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 80GW/h 생산, 약 2만 가구에 전력 공급가능

덴마크의 풍력터빈업체 베스타스(Vestas)가 세계 최대 규모인 15메가와트(MW)짜리 해상 풍력터빈을 공개했다.
베스타스는 이 풍력터빈 시제품 'V236-15 MW'를 2022년 하반기 덴마크의 서부 유틀란트에 있는 테스트센터에 설치해 2022년 4분기부터 전력을 생산할 예정이라고 최근 밝혔다. 이번 'V235-15.0 MW' 터빈은 이전 모델인 'V174-9.5 MW'보다 연간 에너지 생산량이 65% 더 높다.
이 풍력터빈은 높이가 무려 280m에 달한다. 날개길이만 115.5m다. 이 풍력터빈에서 생산하는 전력량은 연간 80GW/h로 예상된다. 베스타스에 따르면, 이 풍력터빈 1대로 유럽의 2만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승용차 2만5000대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효과도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베스타스뿐 아니라 현재 세계 각국에서 대형 풍력터빈을 앞다퉈 개발하고 있다.
10월초 미국 에너지기업 GE재생에너지는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설치된 할리아드-X(Haliade-X) 시제품이 14MW로 가동되기 시작했다. 이 회사는 "대형터빈은 1대로 많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풍력발전소에 설치할 터빈 개수를 줄이는 효과도 크다"면서 "이는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운영유지에도 힘이 적게 든다"고 설명했다.
지난 8월에는 중국의 풍력발전기 제조사 밍양 스마트에너지가 거대한 해상 풍력터빈을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MySE 16.0-242'로 명명된 밍양의 터빈은 높이 264m, 날개 직경 242m, 블레이드 길이 118m에 달한다. 전력 생산용량은 16MW 규모로, 2023년 시제품을 내놓을 예정이다.
우리나라도 지난 8월 두산중공업이 높이 130m, 터빈지름이 205m에 이르는 8MW급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 'DS205-8MW'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두산중공업은 국내 최초로 육해상 풍력발전시스템 WinDS3000을 비롯해 WinDS3300, WinDS5500을 개발한 바 있다.
하지만 대형 풍력터빈은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지난 5월 유럽 풍력협회 윈드유럽(WindEurope)은 지역 해상풍력 및 터빈산업의 성장에 대처하려면 새로운 기반시설을 구축하고 상당한 투자를 해야 할 것으로 보고했다.
윈드유럽은 유럽의 항구도시들이 해상풍력의 확장을 지원하기 위해 2030년까지 65억 유로(약 75억4000만달러)를 투자해야 할 것으로 분석했다. 무엇보다도 보고서는 대형터빈의 현황과 터빈산업의 성장이 항구 및 기반시설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다루고 있다. 보고서는 "대형터빈과 더 큰 시장을 유치하려면 시설개선 혹은 완전히 새로운 시설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