렵고 흔히 일반 쓰레기와 같이 버려진다는 점이다. 전자폐기물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폐기물 중 하나로, 전문가들은 패스트테크가 주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세계 대부분에서 이런 패스트테크에 대한 인지도가 아직 저조한 것으로 보인다. 일반 쓰레기와 섞여 버려지기 때문에, 소형 전자기기 폐기량에 대한 통계도 잡히지 않는 실정이다.

스콧 버틀러 머티리얼 포커스 전무이사는 "패스트푸드도 있었고, 패스트 패션도 있었고, 이제 패스트테크의 시대에 살고 있다"며 값싼 저품질 제품이 시장에 넘쳐나고 쉽게 버려지는 행태에 대해 우려를 드러냈다.

그는 한 설문조사를 인용해 영국인의 3분의1 이상이 패스트테크를 일회용품으로 여긴다고 전했다. 그 원인 중 하나는 저렴한 가격 때문이다. 버틀러 전무는 특히 더울 때 미니선풍기 구매량이 급증하고, 특정 시기나 행사를 위해 값싼 전자제품을 구입하는 등의 '유행성 패스트테크'를 핵심으로 꼽았다. 작년 영국에서 약 710만개의 미니선풍기가 판매됐으며, 같은 기간 350만개 이상이 버려지거나 잊혀졌다.

버틀러 전무는 "패스트테크가 저렴할 수는 있지만 결코 일회용이 아니다"라며 "플러그, 배터리 또는 케이블이 있는 모든 것은 절대 쓰레기통에 넣어서는 안 된다. 유용한 금속으로 가득 차 있어 다시 사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환경과학자이자 활동가인 로라 영은 패스트테크가 압도적 물량과 더불어 내장된 화학물질 등으로 인해 새로운 종류의 환경위협이 되고 있다며 "많은 사람들이 이 많은 소형 장치 안에 전자부품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전자담배만 해도 배터리가 내장돼있는데, 내부를 볼 수 없으니 대부분 이를 알기 힘들다는 것이다.

버틀러 전무는 당장 시장에 나오는 패스트테크의 양을 줄이긴 힘들어도, 패스트테크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고 짚었다. 그는 "궁극적으로 물건은 사람들이 구매하기 때문에 판매되는 것"이라며 "무엇을 사는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무엇을 할지 조금 더 주의를 기울이고, 쓰레기통에 버리는 대신 전자제품 및 재활용 수거처를 찾을 것"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쿠팡 '비닐봉투' 사라지나?...지퍼 달린 다회용 '배송백' 도입

쿠팡이 신선식품 다회용 배송용기인 프레시백에 이어, 일반 제품 배송에서도 다회용 '에코백'을 도입한다.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인천, 부산, 제

삼성, 수해 복구에 30억 '쾌척'…기업들 구호손길 잇달아

삼성그룹은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21일 기부했다. 기부에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

삼성전자-LG전자, 침수지역 가전제품 무상점검 서비스

삼성전자서비스와 LG전자가 집중호우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침수된 가전제품 세척과 무상점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삼성전자서비스는 지난 18일부

"ESG 정책 중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가장 시급해"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한숨돌린 삼성전자...이재용 사법리스크 9년만에 털었다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2016년 국정농단 사건 이후 9년째 이어지던 '사법리스크'를 털어냈다. 그동안 1주일에 두번씩 법정에 출두

기후/환경

+

기후변화로 美 북동부 폭풍 '노이스터' 위력 17% 증가

지구온난화로 미국 북동부 지역의 폭풍 위력이 증가하고 있다.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의 기후학자 마이클 만 박사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1940년 이후 올

해변을 지켜야 vs 해변가 집을 지켜야...해수면 상승으로 '딜레마'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미국 곳곳의 해변이 조금씩 바다에 잠기고 있다. 이 과정에서 6세기 로마법에 뿌리를 둔 '공공신탁' 개념이 다시 주목

맥주병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플라스틱병보다 많은 이유

유리병에서 플라스틱병보다 50배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프랑스 식품환경산업안전보건청(ANSES)은 생수, 콜라, 맥주, 와인이 담긴 플라스틱병과

'동토의 북극' 옛말되나?...겨울에 물웅덩이 생기고 새싹 돋아

한겨울에 눈이 뒤덮여있어야 할 북극에서 물웅덩이가 생기고 눈이 녹은 땅위에서 새싹이 돋는 희귀한 광경이 연출되고 있다. 이에 학자들은 북극의 겨

김성환 환경장관 "도전적·합리적 탄소감축 목표 수립하겠다"

김성환 신임 환경부 장관은 '도전적이면서 합리적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수립하겠다고 밝혔다.김성환 장관은 22일 취임사에서 이같이 밝히며 "2035 국

'극한호우'에 농경지 2.9만㏊ 침수되고 가축 175만마리 폐사

서산과 광주, 산청 등을 물바다로 만들었던 이번 집중호우로 경작지 2만9448헥타르(㏊)가 물에 잠겼다. 이는 축구장 4만1000여개에 달하는 면적이다.농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