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바닷새까지 '꿀꺽'...인도양 섬을 점령한 외래종 생쥐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2 11:51:36
  • -
  • +
  • 인쇄
매리언섬, 대규모 '생쥐박멸작전' 진행

인도양 매리언 섬(Marion Island)에서 대대적인 생쥐 박멸 작전이 진행된다. 단일 규모로는 세계 최대다.

21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와 버드라이프 남아프리카(BirdLife South Africa)가 협력해 매리언 섬 쥐 박멸 프로젝트인 '마우스프리매리언(Mouse-Free Marion)'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단체는 외래종 생쥐가 멸종위기종을 포함해 섬에 서식하는 바닷새 및 야생생물을 위협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19세기 물개사냥꾼에 의해 우연히 섬에 들어온 생쥐는 지난 30년간 섬의 따뜻하고 건조한 환경에서 번성하며 무척추동물과 식물, 새끼새와 심지어 땅이나 굴 속에 둥지를 트는 바닷새 성체까지 잡아먹었다.

케이프타운에서 남동쪽으로 2200km 떨어진 남극의 무인도인 매리언 섬에는 펭귄 4종과 전세계 나그네알바트로스 1/4을 포함해 28종의 바닷새 수백만 마리가 살고 있다. 생쥐에 대해 조치하지 않을 경우 이들 바닷새 중 알바트로스를 비롯한 18종이 섬에서 멸종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키스 스프링어(Keith Springer) 마우스프리매리언 운영관리자는 "매리언 섬의 바닷새는 아남극 지역의 기능 및 건강과 연결된 지역 바닷새 군집의 구성원"이라 설명하며 이번 보존 개입의 가치가 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나그네알바트로스. 매리언 섬에는 전세계 나그네알바트로스의 1/4이 서식하고 있다.(사진=위키백과)

마우스프리매리언은 2025년 겨울에 헬리콥터 함대를 이용해 섬 전역에 설치류 살충제 미끼를 퍼뜨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 RSPB 및 기타 환경보호단체의 지원을 받아 쥐 박멸을 목표로 한 비영리회사를 설립했다.

이는 사우스조지아와 같은 큰 섬들에서도 설치류를 퇴치하는데 성공해 유일하게 효과가 입증됐다. 2018년 남대서양 사우스조지아에서는 10년에 걸친 쥐 박멸 프로젝트가 성공해 바닷새 개체수를 되살린 선례가 있다.

외래종 박멸은 섬 생태계를 복원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다. 인간을 따라 들어온 설치류, 고양이, 여우의 확산은 지역 고유종이 멸종하는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다만 접근이 어렵고 험준한 섬에서의 퇴치 작업은 매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남대서양 고 섬의 대규모 쥐 박멸 작전도 아직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마크 D 앤더슨(Mark D Anderson) 버드라이트 사우스아프리카 CEO는 "매리언 섬 쥐 박멸은 그곳에 사는 수백만 마리의 새들뿐만 아니라 이 중요한 남극 섬 생태계를 지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