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바닷새까지 '꿀꺽'...인도양 섬을 점령한 외래종 생쥐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2 11:51:36
  • -
  • +
  • 인쇄
매리언섬, 대규모 '생쥐박멸작전' 진행

인도양 매리언 섬(Marion Island)에서 대대적인 생쥐 박멸 작전이 진행된다. 단일 규모로는 세계 최대다.

21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와 버드라이프 남아프리카(BirdLife South Africa)가 협력해 매리언 섬 쥐 박멸 프로젝트인 '마우스프리매리언(Mouse-Free Marion)'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단체는 외래종 생쥐가 멸종위기종을 포함해 섬에 서식하는 바닷새 및 야생생물을 위협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19세기 물개사냥꾼에 의해 우연히 섬에 들어온 생쥐는 지난 30년간 섬의 따뜻하고 건조한 환경에서 번성하며 무척추동물과 식물, 새끼새와 심지어 땅이나 굴 속에 둥지를 트는 바닷새 성체까지 잡아먹었다.

케이프타운에서 남동쪽으로 2200km 떨어진 남극의 무인도인 매리언 섬에는 펭귄 4종과 전세계 나그네알바트로스 1/4을 포함해 28종의 바닷새 수백만 마리가 살고 있다. 생쥐에 대해 조치하지 않을 경우 이들 바닷새 중 알바트로스를 비롯한 18종이 섬에서 멸종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키스 스프링어(Keith Springer) 마우스프리매리언 운영관리자는 "매리언 섬의 바닷새는 아남극 지역의 기능 및 건강과 연결된 지역 바닷새 군집의 구성원"이라 설명하며 이번 보존 개입의 가치가 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나그네알바트로스. 매리언 섬에는 전세계 나그네알바트로스의 1/4이 서식하고 있다.(사진=위키백과)

마우스프리매리언은 2025년 겨울에 헬리콥터 함대를 이용해 섬 전역에 설치류 살충제 미끼를 퍼뜨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 RSPB 및 기타 환경보호단체의 지원을 받아 쥐 박멸을 목표로 한 비영리회사를 설립했다.

이는 사우스조지아와 같은 큰 섬들에서도 설치류를 퇴치하는데 성공해 유일하게 효과가 입증됐다. 2018년 남대서양 사우스조지아에서는 10년에 걸친 쥐 박멸 프로젝트가 성공해 바닷새 개체수를 되살린 선례가 있다.

외래종 박멸은 섬 생태계를 복원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다. 인간을 따라 들어온 설치류, 고양이, 여우의 확산은 지역 고유종이 멸종하는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다만 접근이 어렵고 험준한 섬에서의 퇴치 작업은 매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남대서양 고 섬의 대규모 쥐 박멸 작전도 아직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마크 D 앤더슨(Mark D Anderson) 버드라이트 사우스아프리카 CEO는 "매리언 섬 쥐 박멸은 그곳에 사는 수백만 마리의 새들뿐만 아니라 이 중요한 남극 섬 생태계를 지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CC, 울산 복지시설 새단장...고품질 페인트로 생활환경 개선

KCC가 울산 지역 복지시설 새단장에 힘을 보태며 사회공헌을 지속하고 있다.KCC가 지난 29일 울산해바라기센터 보수 도장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추

SK AX, EU 에코디자인 규제 대비 '탄소데이터 통합지원 서비스' 제공

SK AX(옛 SK C&C)가 유럽연합(EU)의 공급망 규제 본격화에 대비해 국내 기업들이 민감 데이터를 지키고 규제도 대비할 수 있도록 '탄소데이터 대응 통합

안전사고 나면 감점...ESG평가 '산업재해' 비중 커지나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산업재해가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다.31일 ESG 평가기관에 따르면 기업의 ESG 평가에서 감점 사례

SK온-SK엔무브 합병결의..."8조 자본확충해 사업·재무 리밸런싱"

SK온과 SK엔무브가 11월 1일자로 합병한다. 지난 2월 SK온이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SK엔텀과 합병한지 6개월만에 또다시 덩치를 키운다.SK이노베이션과 SK

'텀블러 세척기 사용후기 올리고 상품받자'...LG전자, SNS 이벤트

스타벅스 등 커피 매장에서 LG전자 텀블러 전용세척기 'LG 마이컵(myCup)'을 사용한 후기를 소셜서비스(SNS)에 올리면 LG 스탠바이미나 틔운 미니 등을 받을

올해만 5번째 사망자...李대통령, 포스코이앤씨 강하게 질타

올들어서만 4번의 사고로 5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포스코이앤씨가 이재명 대통령의 질타를 받았다. 고용노동부는 포스코이앤씨 본사와 전국 65개 공사

기후/환경

+

2030 재생에너지 3배 늘리기로 해놓고...96개국 국제합의 '헌신짝'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을 3배 늘리자는 전세계 합의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국가가 1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글로벌 싱크탱크 엠버(Ember)가

심해 9533m서 생물군락 첫 관측…"거대한 탄소 순환생태계 발견"

북서태평양 수심 9533m에 이르는 심해에서 생물군락을 발견하고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인간이 탑승한 잠수정으로 극한의 수압과 어둠을 뚫고 내려가서

[날씨] 비 없이 10일 넘게 '쨍쨍'...7월 '열대야' 최장기록

집중호우가 전국 곳곳을 휩쓸고 지나간 다음부터 지금까지 열흘 넘게 따가운 햇볕이 내리쬐는 폭염이 이어지고 있다. 불볕더위가 장기화되면서 서울

"온실가스도 車배기가스 규제도 폐지"...美 환경규제 '흔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미국 환경규제의 근간이 되는 온실가스 평가를 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제한도 폐지할 계획이다.리

밭에서 익어버린 단호박…폭염에 농산물과 축산 피해 잇달아

단호박이 밭에서 그대로 익어버리는 등 폭염에 농작물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제주시 한경면에서 미니 단호박 농사를 짓는 제주볼레섬농장 대표는 지

전담부서 해체한 美 'COP30' 불참할듯...기후리더십 中으로 이동?

미국이 올해 브라질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불참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최근 유럽연합(EU)과 기후협력까지 맺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