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까지 녹여버리는 전기차 화재...車업계, 리튬이온배터리 '손절' 추세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2-03 17:21:08
  • -
  • +
  • 인쇄
전기차 화재, 차를 움직일 정도로 강한 화력
현대차, 테슬라 등 LFP배터리로 전환 추세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S 플라이드 (사진=테슬라)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자동차(EV)는 화재가 발생할 확률이 낮지만 한번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위험성은 아주 큰 것으로 드러나면서 자동차업계가 리튬인산화철(LFP) 배터리로 발빠르게 전환하는 추세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가 위험한 이유는 한번 화재가 발생하면 연소 속도와 세기가 워낙 강력해 진압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또 화재를 진압해도 한번 화재를 일으킨 배터리는 최초 화재가 발생한지 몇 시간 또는 며칠 후에 재점화될 가능성이 높아서 인양장, 정비소 및 기타 시설들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채스 맥가비 미국 펜실베니아 로어메리온 소방서장은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발생한 테슬라 모델S 플라이드 화재는 전기차에서 발생한 불길이 너무 뜨거워서 그 아래 도로까지 녹아내렸다"고 말했다. 수많은 신형 전기차 모델들이 도로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그는 "소방서에서 이런 화재들을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화재 양상이 거의 매일 변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에릭 워츠만 미국 메릴랜드에너지연구소장은 "리튬이온 배터리가 승용차를 움직일 수 있을 만큼 강한 화력을 내면서 발화에 취약해질 수 있으며, 특히 배터리가 손상되거나 결함이 있는 경우 더욱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에릭 소장에 따르면 리튬이온 배터리는 가연성 액체전해질로 구성돼 있고 전극이 서로 가깝게 배치돼 있어 합선 가능성이 높다. 그는 "이 가연성 액체는 끓기 시작하는 열폭주(thermal runaway) 상황에 빠질 수 있으며, 이는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행히 배터리 전기차 화재가 빈번하지 않다는 점이다. 오토인슈어런스EZ(AutoinsuranceEZ) 연구에 따르면 내연기관 자동차의 점화 확률은 1.5%인데 비해, 배터리 전기차의 점화 확률은 0.03%에 불과하다. 고전압 배터리와 내연기관을 모두 갖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화재 발생가능성이 3.4%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기차는 내부에 고전압 배터리의 적정 작동온도를 유지하는 배터리관리시스템이 설치돼있어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속도를 제어한다. 제조업체 측에서 배터리를 비롯한 이러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면서 전기차의 안전성을 보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테슬라는 최근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리튬인산화철(LFP) 배터리로 전환한다고 발표했다. 현대자동차와 포드, 폭스바겐을 포함한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도 일부 전기차에 사용되는 니켈이나 코발트를 LFP로 대체하고 있다. LFP는 리튬과 인산철을 배합해 만든 양극재가 쓰인 배터리로, 니켈·코발트·망간(NCM)을 사용하는 삼원계 배터리보다 저렴하고 에너지밀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다.

폴 크리스텐슨 영국 뉴캐슬대학 전기화학과 교수는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와 안전에 초점을 두었을 때 일반적으로 LFP가 훨씬 안전하다"며 "결론적으로 전기차가 가솔린이나 디젤 연소모델보다 더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