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분 장애로 '약관상 보상 기준'은 아냐

KT가 25일 오전 네트워크 장애로 사용자 불편을 초래한 것에 이어 오락가락한 해명으로 혼란을 줬다.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2018년 아현국사 화재 사태와 같은 통신재난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보상에 대한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5일 오전 11시20분, KT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관련 서비스에 전혀 접속할 수 없게 됐다. 30분 넘게 먹통이던 KT 네트워크는 12시가 다 돼서야 정상화됐다.
KT는 사고 직후 원인에 대해 "대규모 디도스(DDoS) 공격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네트워크 이상징후를 모니터링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는 "해당 징후도 없고, 관련된 신고도 없었다"고 디도스 공격설을 차단했다. KT 역시 디도스 공격이라고 해명한 지 2시간만에 '라우팅 오류'(네트워크 경로 설정 오류)라고 번복했다. KT측은 "초기에는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해 '디도스 공격'으로 추정했으나, 확인한 결과 '라우팅 오류'를 원인으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라우팅은 데이터가 어떤 경로를 거쳐서 가도록 할지를 정하는 것이다. 코어망과 전송망, 액세스망 등 네트워크의 중앙부에서 가입자까지 경로를 어떻게 연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지를 결정하는 작업이다. 통신사들은 이런 목적에 맞게 네트워크 장비를 적절히 설정해 대규모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인터넷망이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한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KISA, KT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라우팅 오류가 발생했는지, 그리고 어떤 문제가 생겨 네트워크 장애가 생겼는지 조사중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만 보면 라우팅 관련 설정치가 잘못 지정돼 트래픽이 특정 네트워크로 몰렸고, 이에 따른 과부하로 인해 전체 네트워크의 장애로 이어졌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라우팅 작업은 매뉴얼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값을 기초로 자동화된 설비가 맡아서 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따라서 이번 사고의 원인이 설비의 오작동에 의한 것인지, 관리자가 설정을 잘못 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인지는 추가 조사에서 확인해야 할 부분이다.
한편 이날 사고로 유무선 인터넷 검색이나 전화 통화는 물론, 증권거래시스템, 음식점 결제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비대면 수업이나 시험, 기업들의 업무 차질 등도 많았다. 특히 점심시간 직전에 발생하면서 음식점들은 결제문제로 혼란을 빚었고, 배달앱도 먹통이 되면서 관련 상인들도 피해를 입었다.
이러다 보니 지난 2018년 아현국사 화재 사고까지 소환되면서 보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KT는 지난 서울 아현국사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로 서울 강북지역과 수도권 북서부지역에 네트워크 먹통 사태가 발생했을 때 피해 고객들에게 요금 감면 등을 포함한 보상책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경우는 실제 보상까지 이어질 지는 알 수 없다. KT 이용약관에 따르면 회사는 이동전화와 초고속인터넷, 인터넷(IP)TV 등의 서비스 가입 고객이 본인의 책임 없이 연속 3시간 이상 서비스를 받지 못하면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 이날 발생한 접속 장애는 1시간 이내에 해결됐기 때문에 약관상 보상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