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까지 녹여버리는 전기차 화재...車업계, 리튬이온배터리 '손절' 추세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2-03 17:21:08
  • -
  • +
  • 인쇄
전기차 화재, 차를 움직일 정도로 강한 화력
현대차, 테슬라 등 LFP배터리로 전환 추세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S 플라이드 (사진=테슬라)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자동차(EV)는 화재가 발생할 확률이 낮지만 한번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위험성은 아주 큰 것으로 드러나면서 자동차업계가 리튬인산화철(LFP) 배터리로 발빠르게 전환하는 추세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가 위험한 이유는 한번 화재가 발생하면 연소 속도와 세기가 워낙 강력해 진압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또 화재를 진압해도 한번 화재를 일으킨 배터리는 최초 화재가 발생한지 몇 시간 또는 며칠 후에 재점화될 가능성이 높아서 인양장, 정비소 및 기타 시설들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채스 맥가비 미국 펜실베니아 로어메리온 소방서장은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발생한 테슬라 모델S 플라이드 화재는 전기차에서 발생한 불길이 너무 뜨거워서 그 아래 도로까지 녹아내렸다"고 말했다. 수많은 신형 전기차 모델들이 도로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그는 "소방서에서 이런 화재들을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화재 양상이 거의 매일 변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에릭 워츠만 미국 메릴랜드에너지연구소장은 "리튬이온 배터리가 승용차를 움직일 수 있을 만큼 강한 화력을 내면서 발화에 취약해질 수 있으며, 특히 배터리가 손상되거나 결함이 있는 경우 더욱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에릭 소장에 따르면 리튬이온 배터리는 가연성 액체전해질로 구성돼 있고 전극이 서로 가깝게 배치돼 있어 합선 가능성이 높다. 그는 "이 가연성 액체는 끓기 시작하는 열폭주(thermal runaway) 상황에 빠질 수 있으며, 이는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행히 배터리 전기차 화재가 빈번하지 않다는 점이다. 오토인슈어런스EZ(AutoinsuranceEZ) 연구에 따르면 내연기관 자동차의 점화 확률은 1.5%인데 비해, 배터리 전기차의 점화 확률은 0.03%에 불과하다. 고전압 배터리와 내연기관을 모두 갖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화재 발생가능성이 3.4%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기차는 내부에 고전압 배터리의 적정 작동온도를 유지하는 배터리관리시스템이 설치돼있어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속도를 제어한다. 제조업체 측에서 배터리를 비롯한 이러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면서 전기차의 안전성을 보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테슬라는 최근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리튬인산화철(LFP) 배터리로 전환한다고 발표했다. 현대자동차와 포드, 폭스바겐을 포함한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도 일부 전기차에 사용되는 니켈이나 코발트를 LFP로 대체하고 있다. LFP는 리튬과 인산철을 배합해 만든 양극재가 쓰인 배터리로, 니켈·코발트·망간(NCM)을 사용하는 삼원계 배터리보다 저렴하고 에너지밀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다.

폴 크리스텐슨 영국 뉴캐슬대학 전기화학과 교수는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와 안전에 초점을 두었을 때 일반적으로 LFP가 훨씬 안전하다"며 "결론적으로 전기차가 가솔린이나 디젤 연소모델보다 더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 수해 복구에 30억 '쾌척'…기업들 구호손길 잇달아

삼성그룹은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21일 기부했다. 기부에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

삼성전자-LG전자, 침수지역 가전제품 무상점검 서비스

삼성전자서비스와 LG전자가 집중호우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침수된 가전제품 세척과 무상점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삼성전자서비스는 지난 18일부

"ESG 정책 중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가장 시급해"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한숨돌린 삼성전자...이재용 사법리스크 9년만에 털었다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2016년 국정농단 사건 이후 9년째 이어지던 '사법리스크'를 털어냈다. 그동안 1주일에 두번씩 법정에 출두

"잔반 없으면 탄소포인트 지급"...현대그린푸드, 단체급식에 '잔반제로' 보상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종합식품기업 현대그린푸드가 '탄소중립포인트' 제도에 신설된 '잔반제로' 항목을 단체급식업계 최초로 실제 단체급식 사업장에

"노사 칸막이 없는 문화"…LG CNS '노사문화 우수기업'에 선정

AX전문기업 LG CNS가 상호 존중과 대화, 협력을 바탕으로 한 모범적 노사문화를 실천한 공로를 인정받아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년 노사문화 우수기

기후/환경

+

상반기 전세계 보험손실액 117조원 '역대 최대'...절반이 美산불 손실액

올 상반기 자연재해로 전세계 보험손실액이 840억달러(약 117조6000억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상반기 보험손실액 가운데 최고치다. 미

"기상이변에 야외공연은 위험해"...美록밴드 스티브 밀러 투어 취소

미국 록밴드 스티브 밀러밴드가 올여름 예정됐던 북미 투어 일정을 전면 취소했다. 극심한 폭염과 산불, 예측 불가능한 폭우 등 기상이변이 이유다.밴

극한폭우가 산사태 피해 키웠다..."비는 그쳤지만 산사태 위험 여전"

5일간 이어지던 '극한폭우'는 멈췄지만 빗물을 머금은 토사가 무너져내리는 산사태 위험은 여전하다. 이에 산림청은 여전히 전국 12곳에 산사태 경보를

잠든 새벽에 내린 200㎜ 폭우...가평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모두가 잠든 20일 새벽에 2시간동안 내린 집중호우가 경기도 가평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다.이날 가평군에는 시간당 76㎜에 달하는 비가 쏟아졌다. 가평

순식간에 물바다 만든 '괴물폭우'...5일간 전국 휩쓸며 '초토화'

닷새동안 이어진 전례없는 '극한호우'에 전국이 쑥대밭이 되면서 많은 사상자와 피해가 발생했다.지난 16일부터 20일 오후 5시까지 지역별로 내린 누적

[날씨] 폭우 그치자 '폭염' 시작...곳곳에 소나기도 빈번

하늘에 구멍이 뚫린 듯 퍼붓던 폭우가 물러가면서 폭염이 또다시 덮칠 예정이다.월요일인 21일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체감온도가 33℃ 이상으로 치솟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