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에 달라붙어 물속에서 생존하는 바이러스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6-29 08:00:02
  • -
  • +
  • 인쇄
英스털링대학 연구진, 전염성 3일 존속 확인
폐수처리장에서 바다까지 이동하는데 '3일'


바이러스가 물속 미세플라스틱에 붙어 3일간 전염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7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 스털링대학 연구진은 로타바이러스 등 설사와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장내 바이러스가 길이 5mm 미만의 미세플라스틱에 달라붙어 물속에서 생존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이 상태의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남아있어 건강에도 잠재적인 위험성이 있다는 것이다.

리처드 퀼리엄(Richard Quilliam) 스털링대학 연구책임자는 "미세플라스틱은 바이러스가 부착되면 수중에서 3일, 혹은 그 이상 바이러스를 생존시키고 전염성을 유지시켰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3일은 폐수처리장에서 공공해변까지 이동하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연구진은 독감바이러스처럼 지질막으로 둘러싸인 바이러스와 로타바이러스나 노로바이러스처럼 막이 없는 바이러스 두 가지 유형을 실험했다. 그 결과, 막이 있는 바이러스는 막이 빠르게 용해되면서 사멸하지만 막이 없는 바이러스는 미세플라스틱에 들러붙어 생존했다. 퀼리엄 교수에 따르면 바이러스는 환경의 자연표면에도 붙을 수 있지만 플라스틱오염에 붙을 경우 자연물질보다 훨씬 오래 지속된다.

이번 연구는 물속에서 바이러스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최초로 밝힌 것이다. 퀄리엄 교수는 바이러스가 미세플라스틱에 들러붙는 현상을 가리켜 '히치하이킹'이라고 표현했다.

퀼리엄 교수는 표준적인 실험실 연구법을 통해 바이러스가 어떻게 행동하는지 연구하고, 물속 미세플라스틱에서 발견된 바이러스의 전염성을 확인했다. 그 결과 미세플라스틱이 병원체를 이동시킨다는 결론을 내렸다.

문제는 폐수처리시설이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낼 수 없다는 것이다. 퀼리엄 교수는 "폐수처리장이 모든 노력을 동원해 하수폐기물을 정화해도 미세플라스틱은 걸러지지 않고 강을 따라 해변까지 흘러들어간다"고 지적했다.

폐수처리장에서 해변으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 입자들은 크기가 매우 작아 수영하는 사람들이 삼킬 위험이 있다. 퀼리엄 교수는 "해변에 떠밀려오는 렌틸콩 크기의 밝은 색 플라스틱 알갱이는 아이들이 주워서 입에 넣을 수 있다"며 "이런 식으로 소량이라도 바이러스를 섭취하게 될 경우 건강에 유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세플라스틱 자체가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불확실하지만,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병원체를 전달하는 매개가 되어 건강을 크게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실험은 3일에 그쳤지만, 연구진은 향후 바이러스가 얼마나 오랫동안 전염성을 유지할 수 있을지 추가로 연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달 퀼리엄 교수의 연구팀은 해변에 버려진 물티슈와 면봉의 대변 박테리아 수치가 건강상 위험한 수준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은 2019년 스코틀랜드 해변의 플라스틱 알갱이에서 하수박테리아의 '히치하이킹' 현상을 처음 발견했다.

이번 연구는 자연환경연구위원회(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가 후원한 185만파운드 규모의 프로젝트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연구결과는 환경오염(Environmental Pollution)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백화점, 추석 선물세트 포장재 종이로 교체 'ESG 강화'

이번 추석 선물세트 시장에서 현대백화점은 과일세트 포장을 100% 종이로 전환하며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현대백화점은 기존 플라스틱과 스티로폼

K-컬쳐 뿌리 '국중박' 하이브와 손잡고 글로벌로 '뮷즈' 확장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하는 반려호랑이 '더피'의 굿즈를 판다는 소문이 나면서 전세계에서 가장 핫해진 국립중앙박물관이 방탄소년단(BTS)의 하

하나은행, 美글로벌파이낸스 선정 '2025 대한민국 최우수 수탁은행' 수상

하나은행은 미국의 글로벌 금융·경제 전문지 '글로벌파이낸스지(誌)'로부터 '2025 대한민국 최우수 수탁은행(Best Sub-Custodian Bank in Korea 2025)'으로 선

LG생활건강, 청년기후환경 프로그램 '그린밸류 유스' 활동 성료

LG생활건강이 자사의 청년기후환경활동가 육성 프로그램 '그린밸류 유스(YOUTH)'가 2025년 활동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일 밝혔다. LG생활건강은 지

쏟아지는 추석선물세트...플라스틱·스티로폼 포장 '여전하네'

추석을 맞아 다양한 선물세트가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대를 장식하고 있는 가운데 아직도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 포장재를 사용하고 있는 선물세트들

쿠팡 '납치광고' 반복한 파트너사 10곳 형사고소...수익금 몰수

쿠팡이 이용자 의사와 무관하게 쿠팡사이트로 이동시키는 이른바 '납치광고'를 해온 악성파트너사 10곳에 대해 형사고소를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납

기후/환경

+

수도권 대체매립지 4차만에 2곳 응모...기초지자체 합의가 '변수'

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매립지에 민간 2곳이 응모했다.기후에너지환경부와 경기도, 서울시, 인천시는 10일 오후 6시까지 진행된 대체 매립지

英 개도국 폐플라스틱 수출 84% '껑충'...재활용 산업 '뒷걸음'

영국 정부가 매년 60만톤에 달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출할 수 있도록 방치하면서 자국 내 플라스틱 재활용 산업규모를 쪼그라뜨리고 있다는 지적이

'불의 고리' 이틀만에 또...필리핀 규모 7 강진에 쓰나미 경보까지

'불의 고리'에서 연속적으로 지진이 일어나고 있다. 지난 8일 대만 화롄 지역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한데 이어, 10일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섬 해안

발암물질 PVC로 포장금지 5년...생고기 포장 여전히 랩으로 '둘둘'

사용이 금지된 폴리염화비닐(PVC) 재질을 포장재로 이용하는 사례가 근절되지 않고 있다.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김위상(국민의힘) 의원이 지

지난해 국내은행 탄소배출량 1.52억톤...목표치 '미달'

지난해 국내 은행들의 온실가스 감축규모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원이 지난 8일 한국은

[주말날씨] 가을 장마인가?...주말내내 '비소식'

추석 연휴 내내 오락가락 하던 비는 이번 주말에도 이어지겠다.비는 수도권과 강원 그리고 충청권을 중심으로 10일부터 토요일인 11일까지 이어지겠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