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해 식물플랑크톤이 예상했던 것보다 3배 더 빠르게 줄어들고 있어 과학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포항공과대학교 노경민 박사과정 학생과 국종성 교수 연구팀, 극지연구소 양은진 박사, 미국 스크립스 해양연구소 임형규 박사 등으로 구성된 국제공동연구팀은 오는 2100년 지구온난화로 인해 줄어들 식물플랑크톤의 농도가 기존에 예측된 감소폭의 3배에 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24일 밝혔다.
북극해 식물플랑크톤의 감소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후변화에 긍정적일지, 부정적일지 여부는 규명되지 않았다. 식물플랑크톤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머금어 기후변화 속도를 늦추기도 하지만, 대기중의 열을 흡수해 북극해를 덮고 있는 얼음, 해빙을 녹여서 기후변화를 부추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번 연구결과대로 식물플랑크톤이 예상보다 빠르게 감소해 기후위기를 부추기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면 심각한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
기존 감소폭 예측치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5, 6차 보고서에서 제시한 북극해 식물플랑크톤 농도에 기반을 두고 있다. 연구팀은 기존 IPCC 모델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필수적인 질산염의 농도가 계절에 따라 크게 변한다는 사실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문제점에 착안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해양 질산염 농도의 불확실성과 북극해 식물플랑크톤의 미래변화 예측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밝힌 첫번째 성과임을 인정받아 국제학술지 '지구의 미래'(Earth's Future) 4월호에 게재됐다.
한편 연구팀은 오는 8월 북극 동시베리아해와 축치(Chukchi)해 등에서 북극해양 환경, 해빙의 변화 등을 탐사할 계획이다. 강성호 극지연구소 소장은 "북극의 변화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북반구에서 겪고 있는 여러 이상기후현상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며 "북극의 미래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북극에 대한 감시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