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앤디 워홀 '캠벨 수프'에 테러…명작의 수난 왜?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11-09 18:09:47
  • -
  • +
  • 인쇄
기후운동가들, 호주서 낙서하고 접착제 공격
"박물관은 기후위기 알리는 효율적인 플랫폼"
▲앤디 워홀의 작품 '캠벨 수프 1'에 낙서를 휘갈기는 기후운동가들 (영상=Stop Fossil Fuel Subsidies 트위터 캡처)


기후운동가들이 팝아트의 거장 앤디 워홀의 대표작 '캠벨 수프 통조림'에 접착제로 손을 붙이는 소동이 벌어졌다.


9일 환경단체 '화석연료 보조금 중단하라'(Stop Fossil Fuel Subsidies) 소속 기후운동가 2인조는 호주 국립미술관에 전시된 기념비적인 작품 '캠벨 수프 1'에 푸른색 페인트로 낙서를 휘갈기고, 접착제를 붙이는 기행을 벌였다. 호주 수도권 준주(ACT) 경찰은 이들을 곧장 쫓아냈지만 체포하지는 않았다.

앤디 워홀은 자신이 즐겨 먹던 캠벨 수프 통조림을 실크스크린 기법을 사용해 그려냈다. 이번에 훼손된 '캠벨 수프 1'은 1968년 작으로, 캠벨 수프 통조림이 그려진 액자가 가로로 5개씩 2줄로 나열된 구성이다. 당시 작품을 대량으로 생산한다는 개념 자체가 하나의 예술 실험이었으며, 해당 작품이 대중 소비문화를 미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면서 1960년대 미국 소비문화를 찬미하는 동시에 비판하는 소재로 활용됐다.

접근이 용이한 아래쪽 액자들을 집중 공략한 운동가들은 접착제가 마르기 전에 쫓겨났다. 푸른색 페인트는 보호유리에 막혀 작품 내부가 손상되지는 않았다. 미술관 측에 따르면 현재 공격당한 하부 5개 액자는 들어냈고, 세척 후 다시 내걸 예정이다.

이번 시위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화석연료 보조금 중단하라' 소속 기후운동가 보니 캐슨(Bonnie Cassen)은 이날 호주 정부가 석유, 천연가스, 석탄사업 등에 지원금 투자 중단을 요구하는 성명을 냈다. 그는 "앤디 워홀은 작품을 통해 걷잡을 수 없게 돼버린 소비지상주의를 묘사했지만, 이제는 자본주의 자체가 제정신이 아니게 돼 버렸다"면서 "호주의 빈곤층 가구들은 아이들에게 약을 먹여야 할 지 음식을 먹여야 할 지 선택을 강요받고 있는 마당에 호주 정부는 1분마다 2만2000달러(약 3000만원) 규모의 보조금을 화석연료 사업에 제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기후위기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비슷한 유형의 '과격 시위'가 연달아 일어나고 있다. 지난달 기후운동가들은 영국 런던국립미술관에서 반 고흐의 1888년 유화 '해바라기'에 하인즈 캔 수프를 끼얹고, 미술관 벽에 자신의 손을 접착제로 붙이는 시위를 벌였다. 독일 포츠담 바르베리니미술관에 전시된 프랑스 인상파 화가 클로드 모네의 연작 그림 '건초더미'에는 으깬 감자가 뿌려졌다. 호주 멜버른 빅토리아 국립박물관에 전시된 피카소의 걸작 '한국에서의 학살'에 기후활동가가 접착제를 바른 손을 명화 위에 붙이기도 했다.

▲독일 기후단체 라스트 제너레이션의 활동가 2명이 독일 바르베리니 박물관에 전시된 클로드 모네의 그림 '건초더미'에 으깬 감자를 던진 후 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사진=라스트 제너레이션)


활동가들이 신체 일부를 미술작품에 접착하는 행위는 여러 의도를 담고 있다. 우선 접착제가 완전히 말라붙으면 경찰이 기습 시위를 저지하기 위해 활동가를 끌어내려 해도 당장 떼어내기 어렵기 때문에 메시지 전달을 위한 시간을 벌 수 있다. 작품들도 완전히 새로운 의미를 얻게 된다. 일례로 피카소의 '한국에서의 학살'은 지난 역사의 단편일 뿐 아니라 지구온난화로 기근이 발생하면서 전쟁의 위기가 고조되는 미래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담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유형의 시위는 새로운 일이 아니다. 환경운동가들은 그간 서구의 박물관들이 '역사의 성역' 내지는 '역사의 객관적 관리인' 행세를 하며 현세와 동떨어져 있다는 환상을 심어왔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약탈문화재나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킨 박물관 기증자에 대한 시위 등 과거를 바로잡기 위한 시위들이 박물관에서 벌어졌고, 과거를 바로잡을 수 있다면 기후위기로 미래에 일어날 일도 바로잡을 수 있다는 게 운동가들의 주장이다.

캐나다 웨스턴대학교 시각예술학과 커스티 로버트슨(Kirsty Robertson) 교수는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1957년~1972년 사이 반자본주의 예술가나 사상가들의 구호 가운데 하나는 '포장도로 밑에는 백사장이 있다'였다"며 "접착제와 같은 기존의 관성을 걷어내면 예술작품과 같은 더 나은 미래를 찾을 수 있다는 상징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로버트슨 교수는 이어 "박물관의 특별함은 뷰유한 엘리트들과 일반 대중의 접점이라는 데 있다"며 박물관을 기후위기가 비상사태임을 알리는 하나의 효율적인 플랫폼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 불참을 선언한 스웨덴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는 "명화의 훼손은 우려하면서 지구의 훼손은 방관하고 있다"며 점차 과격해지는 시위 양상에 대해 지지를 표명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전략은...KEMI, 17일 세미나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오는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ESG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3일

방시혁 하이브 의장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50억 기부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모교인 서울대학교에 기부한 50억원이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사용된다.서울대는 3일 오후 6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 중강

KCC '2025 ESG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스코프3'까지 확장

KCC가 ESG경영 성과와 지속가능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올해 11번째로 발간되는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

"중대재해는 기업 ESG평가의 핵심리스크...등급 차감요소로 작용"

'중대재해'가 기업의 가치와 ESG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3일 발간한 '중대재해

기후/환경

+

바닐라·유제품 생산량도 감소?...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세

바닐라와 유제품 등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과 향신료가 기후변화에 의해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샬럿 와테인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더이상 못 참겠다"…환경부, 계양산 러브버그 직접 방제

인천 계양산에 떼로 나타났던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자, 환경부가 결국 직접 방제에 나섰다.최근 계양산 정상을

때이른 폭염에 '가장 더운 6월'...1년만에 평균기온 또 갈아치웠다

올 6월 우리나라 전국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역대 가장 더웠던 6월'로 기록됐다.4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기후특성에 따르면 6월 전

'불지옥'으로 변한 유럽...독일과 그리스 산불 계속 확산

역대급 폭염이 덮친 유럽에서 유럽으로 인한 산불이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가득이나 뜨거운 대기를 더 뜨겁게 달구고 있다. 3일(현지시간) dpa통신 등에

[주말날씨] 낮 최고 36℃ '찜통더위'...밤에도 28℃ '열대야'

이번 주말도 낮밤을 가리지 않고 찜통더위가 이어지겠다. 중부지방은 대체로 흐리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가끔 구름많겠다.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