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감귤서 새 해충 5종 발견...봄철 '이상고온탓'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4-13 16:47:03
  • -
  • +
  • 인쇄
1980년 대비 3.9℃ 상승...열흘 앞당겨진 발아
먹이환경 바뀌고 산란 유리해져 '돌발피해' 발생
▲새롭게 확인된 해충 '산둥날개매미충' 감귤 피해 모습 (사진=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제주산 감귤에서 새로운 해충 5종이 발견된 가운데 원인으로 '봄 기온 상승'이 지목되고 있다.

13일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은 최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추진한 감귤 해충 발생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농업기술원이 지난 2020~2022년 3년간 감귤 해충 종류, 발생 시기, 피해 등을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조사에 따르면 감귤에 발생하는 해충은 총 60종으로 확인됐다.

전체 60종 중 새로운 해충으로 두줄민달팽이, 식나무가루이, 산둥날개매미충(임시명칭), 귤큰별노린재, 시골가시허리노린재 5종이 확인됐다.

이 가운데 농업기술원은 '산둥날개매미충'을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둥날개매미충은 감귤의 여름순과 가을순에 구멍을 뚫고 산란한다. 피해를 입은 가지는 다음해에 과실이 달리면 가지가 부러지는 등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피해도 '보통' 이상의 주요 해충은 귤응애, 조팝나무진딧물, 목화진딧물, 볼록총채벌레, 귤굴나방 5종이었으며, 귤응애 피해는 2010년대에 비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롭게 확인된 감귤 해충. 왼쪽 위부터 두줄민달팽이, 식나무가루이, 시골가시허리노린재, 산둥날개매미충, 귤큰별노린재 (사진=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농업기술원은 이같은 해충 발생의 양상이 변화하게 된 원인으로 '봄 기온 상승'을 지목했다. 최근 5년간 제주지역의 연평균기온은 2000년대와 비슷했으나, 2~4월 평균기온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귀포시 지역의 연평균기온은 1980년대 16.0℃, 2000년대 17.2℃, 최근 5년 17.0℃로 1980년대에 비해 1℃ 증가했으나, 2000년대와는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감귤 발아기에 영향이 큰 2월 하순 기온은 1980년대와 비교해 2000년대는 3.1℃, 최근 5년간은 3.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귤 발아기도 1990년대 4월 11~13일에서 2020~2022년에는 3월 29~30일로 10일가량 빨라진 것으로 조사됐다.

과거에 비해 진딧물류, 귤굴나방, 볼록총채벌레 등의 해충 발생 시기도 빨라진 것으로 조사됐는데, 2~4월 기온 상승으로 곤충이 활동하기에 적합한 온도에 도달하는 날이 빨라져 해충의 발생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박정훈 농업연구사는 "먹이환경이 달라지거나 특정한 이상기후 등으로 발달에 굉장히 유리한 온도조건이 갖춰졌을 때 개체수가 급증하면서 곤충들이 원래 가해하지 않았던 주변 식물을 가해하는 경우가 있다"며 "이번에는 봄 기온 상승으로 특정 환경조건에서 돌발적인 피해가 발생한 것"이라고 밝혔다.

박 연구사는 다만 조사시기의 차이로 봐야할 필요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조사를 하다보면 198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등 조사주기가 길고, 그때마다 조사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과거에는 해충으로 조사됐다가 빠지거나, 해충이 아닌 것으로 보이다 나중에 피해가 관찰되면서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며 "어찌됐건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 뿐 아니라 이상 기상도 빈번한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언론 등을 통해 방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카카오' 사용한다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배된 카카오가 사용된다.롯데웰푸드는 대표 제품인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배된 가나산 카카오

셀트리온, 글로벌 ESG평가 생명공학 부문 상위 5%에 선정

셀트리온은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S&P글로벌이 주관하는 '기업지속가능성평가'(Corpor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이하 CSA) 생명공학 부문에서 국내 바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논란의 DEI '한국은 낙제점'

최근 ESG 이슈 중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이다. 직장에서 성별, 인종 등 기준에 따른 차별을 없애자는 내용

기후/환경

+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서 '생수병 반입금지'..."당황했지만 오히려 좋아"

8년만에 국내에서 열린 영국 4인조 록밴드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에 일회용 플라스틱 생수병 반입이 금지돼 화제다. 콜드플레이는 지난 16일부터 오는 25

산림청, 경북 산불피해 4.5만여ha라더니...9만ha 넘게 '잿더미'

의성에서 시작돼 인근 지역까지 번진 경북 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가 9만헥타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당초 산림청이 추산한 피해규모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