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윤의 발길따라] 탄소제로섬...제주 '비양도'

뉴스트리 / 기사승인 : 2021-05-06 11:28:54
  • -
  • +
  • 인쇄
자동차도 없고 심지어 경운기도 없다
▲탄소제로섬 제주 '비양도' 전경

도시는 시끄럽다. 자동차 경적소리. 공사장 소음. 농성장의 마이크 잡음. 모두가 공해다. 소리공해만 있는 게 아니다. 공사장에서는 흙먼지가 날린다. 자동차 배기통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쉴 새 없이 뿜어져 나온다. 숨 쉬기가 힘들다. 코를 막아야 한다. 눈을 가려야 한다. 어디 한 곳 편히 쉴 곳이 없다. 탈출하고 싶다. 도망가고 싶다. 공해 없는 장소로. 고민이 된다. 그런 장소가 있을까. 있다. 그곳이 어딜까. 제주 비양도다.

▲ 여객선에서 보이는 비양도. 한림항에서 여객선으로 15분이면 도착한다.

비양도는 가기에 편하다. 한림항에서 배로 15분이면 도착한다. 비양도의 첫 인상은 어떨까. 공기가 맑다. 먼지구경을 할 수가 없다. 조용하다. 소음이 없다. 사람구경도 하기 어렵다. 비항포구에 내리면 고양이가 반긴다. 자기들의 영역이라고 활개를 친다. 관광객만 없다면 무인도 같은 느낌이다.

비양도의 특징이 있다. 자동차가 없다. 경운기 구경도 못한다. 손수레로 짐을 옮긴다. 지게로 물건을 나른다. 바쁘면 자전거를 타야한다. 당연히 소음공해와 매연이 없다. 공기가 맑을 수밖에 없다. 한마디로 청정지역이다. 주민들은 문명의 이기를 거부한다. 불편을 감수한다. 왜일까. 탄소제로섬을 지키기 위해서다.


▲ 비양도의 해안산책로는 사색하며 걷기에 안성맞춤이다.

비양도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 남아있다. 때 묻지 않은 옛 모습을 볼 수 있다. 작은 섬이지만 자연의 맛을 느낄 수 있다. 볼거리도 많다. 해안산책로는 비양도의 자랑이다. 2.5km의 포장도로를 여유롭게 걸을 수 있다. 해변의 기암괴석을 감상할 수 있다. 조심할 게 있다. 바람이 거세면 바닷물이 장난을 친다. 연인의 사랑을 시샘하며 물세례를 선사한다. 그마저도 즐거울 수 있다. 자연이 주는 선물이라.

▲비양오름 입구에 설치된 나무계단(좌)과 비양등대로 오르는 꽃길

해안산책로 걷기가 밋밋하면 발길을 옮겨라. 산책로 중간쯤 비양오름에 올라보라. 20분 정도 발품을 팔아라. 탐방로가 잘 꾸며져 있다. 초입에는 계단이 길을 안내한다. 오름 중턱에 대나무 숲길이 조성돼 있다. 죽도(竹道)라고도 불린다. 구세주 같은 휴식처를 제공한다. 흐른 땀을 식히라고. 가쁜 숨을 멈췄다 가라고. 해발 114m의 비양오름. 약간의 육체적 고통을 감수해라. 올라보면 느낄 것이다. 잘 올라 왔다고.

▲정상에 우뚝 선 비양등대


정상에 우뚝 선 비양등대. 흰색의 우아함을 뽐내고 있다. 우아한 자태로 수많은 배들의 안전운항을 책임지고 있다. 차귀도 등대와 함께 제주의 명소다. 비양등대에서 내려다보는 제주의 바다. 주변의 바다가 온몸을 휘 감는다. 가슴이 확 트인다. 환상이다. 해변에서 보는 바다와 또다른 절경이다.

천혜의 섬 비양도에 아픔이 닥쳐왔다. 중국발 괭생이모자반이 비양도를 덮쳤다. 지난 4월까지 제주에는 괭생이모자반 9600t이 유입됐다. 지난해 전체 유입량 5185t과 비교해 1.8배나 많은 양이다. 비양도는 올 3월까지 20t을 수거했다. 괭생이모자반은 비양도 생태계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괭생이모자반이 썩으며 어마어마한 파리 서식지가 되고 있다. 과거에 볼 수 없던 파리의 공습이 이뤄지고 있다. 제주도는 괭생이모자반 유입 피해를 막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비양도 주민도 탄소제로 섬을 지키려고 힘을 모으고 있다. 괭생이모자반과 해양쓰레기 수거에 발 벗고 나섰다. 탄소제로 섬 비양도의 모습이 온전히 지켜지길 간절히 바란다.



   글/ 김병윤 작가
   춘천MBC 아나운서
   주간야구 기자
   내외경제(현 헤럴드경제) 기자
   SBS 스포츠국 기자
   저서 <늬들이 서울을 알아>
          <늬들이 군산을 알아>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한국노총·민주당·쿠팡 '한자리'..."택배산업 발전 위해 소통" 다짐

택배산업 발전을 통해 노사가 윈윈하기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댔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과 김사성 한국노총 택배산업본부 위원장,

'참붕어빵' 제품에서 곰팡이...오리온 "전량 회수조치"

오리온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가 검출돼 전량 회수 조치가 내려졌다.오리온은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 발생 사례가 확인돼 시중에

F1 '넷제로' 향한 질주 5년만에 탄소배출량 26% 줄였다

영화 'F1 더 무비' 개봉과 함께 서킷 위 스피드에 열광하는 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포뮬러1(F1)은 탄소중립을 향한 질주도 이어가고 있다. F1은 2019년 '20

수자원공사, 재난구호용 식수페트병 '100% 재생원료'로 전환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재난구호용으로 지급하는 식수페트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든 소재를 사용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자원공사가 제공하는 이 생

친환경 사면 포인트 적립...현대이지웰 '그린카드' 온라인으로 확대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의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이 녹색소비생활을 촉진하기 위해 친환경 구매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그린카드 적립서비스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기후/환경

+

'양산' 쓰는 남자가 늘고 있다..."사막같은 햇빛 그늘막으로 제격"

여자들만 주로 사용하던 '양산'이 38℃를 넘나드는 폭염에 남자들도 여름 필수템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패션 플랫폼 무신사

AI로 탄소포집하는 콘크리트 찾아냈다

수백 년간 공기 중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콘크리트 소재를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찾아냈다.23일(현지시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비터비공과대

불볕더위 '아차'하면 온열질환에 쓰러져...폭염 안전수칙은?

전국 곳곳에 폭염경보 혹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온열질환을 예방하려면 폭염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폭염주의보는 최고 체감온도 33

EU·중국 '기후리더십' 주도권 노리나?…'기후협력' 공동성명 채택

미국과 대척점에 서있는 중국과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녹색기술을 공동보급하기로 하는 등 협력관계를 더욱 밀착시키고 있다.24일(

산불 1년만에 한달 두차례 홍수...美 뉴멕시코주 마을의 수난

미국 뉴멕시코주 루이도소 마을이 또 물에 잠겼다. 이달에만 벌써 두번째 홍수다. 24일(현지시간) AP통신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후 루이도소 일

폭염에 차량 방치하면 실내온도 90℃까지...화재·폭발 막으려면?

차량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실내온도가 90℃까지 치솟으면서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폭염시 차량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5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