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착륙 잘했는데 흙더미가 피해 키워...활주로 끝 '수상한 시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12-30 16:46:30
  • -
  • +
  • 인쇄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현장에 크레인이 놓여있다. (사진=연합뉴스)

탑승객 181명 가운데 2명을 제외한 179명이 모두 희생된 제주항공 참사에 대한 의문점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가운데 사고 여객기가 동체착륙을 시도한 활주로 끝단에 흙더미가 쌓여있어 피해를 더 키웠다는 지적이다.

지난 29일 사고당시 영상을 살펴보면, 제주항공 여객기는 비행기 바퀴를 내리지 못한 채 2800m 길이의 활주로 1200m 지점에 동체착륙을 할 당시만 해도 기체는 온전했다. 동체착륙을 하긴 했지만 비교적 온전하게 활주로를 주행하다가 활주로 끝단에 흙을 쌓아올린 둔덕에 충돌하면서 폭발했다. 사고 여객기는 꼬리 부분의 모양만 온전히 남아있고 나머지 부분은 산산조각이 났을 정도로 충돌 여파가 컸다. 

활주로 끝에 흙더미와 콘크리트 벽체만 없었어도 이렇게까지 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그렇다면 무안국제공항은 왜 활주로 끝단에 이같은 흙둔덕을 쌓아놓았던 것일까.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흙으로 된 이 둔덕은 방위각시설이다. 방위각 시설은 비행기 이착륙시 활주로 진입을 돕는 안테나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보통 활주로 끝에 세운다. 국토교통부는 30일 브리핑에서 "무안공항 활주로 끝단에 설치돼 있는 것은 방위각시설물(로컬라이저)"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여수와 청주공항도 무안공항처럼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방위각시설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활주로 끝에 이같은 구조물이 있다는 것에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데이빗 수시 항공안전분석가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활주로 끝에 구조물이 있었다는 점이) 가장 큰 의문"이라며 "공항은 비행기가 랜딩기어없이도 착륙할 수 있도록 활주로 양끝에 장애물을 설치하지 않는게 통상적"이라고 했다.

(그래픽=연합뉴스)

또 국제규정상 방위각시설은 비행기가 충돌해도 쉽게 파손되도록 설치돼야 한다. 공항안전운영기준 제42조에 따르면 기초구조물은 지반보다 7.5cm 이상 높지 않아야 하고, 부러지기 쉬운 구조로 세워져야 한다.

그런데 무안공항은 흙을 2~3m 높이로 쌓고 그 위에 콘크리트로 기초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위에 로컬라이저(방위각 시설)를 설치했던 것이다. 게다가 이 시설물은 원래 있어야 할 위치도 아니라고 했다. 무안공항은 활주로가 끝나는 지점에서 지형이 낮아지는 구조인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둔덕을 쌓았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방위각시설 높이를 맞출 때도 비행기가 쉽게 뚫고 지나갈 수 있는 철골 구조물을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지적이다.

김인규 한국한공대 비행교육원 원장은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활주로) 끝에 있는 둔덕은 어느 공항에서도 본 적이 없다"며 "둔덕 너머에는 항공기가 속도를 늦출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이 없었더라면 비행기는 동체착륙으로 무리없이 멈췄을 것이라는 뜻이다.

데이비드 리어마운트 영국 공군 출신 전문가도 영국 스카이뉴스에서 "조종사가 처한 상황을 고려했을 때 가능한 좋은 착륙을 수행했고, 착륙이 끝날 무렵 항공기는 크게 손상되지 않았고 화재도 발생하지 않았다"며 둔덕이 사고를 키웠다고 주장했다. 데이빗 수시도 "무안공항 설계가 국제기준을 충족했는지 의문"이라며 "이 부분에 대해 당국의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국토부는 "방위각 시설은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설치 규정이 있고, 이를 파악하는 중"이라며 "재질이나 소재에 제한이 있는지, 사고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면밀히 파악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트럼프 코드 맞추기?...美 대형은행들 '넷제로연합' 줄이탈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미국 월가의 대형은행들이 줄줄이 탈탄소 연합전선에서 이탈하고 있다.2일(현지시간)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

정부 '배출권거래제' 10년 청사진 확정...발전사 유상할당 대폭 상향

오는 2026년부터 발전사들은 온실가스 배출권에 대한 유상할당 비율이 대폭 상향된다. 또 2031년부터는 '탄소누출업종'도 산업보호조치와 함께 유상할당

함영주 회장, 하나금융 주식 5000주 매입..."책임경영 의지표명"

하나금융그룹은 함영주 회장이 지난 27일 하나금융지주 주식 5000주를 장내 매입하며 책임경영 실천과 주주가치 제고 의지를 명확히 표명했다고 31일 밝

ESG평가 'A' 받았던 애경...제주항공 참사로 '불매운동' 조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둘러싸고 제주항공의 모회사인 애경그룹 책임론이 부상하면서 애경산업 주가가 급락하고 온라인에서 불매운동 조짐까지 나

금융위, 내년 상반기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확정 발표할듯

금융위원회는 내년 상반기에 지속가능성 공시제도의 적용대상과 추진일정 등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30일 서울 중구

현대차·기아, 완성차 생애주기 전과정 배출량 관리시스템 구축

현대자동차·기아가 원료 채취부터 제품 폐기에 이르기까지 완성차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종합적으로 관리한다. 현대&middo

기후/환경

+

美플로리다에 영하권 '한파'…'북극 소용돌이' 넓어진 이유는?

북극의 찬 공기 흐름이 확장되면서 따뜻한 휴양지로 유명한 미국 플로리다가 영하까지 떨어질 전망이다.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산하 국립기상청(NWS

중국도 작년 평균기온 '역대 최고'...기상재해도 빈번했다

중국의 지난해 연평균 기온이 관측 사상 가장 높았다.2일 중국 기상국은 2024년 중국 연평균 기온이 10.92℃로 평년에 비해 1.03℃ 높았다고 밝혔다. 이는

"철강 등도 유상할당 도입해야"...환경단체들 '정부 배출권거래제' 압박

유럽연합(EU)의 탄소 무역관세를 피하기 위해서는 철강과 알루미늄 등에도 조속히 유상할당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2일 기후솔루션, 빅웨이브,

공항 울타리까지 쓸려갔다...가라앉고 있는 해변도시

해수면 상승으로 인구 절반이 떠난 지역이 있다.파푸아뉴기니의 도시 케레마에 위치한 파리바 해변은 해수면 상승과 모래 침식으로 해안지역이 사라

경기도, 2029년까지 '탄소중립 물 관리기술' 개발한다

경기도가 오는 2029년까지 74억원을 투입해 디지털 상하수시설 운영과 재생에너지 활용 하수처리 등 '탄소중립 물 관리기술' 개발에 나선다.2일 경기도

2024년 한반도 평균기온 14.5℃...5년새 2℃ 높아졌다

한반도의 기온상승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빨라지고 있다. 2023년에도 '역대급 더운 해'를 기록했는데 2024년의 평균기온은 이보다 더 높아져 '역대 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