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사체로 뒤덮힌 美 플로리다...도대체 무슨 일이?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7-14 14:34:34
  • -
  • +
  • 인쇄
'맹독성 적조현상' 기후변화가 원인일 수도
▲맹독성 적조 현상으로 인해 많은 물고기가 죽었다. (사진=Tampa Bay Estuary Program)

최근 미국 동남부 플로리다주 해안가는 수 천마리 물고기의 사체로 뒤덮였다. 물고기 사체만 600톤에 달했다. 물고기 사체뿐 아니라 바다소, 돌고래 사체까지까지 즐비했다. 이 사체들이 부패하면서 해안가는 악취가 진동하고 있다.

CBS 등 미국 언론들은 13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해안에서 발생한 적조로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안가에 발생한 적조의 농도는 '높음' 단계의 농도보다 10~17배 높은 '맹독성'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맹독성 적조 때문에 물고기 등 바다생물들이 떼죽음을 당한 것으로 보인다. 릭 크리스만(Rick Kriseman) 플로리다 주지사는 "최근 몇 주동안 해안선에서 477톤의 물고기 사체를 치웠다"며 "피넬라스 카운티(Pinellas County) 전역에서 수거된 사체는 600톤에 달한다"고 밝혔다.

피넬라스 카운티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지금 시기는 적조가 발생할 때가 아니다"면서 "비정상적인 적조로 인해 작은 물고기부터 해우, 돌고래까지 많은 물고기가 죽어가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지금 해안에서 헤엄치고 있는 물고기가 있다면 바로 죽은 채 떠오르고 말 것"이라고 현 상황을 설명했다.

그동안 플로리다 연안에서는 1년에 한 번 적조 현상이 발생했다. 그러나 여름에 적조가 발생한 경우는 거의 없다. 리처드 스텀프(Richard Stumpf) 국립해양대기청 해양학자는 "적조 현상은 일반적으로 가을에 시작해 1월에 사라진다"며 "지금 발생하는 맹독성 적조는 정상이 아니다"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이런 현상이 언제까지 일어날지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맹독성 적조는 사람의 호흡기 질환도 유발할 수 있다. 사람이 적조의 독소를 흡입할 경우 구토나 현기증이 일어나고 천식이 악화될 수 있다. 리처드 스터프 해양학자는 "이토록 심각한 여름 적조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면서 "강수량과 바람 그리고 물속의 인과 질소의 양이 모두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정확한 원인을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기후변화'를 원인으로 지목했다. 기온이 오르면서 적조를 만드는 조류가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것이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에 따르면 1977년부터 멕시코만 기온은 섭씨 2도가량 상승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자연복원 참여기업 ESG실적 인정...첫 민관협력 사업 진행

기업이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자연환경 복원사업에 참여하면 ESG 경영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시범사업이 민관협력으로 진행된다.환경부는 민간기업인

환경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 모집

환경부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를 모집한다.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

화석연료에 46조 투자한 유럽 ESG펀드들...규제 앞두고 '이름지우기' 분주

유럽 투자회사들이 'ESG펀드'를 통해 화석연료 기업에 투자한 규모가 330억달러(약 46조1200억원)가 넘는다는 폭로가 나왔다. '무늬만 EGS펀드'는 이달부터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KCC, 지역 사회시설 환경개선 활동..."ESG경영 앞장"

KCC가 전국 사업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ESG경영에 앞장선다.KCC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SPC삼립,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사고에 "죄송하다" 사과문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사고는 19일 오전 3시쯤 시화공장에서 발생했으며, 숨진 A씨

기후/환경

+

[새 정부에 바란다] "청년은 기후위기 피해자...의견 반영해야"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환경부,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고려'…환경단체 "정책 퇴보" 비판

환경부가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를 유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가 강도 높은 비판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