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의 메탄 배출량을 추적하는 위성 '메탄샛'(MethaneSAT)이 발사 1년만에 고장으로 임무가 중단됐다.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고정밀 메탄 배출 데이터를 수집하던 이 위성이 갑작스럽게 운행을 중단하면서 국제배출 감시체계도 공백상태가 됐다.
메탄샛은 미국 비영리단체 환경방어기금(Environmental Defense Fund, EDF)이 총 8800만달러를 들여 기획·운영한 위성으로, 지난 2023년 발사 이후 전세계 유전과 시추시설의 메탄 배출을 정밀 추적해왔다. 고해상도 관측과 빠른 데이터 공개를 통해 각국 정부와 시민사회가 배출 책임을 추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그런데 지난달 20일(현지시간) 위성이 태평양 상공을 지나던 중 통신이 끊겼다. EDF 측은 "전력을 상실한 것으로 보이며, 복구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위성의 정확한 고장 원인은 아직 조사 중이다.
메탄샛은 당초 5년 수명을 목표로 설계됐지만, 결국 약 1년 만에 임무를 마감하게 됐다. EDF는 "대형 정부 위성과 달리 예산 제약상 중복 시스템이 부족했던 점이 치명적이었다"고 설명했다.
EDF는 "첫해 성과만으로도 위성 기반 메탄 정량 추적이 가능함을 입증했다"고 평가하며, 현재까지 확보된 데이터를 최대한 가공해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메탄샛은 360마일(약 580km) 상공에서 하루 15회 지구를 순환하며, 북미와 중앙아시아 유전지대에서 예상보다 높은 배출량을 포착한 바 있다.
이 위성은 유럽우주국(ESA)과 미국항공우주국(NASA) 위성들의 기존 한계를 보완하며, 공공성을 바탕으로 무료 고정밀 데이터를 제공해왔다. 특히 상업 위성이 대부분 유료 데이터를 판매하는 반면, 메탄샛은 시민과 언론, 정책 당국 모두가 활용할 수 있는 공익 플랫폼이었다.
하지만 EDF는 후속 위성 발사 여부에 대해 "아직은 말하기 이르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 사실상 동일한 목적과 구조를 갖는 대체 위성은 당분간 존재하지 않게 된 셈이다. EDF는 "정부와 기업의 메탄 감축을 위한 정보 제공이라는 목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했지만, 현 시점에서는 기존 데이터 분석 외 새로운 관측 수단은 없는 상황이다.
국제 감시체계에서 공익적 데이터 수집의 역할이 강조되는 가운데 메탄샛의 중단은 기후 대응에서 민간 독립 데이터 확보의 불안정성을 다시 드러내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